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적지원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39초

호텔기업 조직공정성과 종사원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원 인식수준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in Hotel Firms)

  • 하용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368-377
    • /
    • 2010
  • 본 연구는 호텔기업의 조직공정성이 사회적지원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지원이 조직공정성과 혁신행동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밝혀내고자 서울지역에 소재한 특등호텔 종사원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조직공정성이 사회적지원과 혁신행동에 영향력이 있고, 사회적지원이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력이 있음을 밝혀냈다. 또한 사회적지원이 조직공정성과 혁신행동의 관계에 매개효과를 나타냄을 밝혀냈다. 이 결과는 호텔기업의 조직관리 측면에서 조직공정성, 사회적지원의 중요성과 혁신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미국내 알콜중독자 자녀들이 적응도에 관한연구 : 이론적 모델 테스트 (A Study on the Adjustment of Offspring of Alcoholics in the United States: A Test of Theoretical Model)

  • 장진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2권2호
    • /
    • pp.118-128
    • /
    • 1994
  • 본 연구의 목적은 알콜중독가정에서 성장한 성인자녀들의 적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간의 인과관계를 설명해줄 수 있는 이론적 인과관계모델을 개발하고 그 모델의 적합 성(fit of the model)에 대해 연구되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인과관계모델은 가족 체계이론 대응이론 사회지원이론, 그리고 사회학습이론에 기초를 두고 개발되었다. 본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이론적 인과관계모델은 표보의 특성을 좀 더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고 모델의 적합 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수정된 인과관계모델을 바탕으로 연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1) 사회적지원의 이용성을 인식하는 성인 자녀들의 경우 정서적으로 불 안정한 상태를 초래했으며 ;2) 사회적지원은 삶에 대한 적응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3) 정서적으로 안정된 성인자녀들의 경우 글의 삶에 좀 더나은 적응도를 나타내는데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사회적지원과 성인자녀들의 정서적 상태간의 부정적 인관관계에 대해 논의 되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현장에서의 실제 활용에 대해서도 논의 되었다.

  • PDF

사회적지원, 부부갈등, 자기효능감, 양육스트레스와 영아기 어머니의 양육행동간 경로분석 (A Path Analysis of Social support, Marital conflict, Self-efficacy,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i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of infants)

  • 김종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3924-393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기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원, 부부갈등, 자기효능감, 그리고 양육스트레스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이들 변인이 양육행동에 각각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했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조사한 "한국아동패널연구: 2009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대상자는 11~18개월의 영아 1,467명(남아 739명, 여아 728명)의 어머니이고, 연구방법으로 양육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원, 부부갈등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했으며, 이들 변인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양육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원, 부부갈등과 양육행동 간의 상관은 사회적지원, 자기효능감이 정적 상관(p<.01)을, 부부갈등, 양육스트레스와는 부적 상관(p<.01)이 있었다. 둘째, 양육행동에 대한 이들 변인들의 중다상관계수는 .533으로써 양육행동 변량의 28.4%를 설명하고 있다. 그 중에 양육스트레스(${\beta}$=-.396)가 가장 많은 변량을 설명하고, 다음으로는 사회적지원(${\beta}$=.223)이였다. 부부갈등은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였지만 간접적인 효과는 확인된 것으로 보아 양육스트레스를 매개로 나타난다는 것을 시사한다.

항공사 콜센터 상담원의 감정노동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원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irline tele-communicator's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 최은주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71-180
    • /
    • 2011
  • 본 논문은 감정노동 종사자 중 항공사 콜센터에 근무하는 상담원을 대상으로 감정노동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와 그 관계를 조절하는 사회적 지원의 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분석결과 항공사 콜센터 상담원의 감정노동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정노동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원은 부(-)적으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사와 동료의 지원이 상담원의 감정노동으로 표출되는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항공사 조직관리 측면에서 상담원의 감정노동 수준을 정확히 파악하여 콜센터 경쟁력에 기여하고 이는 상담원의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사회적지원이 융복합서비스산업 종사자의 조직몰입과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service quality of the labors in the convergence service industry)

  • 이자현;양해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129-136
    • /
    • 2016
  • 본 연구는 융복합서비스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원이 융복합서비스산업 종사자의 조직몰입 및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서울시와 수도권 소재 20개 중소기업에 종사하는 233명의 융복합서비스산업 종사자들로부터 질문지를 활용하여 수집하였다. 주된 자료 분석은 구조방정식모형분석기법을 사용하였다. 단계적 회귀분석방법을 통한 연구 분석 결과 사회적지원의 측정변수인 동료의 지원과 상사의 지원은 융복합서비스산업 종사자의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료의 지원과 상사의 지원을 거친 조직몰입이 서비스품질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직구성원간의 관계 지향적 지원감독이 조직몰입과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이론적 실증적 함의를 논의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보안팀 탐방-넥슨 보안팀

