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규범

Search Result 56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Influences of Social, Personal Norms and Perceived Importance of Consequences of Behaviors on Pro-Environmental Product Purchase and Recycling Behaviors (사회·개인규범, 행동결과중요성지각이 환경친화제품구매·재활용행동에 미치는 영향)

  • 구동모
    • Asia Marketing Journal
    • /
    • v.2 no.2
    • /
    • pp.86-113
    • /
    • 2000
  • 본 연구는 환경지향제품구매와 재활용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Schwartz 가 제기한 규범이론에 관한 이론고찰과 실증분석을 병행하고 있다. 규범이론의 핵심은 사회규범을 개인의 행동으로 전환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는 것이다. 규범이론에 따르면 환경지향제품구매와 재활용과 같은 이타적 행동은 사람들이 일종의 추상적이고 객관적인 방식으로 동의하는 도덕적 행동에 관한 사회규범으로 시작된다. 그러나 사회규범은 행동을 지배하기에는 너무 일반적이고 소원하다. 따라서 이러한 사회규범은 개인적 차원에서 우리들 각 개인에게 적응되어 개인규범이 된다. 사회규범은 사회적 구조의 차원에서 존재하는 반면 개인규범은 강력하게 내면화 된 도덕적 태도가 된다. 개인이 규범을 내면화 했지만 이에 따라 행동하지 않을 수도 있는 데 상황에 적절하도록 개인규범이 정의되어야 한다. 규범이론은 주어진 상황에 적절하도록 사회규범을 개인규범으로 정의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는 바로 행동결과지각과 책임귀인지각이 개입되어야 한다고 제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상의 규범이론에 근거하여 소비자의 환경지향제품구매행동과 재활용행동을 설명하고자 다음 세 가지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사회규범이 개인규범의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사회규범이 내면화 된 개인규범은 환경지향제품구매행동과 재활용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규범이론은 조절변수가 개입되는 경우 개인규범이 행동으로 전환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진다고 제기한 바, 조절변수의 하나인 환경지향행동결과의 중요성지각의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환경문제가 개입된 상황에서 사회규범은 개인규범의 형성에 강한 영향을 미치며 개인규범은 다시 환경지향제품구매와 재활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환경지향행동결과의 중요성지각 역시 개인규범이 환경지향제품구매행동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조절적 역할을 함으로서 양변수간 관계를 더욱 강화하는 변수임을 연구결과는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개인규범-재활용행동사이에서의 조절적 역할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nstructing Norms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s (초등학교 수학교실에서 형성되는 규범에 관한 연구)

  • Kang, Seon Mi;Kim, Min Kyeong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7 no.2
    • /
    • pp.207-234
    • /
    • 2014
  •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concern of how mathematical idea indicates and shares in a way to promote students' mathematical development. Such ideas highlighting need of the culture of mathematics classroom in mathematical education. The culture of mathematics classroom was constructed classroom social norms, sociomathematical norms, and classroom mathematical practice. This paper investigated how sociomathematical norms were constructed in two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s by two different teachers.

  • PDF

개인의 사회적 규범 기속성(羈束性)과 공공정책의 성공 조건

  • Gang, Eun-Suk;Kim, Jong-Seok
    • 한국정책학회보
    • /
    • v.21 no.3
    • /
    • pp.241-264
    • /
    • 2012
  • 인간에 대한 신고전파 경제학의 가정을 확장할 경우, 인간은 사회적 선호를 가지고 있고 규범을 사용하며 전통과 관습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존재라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사회적 규범을 따르는 개인의 행위를 명시적으로 고려하여 내면화된 사회적 규범을 따르는 경우에 얻는 심리적 만족감과 따르지 않을 경우 치러야 하는 심리적 비용을 δ 요인이라고 개념화하였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δ 요인이 집단행동의 딜레마상황을 해결하는데 어떤 순기능을 발휘하는지, 낮은 행정비용으로 정책의 효과성을 제고하는데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x03B4; 요인이 정책관련 변수와 상호작용하여 어떻게 정책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는지도 들여다 보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가상적) 정책사례들을 살펴본 후 정책이 δ 요인과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여 정책집행의 성공에 도움이 되는 공통된 조건이 무엇인지를 도출하였다. 사회적 규범을 따르는 개인들의 비율이 클수록, 정책대상이 되는 개인들의 행위에 대한 관측가능성의 정도가 높을수록, 사회규범의 준수가 개인의 이익과 연계될수록, 정책으로 실현하고자 하는 가치와 기존 규범과의 충돌이 최소화될수록, 합리적 이기주의자에 대한 통제가 충분히 이루어질수록 δ 요인은 정책과 보완적 관계가 형성되어 정책집행의 성공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 과학자들의 과학자 사회 규범에 대한 인식과 평가 : 물리학, 화학, 생물학을 중심으로

