• 제목/요약/키워드: 사회적 고립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3초

복지회관 이용 노인의 사회적 고립감 예측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Social Isolation in Older Adults using Senior Welfare Centers)

  • 박연환;강희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712-719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ocial isolation in older adults using a senior welfare center.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June to August 2006 using a questionnaire. A total of 248 older adults responded. Results: About one third (34.9%) of participants responded they felt socially isolate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ving, religion, family and belongingness social support, loneliness, depression, family functio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number of chronic illnesses between socially isolated and non isolated groups. However, factors influencing social isolation were family function (OR=0.954, CI=0.926-0.982), loneliness (OR=1.042, CI=1.002-1.083), depression (OR=1.041, CI=1.002-1.081), and number of chronic illness (OR=1.657, CI=1.153-2.382). Conclusion: We found that some older adults were feeling socially isolated even though the senior welfare center was a good place to meet peopl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older adults suffering from social isolation need special attention and may benefit from interventions which promote health and social interaction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and evaluate an intervention program for this population.

서울 지역 일부 노인의 영양위험군 탐색

  • 이태영;임경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92.1-392
    • /
    • 2004
  • 적절한 영양섭취는 노인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각종 생활습관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줄 뿐 만 아니라, 신체 기능을 향상시켜 삶의 질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노인계층은 노화에 수반되는 각종 생리기능의 저하, 사회심리적 고립, 유병상태 및 투약, 활동량 저하에 따라 식생활이 불량해지며, 이는 곧 영양상태 불량을 초래하여 건강을 더욱 악화시킨다. 우리나라는 현재 노인 인구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지역사회 노인 대상의 각종 보건영양서비스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중략)

  • PDF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소외계층 발견 방법 (A Method for Detecting Outlier Communities in Social Networks)

  • 최동진;김정인;김판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47-449
    • /
    • 2012
  • 본 논문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간의 인맥 네트워크 정보와 사용자들 간에 주고받는 메시지의 긍정, 부정 성향 분석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고립되거나 소외된 사용자를 발굴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현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인맥 네트워크를 분석하거나 특정 인물의 영향력을 분석 또는 화두가 되는 이슈 및 트렌드를 추출하는 연구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사회적으로 크게 대두되고 있는 학교폭력, 자살, 왕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고립 및 소외계층 발견 기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소셜 네트워크 분석기법으로 해결할 수 없는 소외계층 발견 방법을 제안한다.

다변량 분석 방법을 이용한 인스타그램 이용과 심리적 변인 간의 관계 예측: COVID-19로 인한 자가격리자를 중심으로 (Predicting Relationship Between Instagram Use and Psychological Variables During COVID-19 Quarantine Using Multivariate Techniques)

  • 박채리;김종완
    • 감성과학
    • /
    • 제26권4호
    • /
    • pp.3-14
    • /
    • 2023
  • 최근 소셜미디어 이용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이 부각되고 있으나 어떤 요소가 소셜미디어 상에서의 관계의 질을 예측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드물다. 본 연구는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COVID-19로 인한 자가격리 동안 인스타그램 활동과 외로움, 우울 등의 심리 상태가 소셜미디어 상에서의 관계의 질을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성인 95명을 대상으로 자가격리 중과 자가격리 해제 후 시점에서 외로움, 인스타그램 활동, 소셜미디어 상에서의 관계, 우울 등에 대해 자기보고식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그 후, 다차원 척도법과 표상유사성분석, 분류분석을 각 시점에 대해 수행하였다. 다차원척도법 결과, 1차원에서 인스타그램 이용 시간과 우울이 다른 변인들과 구별되었으며, 2차원에서 외로움과 수동적 이용이 다른 변인들과 구별되었다. 그 후 소셜미디어 상에서의 관계의 질의 고,저 집단에 대해 표상유사성분석을 실시한 결과, 소셜미디어 상에서의 관계의 질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보다 자가격리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류분석 결과에서도 소셜미디어 상에서의 관계의 질 예측 변인이 사회적 고립의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사람들이 사회적 고립 상황에 있지 않을 때 인스타그램 이용 변인과 심리적 변인이 소셜미디어 상에서의 관계를 더 잘 예측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Diabete Care: Zoom in - 당뇨병을 동반한 만성콩팥병 환자 특성에 대한 이해

  • 박선아
    • 월간당뇨
    • /
    • 통권287호
    • /
    • pp.49-51
    • /
    • 2013
  • 최근 만성콩팥병 환자의 생존율이 증가하였고, 환자들도 정상적인 삶을 살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되면서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만성콩팥병 환자의 투병생활은 질병자체의 고통 뿐 아니라 지속적인 검사, 치료 그리고 잦은 입 퇴원으로 경제적인 부담감, 완치가 아닌 기계에 의존한 생명 연장의 수단이기 때문에 죽음에 대한 불안과 위협, 가정 내역할과 책임의 변화로 가족갈등의 심화, 신체상의 변화로 원활한 대인관계 어려움, 사회적 고립 및 삶에 대한 의미상실 등을 초래할 수 있다. 이렇듯 만성콩팥병 환자는 여러 어려움을 직면하게 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연하장애 환자의 삶의 질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Swallowing-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Dysphagia)