  • 한국정보보호진흥원
    • 정보보호뉴스
    • /
    • 통권131호
    • /
    • pp.21-23
    • /
    • 2008
  • 기업의 사회공헌에 대한 사회 구성원들의 요구가 있다. 기업의 규모가 크면 클수록 사회 공공의 이익을 위한 더 많은 공익적 활동이 있게 마련이고, 실제로 적지 않은 기업이 봉사 활동이나 기부 등을 통해 사회공헌을 실천하고 있다. 당위성이 우선 시 되는 정보보호도 마찬가지. 지난 몇 년간 대형 웹 서비스 기업을 중심으로 정보보호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넥슨도 이런 사회적 책임을 요구받는 기업 중 하나다.

  • PDF

노인의 생활 만족도에 관한 일 연구 (A Study on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 신효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3권3호
    • /
    • pp.66-73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네 집단 즉 유배우 남자노인 무배우 남자노인, 유배우 여자노 인, 무배우 여자노인으로 분류하여 노인의 경제상태와 사회적 활동정도 및 사회적지원(자녀 와 친구의 도구적, 정서적 지원)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각 변인들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동시에 이를 통하여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가 되고자하였다. 본 연구의 결 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별 노인의 생활만족도는 대체로 중간정도에 머무르고 있었으나 무배우 노인들은 유배우 노인보다 상대적으로 생활만족도가 낮으며 그중에서도 무 배우 남자노인의 경우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네 집단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경제상 태 사회적 활동정도 사회적 지원의 상대적 영향력을 본 결과 유배우 남자노인의 경우 자녀 의 정서적 지원, 경제상태, 사회적활동 순으로 나타났으며 무배우 남자노인의 경우는 경제상 태 자녀의 정서적 니원 친구의 도구적 지원, 사회적 활동정도순으로 나타났다 유배우 여자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변인들의 영향력은 자녀의 정서적 지원 친구의 정서적지원 경제 상태순으로 나타났으며 무배우 여자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변인들의 영향력은 자녀의 정 서적 지원 사회적활동정도 경제상태 순으로 나타났다.

  • PDF

뇌졸중환자의 자기 효능감, 사회적지지, 삶의질 연구 (The Study of Stroke Patient's of Social Support, Self- Efficacy and Qualty of Life)

  • 이혜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219-225
    • /
    • 2018
  •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도과 삶의 질을 평가하고 뇌졸중환자의 사회적지지도, 자기 효능감과 삶의 질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 P시에 소재하는 재활병원에 뇌졸중 진단을 받고 입원해있는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자료 수집은 2017년 8월 1일부터 10 월 1일까지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은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재활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와 자기 효능감 모두 향상시키는 다양한 방법을 치료에 제공한다면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일 것으로 사료된다.

체육프로그램 참여노인의 사회적지원이 건강증진행위 및 라이프스타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Life Style of Elderly People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Program)

  • 김대훈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78-38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프로그램 참여노인의 사회적지원이 건강증진행위 및 라이프스타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총 305부의 설문지를 배포 후 회수하였고 회수된 설문지의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일부 누락된 자료 21부를 제외하고 최종 284부를 SPSS 18.0 Ver.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 및 절차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원은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원은 라이프스타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건강증진행위는 라이프스타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Factors and Major Crimes in Korean Capital Area

  • 박수정;김홍석
    • 지역연구
    • /
    • 제31권4호
    • /
    • pp.3-24
    • /
    • 2015
  • 한국의 범죄 발생 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한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범죄의 원인을 분석하는 접근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범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기존의 관점뿐만 아니라 새로운 관점에서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 사회적 지원 이론은 범죄 발생과 연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범죄 발생을 억제 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요소이다. 본 연구는 공간 계량 모형과 최소자승모형을 통해 사회적 해체이론, 도시계획 등의 기존 관점의 요소와 사회적지원 요소가 세 가지 범죄(흉악, 절도, 폭력)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거의 모든 기존 관점의 요소들이 유의한 가운데 가족으로부터의 사회적지원 요소의 대리 변수 중 하나인 1인 가구는 모든 범죄에서 유효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폭력에서는 다른 대리 변수인 이혼율 또한 유의하게 나타났다. 지방 정부로부터의 사회지원 요소는 재산 범죄인 절도에서만 유의미하였고 공간계량 모형은 흉악 범죄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렇게 각 요소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각 범죄의 다른 특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가족으로부터의 사회적지원 요소의 부족이 범죄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결과를 이끌어내고 사회복지 예산의 긍정적 외부 효과를 밝혀내었다는 점에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는 방범 서비스, CCTV 등의 요소뿐만이 아니라 가족으로부터의 사회적 지원 요소와 사회복지 예산 또한 범죄 방지 방안의 하나로 고려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