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불안

검색결과 969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 중·노년의 노화불안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The Meta-analysis on Variables Related to Aging Anxiety of Middle and Old Aged in Korea)

  • 김일식;김계령
    • 한국노년학
    • /
    • 제38권2호
    • /
    • pp.309-32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중 노년의 노화불안에 미치는 변인들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2007년 2월부터 2017년 3월까지 국내에서 보고된 34편의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노화불안 관련 변인들을 6개의 변인군으로 나누고 각각 변인군에 대하여 하위변인별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효과크기는 중간효과크기를 보였고, 변인군에 따른 효과크기는 부정심리적변인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긍정심리적변인군, 사회적변인군, 신체적변인군, 가족적변인군, 인구통계적변인군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위변인들 중에서는 심리적 안녕감, 죽음불안의 효과크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기와 같이 노화불안과 관련된 변인들 중 심리적변인군에 속한 심리적 안녕감과 죽음불안의 효과크기가 높게 나타남에 따라 이러한 변인들이 노화불안 중재에 영향력이 클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대학생의 노후 불안 영향 요인 (Factors Affecting Aging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 윤미선;김승용
    • 한국노년학
    • /
    • 제39권1호
    • /
    • pp.61-72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노후 불안, 조부모와 유대감, 효의식 정도 및 특성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고 노후 불안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노후 불안을 감소 할 수 방안을 찾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 충청지역 대학생이며, 자료수집은 네이버 오피스로 작성된 온라인 설문지를 2018년 4월 2일부터 6월 15일까지 SNS로 배부하여 213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0.0 Version으로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 편차, t-test, ANOVA를 구하였고, 변수간의 상관 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노후 불안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공선성을 진단한 후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노후 불안은 전공에 따라, 조부모와 유대감은 성별에 따라 그리고 효의식은 종교유무와 조부모와 동거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노후 불안은 조부모와 유대감이 낮을수록, 효의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노인의 불안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복수매개 효과 (Effects of Anxiety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 박민정;정미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4-33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the elderly. Methods: The Korea adult psycho-social anxiety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to September 2015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The subjects were 1,035 elderly people who were aged 65 or older at the time of the data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chi-squar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parallel redundant mediated model for PROCESS macro using SPSS 23.0. Results: They scored an average of 37.93±7.58 for anxiety, 28.59±3.45 for self-esteem, 17.25±4.11 for social support, and 0.88±0.11 for HRQoL. The direct effect of anxiety on HRQoL and the indirect effect of anxiety mediated with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bout HRQo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HRQoL of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focuses not only on reducing anxiety but also on improving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학령기 아동의 애착안정성, 사회불안 및 우울의 관계: 자기유능감의 매개 효과 (Relationship of Attachment Security, to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in School-aged Childre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Competency)

  • 문소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6권2호
    • /
    • pp.156-163
    • /
    • 2010
  • Purpose: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attachment security to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competency in relation to attachment security and the other variables was investigated.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94 students in grade 5 or 6, and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with SPSS/PC 12.0 program to analyze the data. The instruments used were Kerns, Klepac and Cole's Security Scale, La Greca & Stones' Revised Social Anxiety Scales for children (SASC-R), Cho and Lee's Korean form of Kovac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and Harter' Self-perception Profile for Children.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between attachment security and the variables,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Also, self competenc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Self competency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of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to attachment security. Conclusion: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in school-aged children, programs including strategies to increase self competency should be developed. These programs can increase self competency which has a mediator role between attachment security and the other variables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아동과 청소년의 정서적유능성과 사회불안과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Competence and Social Anxiety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 박영애;김리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7-3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ompetence and social anxiety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85 children between fifth and sixth grade ages and 579 middle school students. Their emotional competence was assessed by 'Korean Emotional Competence scale (Kim et al., 2004),' and also their social adjustment was assessed by 'Social Anxiety Scale (Moon & Oh, 2002).' The data were analyzed by ANOVA, the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using SP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hildren's and adolescents' emotional competence and social anxiety were relatively high. (2) Their emotional competence had a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SES, gender, and birth order. (3) Their social anxiety had a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SES, gender, and birth order. (4)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ir emotional competence and social anxiety. (5) A regression analysis result of children's and adolescents' social anxiety showed that approximately 11.3% variance could be explained by four emotional competence variables: 'self-expressiveness and assertion,'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emotion,' 'positive acceptance,' and 'collective consciousness.'