  • 김주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421-431
    • /
    • 2016
  • 본 연구는 연하장애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연하장애 환자의 우울, 사회적 고립감, 생의 의미와 삶의 질수준을 파악하고, 삶의 질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 소재한 종합병원과 재활병원 등 8개 기관에서 뇌졸중, 퇴행성 신경계 질환으로 인하여 연하장애가 발생한 환자 총8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2월부터 4월까지였으며, 연구도구는 CES-D, RULS, PIL, SWAL-QOL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울이 있는 군은 대상자의 20.7%였고, 보통 이상의 사회적 고립감을 느끼는 군 92.0%, 실존적 공허상태에 있는 군이 64.4% 였다. 즉, 대다수의 대상자들이 사회적 고립감을 경험하고 실존적 공허상태에 있었으며, 삶의 질의 평균 점수는 158.89(35.97)점이었다. 연하장애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을 확인한 결과, 경관급식의 경우가 정상식이보다 삶의 질이 유의하게 낮았고(${\beta}=-0.57$, p<.001), 생의 의미가 낮아 실존적 공허상태에 있는 경우(${\beta}=0.19$ p=.014)가 삶의 질이 낮았다. 30-49세의 연령은 80세 이상보다 삶의 질이 높았으며(${\beta}=0.26$, p=.001), 대학교 수준 이상의 교육수준이 무학에 비해 삶의 질이 높았다(${\beta}=0.17$, p=.032). 이 중 연하장애 환자의 삶의 질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변수는 경관급식이었고 (${\beta}=-0.57$, p<.001), 이러한 4개의 변수는 연하장애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해 50.7%(F=28.84 p=.031)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그러므로 연하장애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생의 의미를 높일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경관급식 환자의 삶의 질이나 정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셀프 조향 AI 디퓨저 (Free-mixing AI Dispenser)

  • 김영서;김규현;정예림;고나영;이경용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00-303
    • /
    • 2020
  • 코로나 19사태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운동이 지속되면서 사람들의 생활 형태가 변화된 양상을 띈다. 특히 모임 활동 및 단체 활동의 제한으로 개인 시간이 이전에 비해 증대되었다. 홀로 자택에 머무르는 시간의 증가로 인해 사회적 단절감과 고립감이 심화되며 "코로나 블루"로 일컫어지는 신종 정신 질환이 많은 사람들에게 생겨나 사회적 문제로 이슈화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해 고안된 새로운 디퓨저 개발과정 및 기존 디퓨저에서 볼 수 없었던 IoT기술과 조향기술과의 접목을 통한 차별성에 대해 서술하였다.

독거노인에 대한 지원정책의 현황과 문제점과 법제도적 개선방안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Support Polices and Legal Improvement Devices for the Aged Living Alone)

  • 노재철;고준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57-268
    • /
    • 2013
  • 오늘 날 노인들은 60세 전후로 정년을 하고도 30~40년을 더 살아야 한다. 노인성 질환과 싸워나가야 하는 노인들의 삶의 질은 미래의 잠재적 노인인 우리 모두의 절실한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평균수명의 연장이 재앙이 아니라 축복이 되기 위해서는 노인문제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정부나 지자체의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어져야 한다. 특히 고령 노인들 중 독거노인들이 증가하고 있다. 노인이 홀로 산다 해도 사회적으로 고립되지 않고 다양한 생활지원을 받으면서 생활해갈 수 있는 사회의 실현이 요구된다. 사회적 고립을 방지하는 활동을 포함하여 독거고령자의 생활지원을 할 경우에도 동거자가 있는 노인에 대한 경우와는 다른 어려움이 있다고 생각된다. 이 연구에서는 독거노인에 대한 지원정책의 현황을 검토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법제도적인 지원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노후생활지원 여가활동 프로그램 모형 개발 (Retirement Assisted Living Program Development Activities)

  • 손명동;박천규;정민영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7-378
    • /
    • 2011
  • 급격한 고령화 시대에 노년층의 사회참여욕구가 확대되고 있으나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모르고 있어 지역사회의 사회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도가 매우 낮고 제도나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성이 제한적인 실정이다. 가족기능이 해체된 노인을 대상으로 노후 생활 지원욕구에 발맞춰 경제적지원, 취업지원, 의료지원, 여가지원 등 각종 복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보편적이고 일상적인 생활을 영위하도록 지원하고자 많은 노력을 하고는 있으나 이를 체계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모델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노인들의 역할 및 지위 상실로 인하여 가정에서 고립된 생활을 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복지 전문가가 현장에서 비교적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체계화된 모델을 제안함으로 생활스트레스 감소, 인지기능 향상, 우울증 감소,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고 노인여가 문화에 대한 건전성 확산을 통해 건강한 노후생활을 영위하게 하며 문화생활 지원을 통해 사회적 비용 부담 경감을 도모함과 동시에 자존감의 고취 및 자율성을 획득하고 자아성취감과 만족감을 느끼게 하는데 있다.

  • PDF

사회적 고립 아동의 사회기술훈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Social Skills Training for Socially Isolated Children)

  • 유연수;이양희
    • 아동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1-67
    • /
    • 2001
  • Children who have problems in interacting appropriately with others typically have significant social skills deficits. Social skills training has become a primary intervention to improve the appropriate peer relationship or peer acceptance. Many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s have been designed and implemented on socially isolated children, however the findings from many studies investigating the effect of social skills interventions are various.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by using quantitative method of meta-analysis. Second, it was to review a various research in detail. Third, it was to provide the basis of planning a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these purposes, findings from 26 studies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social skills interventions for 624 socially isolated children (5-12 years) were analyzed.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 The pooled overall mean effect size(ES) was 1.11. On average, the pooled mean effect size(ES) according to the different research variables was large, meaning that the social skills intervention had a great effect and was socially important and necessary for socially isolated children. It would be recommended that social skills programs include appropriate target behaviors through multidisciplinary assessment process. This program should mainly focus on the improvement of prosocial behavior skills as well as reducing problem behaviors. For preschool children, over 50 minutes per session, two to three sessions per week, for a total of total over 20 sessions would be ideal. Posttest and follow-up need to perform for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Content of the program should be tailored to the developmental level as well as the interest level of the childre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