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사

검색결과 9,482건 처리시간 0.047초

수학사의 방법론

  • 허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0-47
    • /
    • 1997
  • 수학사를 연구하고 편집하는 여러 가지 방법론(Historiography of Mathematics)을 소개한다. 수학사를 역사주의 관점에서 연구하는 문화적 수학사와 현대 수학을 중심으로 고려하는 수학적 수학사 및 사회학적 방법으로 접근하는 사회적 수학사를 고찰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수학사에 대한 최근의 다양한 접근 방법을 소개한다.

  • PDF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신념과 경험에 관한 연구 -이중관계(dual relationship)를 중심으로- (Social Workers' ethical beliefs and experiences -Focused on Client-Worker Dual Relationships-)

  • 김진숙;장연진
    • 사회복지연구
    • /
    • 제43권2호
    • /
    • pp.235-26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사회복지사들의 윤리의식이 어떻게 형성되어 있으며, 어떤 윤리적 행동을 하고 있는지를 클라이언트와의 "이중관계"에 대한 신념과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중관계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신념과 경험 정도,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조직의 특성에 따라 사회복지사의 신념과 경험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 사회복지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현직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379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사들은 신념에 있어서는 이중관계에 대해 다소 허용적인 측면을 갖고 있으나, 실제 경험적으로는 윤리적인 경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소속된 기관의 특성에 따른 사회복지사들의 윤리적 신념과 경험의 차이는 연령, 결혼여부, 종교유무, 윤리교육 여부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성별, 교육수준, 경력, 기관형태, 업무형태, 직위, 사회복지사로 재직하면서 윤리에 대한 교육이나 훈련을 받은 경험과 기관의 윤리기준 유무, 주요 서비스 대상 등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 윤리교육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인터뷰 - 김충일 (사)한국포장기술사회 회장

  • 김신철
    • 월간포장계
    • /
    • 통권352호
    • /
    • pp.96-98
    • /
    • 2022
  • (사)한국포장기술사회는 지난 7월 20일(수) 제11대 회장 선출을 안건으로 임시총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제10대 김충일 부회장이 제11대 회장으로 선임되었다. 김충일 신임 회장은 앞으로 3년간 (사)한국포장기술사회를 이끌게 된다. 김충일 신임 회장에게 취임 소감과 향후 계획 등에 대해 들어보았다.

  • PDF

주민주도성에 대한 사회복지사와 주민간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Difference Analysis between Social Workers and Community Members about Perception of Citizen-Initiative)

  • 장연진;강규태;하은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9호
    • /
    • pp.451-469
    • /
    • 2019
  • 본 연구는 주민주도성에 대한 사회복지사와 주민 간의 인식 차이를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10명의 지역조직화 사업 담당 사회복지사와 2년 이상 지역사회 활동에 참여한 10명의 주민을 대상으로, 주민주도성에 대한 59개의 문장의 중요도와 난이도를 평정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복지사와 주민 간의 인식 차이는 전반적으로 중요도 인식보다 난이도 인식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예산과 외부 재정적 지원에 대해서는 사회복지사와 주민 모두 난이도가 높다고 응답하였다. 59개 문장에 대한 범주별 분석 결과에서는 절차 범주 내의 목표와 책임, 민주적 체계에서 사회복지사와 주민 간의 인식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주민주도성에 대한 합의와 공통적 개념 정의를 이끌어내는 데 필요한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사회복지사의 지역사회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Social Worker's Experience in Community Practice -focused on community welfare centers-)

  • 최옥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2권
    • /
    • pp.301-324
    • /
    • 2003
  • 이 연구는 지역사회실천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전 단계로 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사가 지역사회 실천 사례에 개입한 경험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자는 '사회복지사는 지역사회실천 사례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가?'라는 연구 문제를 풀어가기 위해 질적 연구인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지역사회실천 사례 경험이 있는 아홉 개 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사 11명과 1 대 1 또는 1 대 2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근거이론에 따라 면접 내용을 개방코딩한 결과 총 166개 개념으로부터 41개 하위범주와 여덟 개 범주를 추출하였다. 이들 범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실천 경험의 패러다임 모형을 만들었고, 이 모형을 근거로 '열악한 여건에서 의지적 노력으로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여 발전적 경험으로 쌓이는 과정'이라는 핵심 범주를 추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사회복지사는 지역사회실천 요체로서 주민, 지역사회, 사회복지사(자신), 사회복지관의 여건을 중시하고, 전체 과정에서 다양한 전략을 구사한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아울러 지역사회실천 관련 교육과 훈련을 강화하기 위해 대학과 사회복지관이 협력하여 훈련 체계를 갖추어야 함을 알게 되었다.

  • PDF

사회복지 교육, 현장을 담아라

  • 박숙미
    • Social Workers
    • /
    • 4호통권48호
    • /
    • pp.4-7
    • /
    • 2006
  • 학교에서 배운 교과목을 토대로 현장에 나가보지만, 그동안 배워왔던 이론 속의 사회복지와 현장의 사회복지는 다른 점이 너무나 많다. 심지어 ‘처음부터 다시’라는 말이 선임사회복지사들의 입에서 나오고 있다. 현장에서 활동 중인 사회복지사들의 이야기를 통해 사회복지교과목에 대한 방향성을 알아보자. 또 사회복지사 1급 국가시험과 맞물려 대학의 교과목 운영방안과 깊은 관련이 있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사회복지교육지침서 개편 방안에 대해서도 들어보자.

  • PDF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인식과 조직헌신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between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ocial Workers in Welfare Centers for Disabled Persons)

  • 이병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343-347
    • /
    • 2022
  • 본 연구는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인식과 조직헌신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C도와 D시의 14개소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에서 종사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2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전문성인식의 조직헌신에 대한 영향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분석결과를 기초로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의 가장 주요한 인력인 사회복지사들의 조직헌신을 높이는 차원에서 몇 가지 방법들을 제안하였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보수교육의 강화, 채용절차에서 전문직으로서의 소명의식에 대한 점수부여, 사회복지사들의 의견을 반영한 합리적인 시설운영 등이 요구된다. 둘째, 사회복지사들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감정노동을 경험하는 사회복지사들에 대한 적극적인 상담 등의 개입, 직무성과를 높이기 위해 적합한 슈퍼비전과 직무교육의 제공, 시설장의 리더십을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등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