  • PDF

성별에 따른 학령기 후기 아동의 자기유능감, 사회불안, 우울 (Gender Differences in Self-competence,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in Upper Level Primary School Children)

  • 문소현;조헌하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6권3호
    • /
    • pp.230-238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in self-competence,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in upper level primary school children. Methods: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180 students in grades 5 or 6 (83 boys and 97 girls).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Self-Perception Profile for Children, the Revised Social Anxiety Scales for Children (SASC-R) and a Depression Instrument.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with the SPSS/PC ver 12.0 program. Results: The only gender difference was in depression and girls reported more depression than boys. Social competence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with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self competence in the prediction of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self competence which influence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Thus, enhancing self-competence could prevent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in children but, differences in gender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programs to enhance self-competence.

어머니의 우울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청소년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ernal depression and adolescent's self-esteem on the adolescent's social anxiety)

  • 최선윤;이지민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835-84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maternal depression, adolescent's self-esteem and adolescent's sex, grade, birth order on the adolescent's social anxiety. for this purpose, data from 334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mothers were collected. frequency, percentage, Cronbach's a, M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of adolescent's social anxiety according to adolescent's sex, grade and birth order. Second, there were not significant effects of adolescent's sex, grade, birth order and maternal depression on three subordinate factors of adolescent's social anxiety, but adolescent's self-esteem had significant effects o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new), and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general) as subordinate factors of adolescent's social anxiety.

사회 위기관리를 위한 전자정부의 빅데이터 활용 방안 (e-Gov's Big Data utilization plan for social crisis management)

  • 정영철;최익수;배용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35-442
    • /
    • 2017
  • 근래에 불가측성을 지닌 재난의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우리는 각종 재난으로 인한 사회 불안 심리가 심화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사회 위기 현상으로 최근 우리 사회에 일어난 굵직한 재난에 대비하여 미래 사회의 안전한 대비책을 미리 마련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므로 우리는 사회 위기 관리 상황에 항상 대비하기 위해서 ICT 강국으로서 정부의 역할과 빅데이터 활용성 가치의 중요성을 인식하여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열거한 각종 재난 사례로 인간불안 심리를 분석하고, 이런 불안한 심리를 해소하는 방안으로의 사회 위기 관리 처방을 위해 우리 전자정부는 빅데이터를 공적으로 잘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찾을 필요성을 가지고 사회 현안 측면의 빅데이터 주요 이슈 중요성과 시급성을 상대적 계열 분석으로 가시화 하였다. 또한 빅데이터 공공부문의 국내외 활용 동향과 함께 빅데이터 가치에 대한 새로운 실증적 접근 방향을 제시 하였다. 그리고 전자정부의 빅데이터 활용 방안으로 전자정부 역할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재난 대응의 사례 분석을 통해 불가측성을 지닌 여러 재난에 있어 사회 위기 관리를 위한 정부의 빅데이터 활용 방안으로서 함의를 지닌 정책을 제언 하였다.

