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자본

Search Result 1,30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가족배경, 사회자본 및 문화자본의 영향

  • Kim, Hyeon-Ju;Lee, Byeong-Hu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0 no.1
    • /
    • pp.125-14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학업성취를 통해 재생산되도록 만드는 변수들의 영향을 밝히려고 하였다. 가족의 사회경제적 변수, 극히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이 독립적으로 또는 가족배경을 맥락으로 자녀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중고등학생 총 2771명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중학생에 비해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변수의 영향력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영향력은 증가하였다. 성별에 따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의 경우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변수와 가족의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영향력이 동시에 존재하나 여학생의 경우에는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영향이 거의 없고, 부모의 사회경제적 변수 중에서 아버지의 직업과 자산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영향력은 상당부분 부모의 사회경제적 자원에 흡수되는 경향이 있으나 가족의 자녀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학업성취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자본임을 발견하였다.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경제적 지원만으로는 자녀의 학업성취를 높이기 어려우며 사회자본이나 문화자본과 함께 결합된 사회경제적 지원이 자녀의 학업성취에 기여함을 발견하였다.

The Roles of Public Libraries as a Construction Mechanism of Social and Cultural Capital (사회자본과 문화자본 형성 기제로서의 공공도서관의 역할)

  • Lee, Seungmin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9 no.4
    • /
    • pp.139-16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public library use on the construction of social and cultural capital and the close of social classes reproduction through the survey targeting public library users. As a result, the use of public libraries positively affects the construction of both social and cultural capital. In contrast, it partially addresses the problems in social classes reproduction because the social classes with higher levels of education and income tend to use public libraries more often. In order to take a role of and contribute to equal construction of social and cultural capital, public libraries need to be public places for open and social interac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for public libraries to improve their roles to allow community members to access and utilize various cultural resources.

Analyzing the Social Capital in response to Earthquake (국내 지진 대응에서의 사회적 자본 분석)

  • Cho, Min-Kyung;Yoon, Hong-Sik;Song, Moon-Soo;Kwon, J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402-404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최근 국내의 재난 이슈로 부각된 지진 대응과 관련된 사회적 자본 손실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각종 재난 상황에서 경제적, 인적 피해에 대한 추정과 조사는 당연하게 이루어지는 반면, 사회자본 손실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사회적 자본은 하나의 가치로 인식될 뿐 실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무형의 자본으로 인식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사회자본의 그 유용성과 역할은 작지 않다. 오늘날의 물적, 인적 자원은 그 양과 질적인 면에서 충분한 수준을 이루었으나, 사회가 발전하는 데에는 또 다른 자본의 영향이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 현재의 흐름이다. 바로 이때 논의할 수 있는 것이 사회자본인 것이다. 현대에 발생하는 모든 재난에 대응하고 이를 관리하는 데에도 물적, 인적 자원 외에 사회적 자본이 필요하다. 물적, 인적 자원이 충분히 확보되고 동원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재난관리가 실패할 수 있는 이유에는 사회적 자본 붕괴가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재난관리에 있어서 사회자본의 중요성을 인식함은 물론 이를 측정하고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필요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Social Capital Formation and Model Applicability of Intellectual Capital in Public Libraries (공공도서관의 사회자본 형성과 지적자본 모형 적용 가능성)

  • Park, Seong-Woo;Chang, Woo-Kwo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1 no.1
    • /
    • pp.233-254
    • /
    • 2010
  • This research attempted to examine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and intellectual capital for re-conceptualizing the library's total values. This approach enabled research to analyze that social capital formation is created by public libraries as functioning agencies. Intellectual capital consisted of human capital, structur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was examined on applicability in the public libraries by understanding social capital. The research outlined the mechanism for total values of libraries. Finally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expected to help to research for libraries' identity.