청소노동자는 왜 불안정(precarious)한가? -하청 여성 청소노동과 한국 사회안전망의 허구성 (Why are Cleaning Workers Precarious? - Subcontracted Female Cleaning Labour and Fictional Korean Social Protection)

  • 이승윤;서효진;박고은
    • 산업노동연구
    • /
    • 제24권2호
    • /
    • pp.247-291
    • /
    • 2018
  • 본 연구는 대다수가 원-하청 구조 하의 간접고용 되어 있는 청소노동자의 고용구조와 노동형태, 그리고 사회보장제도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하청 여성 청소노동자의 노동시장에서의 불안정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러한 특징이 어떻게 사회안전망에서의 배제와 연결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하청업체에 고용되어 있는 중고령 여성 청소노동자들은 높은 고용 불안정성과 장시간의 높은 강도의 노동을 하고 있으면서도, 중고령 여성이기 때문에 사회보장제도에 충분히 포괄되거나 보호받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청소 노동자들에 대한 한국의 사회안전망은 다음과 같은 허구성을 가진 것으로 드러났다. 첫째, 여성 청소노동자들은 청소노동 종사 이전에는 비공식적 노동시장에서 일하는 등 국민연금에 최소한의 금액만 납부하였거나 최소 가입기간을 채우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기초연금 및 국민연금을 포함한 공적 연금제도에 의한 노후소득보장 수준이 매우 열악하였다. 둘째, 한국 퇴직급여 제도가 퇴직연금체계로 전환되는 흐름 속에서, 원-하청업체 간의 계약 해지에 따라 업체변경이 빈번한 하청 청소노동자들은 안정적인 기금 형성이 어려워 퇴직연금체제가 노후소득보장제도로서 실효성을 갖는 데 한계가 있었다. 셋째, 고용보험의 경우 현행 실업급여제도는 가입자격 관련 연령기준으로 인해 수급자격이 박탈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직업훈련과 구직활동 서비스 또한 대개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고령의 청소노동자들은 반복적인 육체노동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에 많이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화와 산재간 판정의 어려움, 그리고 원-하청의 고용구조로 인해 산재보험의 혜택을 받는 경우는 드물었다. 결론적으로, 하청 청소노동시장에서 중고령 여성 청소노동자의 일에 대한 불안정성은 상당히 높은데도 불구하고, 한국의 사회보장제도는 이들이 노동자로써 뿐만 아니라 최소한의 인간다운 삶을 유지하게 하는 데 많은 한계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되었다.

기술활용도 측면의 불완전고용이 재취업자의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일에 대한 몰입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kill-utilization based underemployment on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Employment commitment and social support as moderators)

  • 노연희;김명언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6권3호
    • /
    • pp.355-383
    • /
    • 2010
  • 본 연구는 기술활용도 측면의 불완전고용이 개인의 자존감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영향에 대한 일에 대한 몰입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는 종단으로 설계되어 2회의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1차 조사 시점에서 실업 후 미취업 상태에 있었으나 2차 조사 시점에서는 재취업에 성공한 153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기술활용도 측면에서의 불완전고용은 두 가지 방식으로 측정되었다. 하나는 '학력격차비'로서 현재의 직업에 요구되는 학력을 기준으로 한 개인의 실제 보유학력의 비율(요구 학력/실제 학력)이고, 다른 하나는 자기보고 방식으로 측정된 '지각된 과잉자격'으로 '성장가능성부재'와 '자격불일치'라는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다. 학력격차비는 일에 대한 몰입 및 사회적 지지와 상호작용하여 정신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에 대한 몰입 정도가 낮은 경우 학력격차비에 따른 불완전고용의 정도가 높아질수록 사회부적응과 우울·불안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일에 대한 몰입 정도가 높은 경우 사회부적응과 우울·불안의 정도에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사회적 지지도 학력격차비와 상호작용하여, 사회적 지지를 낮게 지각하는 경우 학력격차비에 따른 불완전고용의 정도가 클수록 우울·불안의 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두 조절변인들은 지각된 과잉자격의 두 하위요인과도 상호작용하여 학력격차비와 유사한 패턴의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일에 대한 몰입은 성장가능성부재 및 자격불일치 요인과 상호작용하여 자존감과 우울·불안에 조절효과를 나타냈고, 사회적 지지는 성장가능성부재와만 상호작용하여 우울·불안에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는 개인 내적 변인인 일에 대한 몰입과 외부 상황적 변인인 사회적 지지가, 기술활용도 측면의 불완전고용이 자존감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완충효과를 가짐을 시사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