  • PDF

A Study on the Cause and Effect of Assessment Index of Intellectual Capital and Performance of the Public Library (공공도서관 지적자본 평가지표와 성과의 인과관계 연구)

  • Park, Seong-Woo;Chang, Woo-K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8 no.4
    • /
    • pp.279-307
    • /
    • 2011
  • Intellectual capital is the driving force for the competitive advantage and durability of the public library. This asset consists of the library members' competences,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constructed by the members, and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people sharing the same interests. These are called human capital, structur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in the respective ord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the public library's intellectual capital assessment as well as creating an experimental assessment model. It analysed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capital, which generated an assessment index. In addition, it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intellectual capital and performance were discovered through empirical study to improve the assessment syste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Ability to use Information Technology and Social Capital: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Device use Efficacy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과 사회자본의 관계: 디지털 기기 이용 효능감 매개효과 검증)

  • Jun-Su Kim;Woo-Hong Cho;Young-Eun Jang;Kil-Hee Byon;Dea-Hun Choi;Mee-Kyung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327-33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노인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실시한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SPSS 25.0 통계프로그램으로 개인의 인구사회학적특성, 정보화기기 중 PC, 모바일 기기 활용능력,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을 독립변수로 하고 노인의 사회자본을 종속변수로 하여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노인의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남성보다 여성의 사회자본 수준이 높았고, 나이가 많은 사람, 월평균 소득이 높은 사람, 다른 가족과 함께 거주하는 노인의 사회자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독립변수인 PC활용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고, 모바일기기 활용 능력과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높을수록 사회자본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후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매개하는지 분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pc활용능력 →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 사회자본에 이르는 경로와 모바일기기 활용능력 →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 사회자본에 이르는 매개효과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정보화기기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교육기관의 노력과 단순한 컨텐츠 위주의 교육에서 보다 실용적이고 즉시적인 교육 콘텐츠 전환 등 실천적 노력에 대해 제언하였다.

  • PDF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the Quality of Life of Married Female Immigrants -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 Kim, Min Soo;Lee, Hyun Ji
    •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 /
    • no.56
    • /
    • pp.225-25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social capital among married female immigrant on their quality of lif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60 married female immigrants and SPSS Statistics 20.0 and AMOS 22.0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capital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mpowerment and quality of life among married female immigrants. In addition, empowerment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or in the association of social capital and quality of lif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ractice to improve social capital and empowerment of married female immigrants and recommendations for the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Social Capital of Married Women: Variations by Employment Status (취업 여부에 따른 기혼 여성의 사회자본 특성)

  • Lee, Yoon-Joo;Chin, Mee-Jung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4 no.2
    • /
    • pp.91-111
    • /
    • 2011
  • Based on social capital theory, this study intends to understand accessed and mobilized social capital of married women with young childre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types of social capital in terms of their employment status. Factors related to accessed and mobilized social capital are also investigated. The subjects are 571 married women (284 employed and 287 unemployed) who have children younger than 5 years old. Their networks are revealed to show different composition and resourc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respective employment status.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 in accessing social capital depending on the employment status. However, working women are capable of mobilizing more social capital for economic resources and child-care assistance than non-working women. The employment status is significant only in mobilizing social capital related to child-caring assistance. The effects of variables related to social networks of married women differ according to the types of resources sought for. The choices of married women on the employment status and child-rearing are observed in the findings of the ability to mobilize social capital for child-care assistance. The importance of kin ties and various social services for building social capital are discussed.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사회적 자본이 사회적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 Lee, Jun-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4
    • /
    • pp.644-65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lements of virtuous cycle to lay a foundation for the coevolution of corporations(organizations) and communities through corporate growth and distribution based on the social capital of social enterprises. The study aimed to categorize social capital into structural, cognitive, and relational capital and examine their effects on the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The subject companies include 250 of social enterprises registered at and certified by the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 through random sampling. The study set two hypotheses and 6 particular hypotheses and performed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looked into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economic performance and found that relational capital was proper for it. Second, the study also looked into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social performance and found that relational capital was proper for it.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Social Capital Scale and Validity of the Elderly (노인의 사회자본 척도개발과 타당도 연구)

  • Kim, min-joo;Ji, eun-gu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79-80
    • /
    • 2017
  • 사회자본은 노인에게 있어 그들의 욕구 및 문제를 해결하는데 용이하게 작용을 할 뿐 만아니라, 나아가 지역사회에서 생활함에 있어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능적 역할을 하기 때문에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많은 선행연구들에서 노인의 사회자본 연구들이 진행되고는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에서 척도의 검증 없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사회자본의 개념 및 구성요소를 정의하고, 기존연구에서 제시된 사회자본 측정 문항들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노인들이 인지하는 사회자본 척도를 개발한 후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