  • Park, Hui-Je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7 no.2
    • /
    • pp.91-124
    • /
    • 2007
  • 이 논문은 우리나라의 물리학, 화학, 생물학 분야의 과학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머튼이 과학자사회의 규범구조로 정식화한 네 가지 규범들-보편성, 공유성, 탈이해관계, 조직화된 회의-과 국가주의 가치관이 실제 과학자사회에서 어느정도 작동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응답자들은 한국 과학자사회에서 출신대학과 해외학위라는 귀속적 지위의 영향으로 보편성 규범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평가했고, 여성의 경우 성의 영향도 큰 것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공유성과 탈이해관계 규범의 경우 한편으로 공유성과 탈이해관계라는 전통적인 규범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비밀주의와 연구주제 선정에 있어서 산업적 응용성과 국가적 필요를 강조하는 국가주의적 가치가 공존하고 있었다. 조직화된 회의 규범의 경우 특히 과학적 증거 이외의 다른 권위들에 대해 회의적인 태도를 견지해야 한다는 규범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다는 평가가 대다수였다. 과학자사회의 규범과 가치에 대한 평가는 각 과학자들의 연구환경에 따라 상이한 모습을 보여주는데 특히 젊은 세대의 과학자들이 보편성과 조직화된 회의 규범의 위반을 더 강도 있게 지적하는 반면 연구 주제의 선정에 있어서 탈이해관계 규범은 부정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 PDF

${\cdot}$ 중학생들의 수학적 신념 형성의 요인 분석 -수학 교실의 사회적 규범을 중심으로-

  • Gwon, Mi-Yeon;Jeon, Pyeong-G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8
    • /
    • pp.189-207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초 ${\cdot}$ 중학생들의 수학적 신념을 알아보고, 그러한 신념을 형성하는 요인들을 수학 교실의 상호작용에서 찾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과 중학교 1, 2, 3학년 학생들의 수학적 신념을 질문지로 조사하였으며 각급 학교의 수학 교실에서 벌어지는 교수-학습 과정을 비디오로 촬영하여 각 교실의 사회적 규범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서, 학생들은 수학은 이미 만들어진 규칙과 용어들로 이루어졌고 그 규칙에 따라 주어진 문제를 풀어 답을 구하는 것이 수학적 활동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이러한 신념은 각급 교실에 형성된 사회수학적 규범과 일치했으며, 특히 개념설명과 새로운 전략 및 오류에 대한 반응과 관련된 사회수학적 규범이 학생들의 수학적 활동을 제한함으로써 그들의 신념을 결정하고 있었다.

  • PDF

Effects of Online Game Users' Need for Affect and Social Norms on their Attitude and Flow Experience (온라인 게임 이용자의 감정욕구와 사회규범 인식이 게임에 대한 태도 및 몰입에 미치는 영향)

  • Kang, Naewo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20 no.4
    • /
    • pp.21-32
    • /
    • 2020
  • The study took online game users' need for affect (approach/avoidance) and social norms (subjective/descriptive) into account and examined how these variables affected their attitude (utilitarian/hedonic) toward online games and their flow experience. Results from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game users' approach affect and subjective norm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ir utilitarian attitude, while their approach/avoidance affect and subjective norm had on their hedonic attitude toward onine games. Plus, the avoidance affect, subjective norm, and utilitarian/hedonic attitudes of game users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ir flow experience.

The Effect of the Social Norms of Mathematics Classroom on Mathematical Beliefs (수학 교실의 사회적 규범이 수학적 신념에 미치는 영향)

  • Han, Kyung-Hwa;Kang, Soon-Ja;Jung, In-Chul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8 no.3
    • /
    • pp.343-35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whether mathematical beliefs have changed when new social norms are formed in math classroom through research using survey papers about mathematical beliefs and math class video photographing. In addition, it would search for social norms of mathematical classroom which affects to students' mathematical beliefs by analyzing culture of mathematical classroom. The result was that the class focusing only general social norms wasn't enough to change students' mathematical beliefs. And as we have examined sociomathematical norms of math classroom through analyzing culture of mathematics classroom, it has affected students' mathematical beliefs.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Age Norms, Social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Death Preparation Activities (노인의 연령규범과 사회활동 및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죽음준비행동의 조절효과)

  • Park, Sun Sook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
    • v.25 no.1
    • /
    • pp.1-13
    • /
    • 2021
  •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structural causality between elderly age norms, social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and to deter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death preparation activities.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or 6,288 people over 65 years old, plus their spouses and children, taken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The study found, first, that the more positive the age norms to which the older person subscribes, the more their social activities increase. Second, as these social activities increase,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lso increases. Third, the more positive the age norms to which the older person subscribes, the more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increases. Fourth,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c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ge norms of the older person and life satisfaction. Fifth, there i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death preparation activities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ge norms, social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that specifically impacts the age norm-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plans to improve elderly people's life satisfaction are recommended.

Factors Affecting Social Capital Awareness of Social economy (사회적 자본이 사회적경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Kuk-Gwen Lee;Seon-Gyeong Park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6
    • /
    • pp.827-831
    • /
    • 2023
  • This study sought to verify and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social capital on social economy awareness.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social economy awareness, norms (t=3.228, p<.01) and participation (t=3.057, p<.01)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economy awareness. In other words, the better the norms are observed and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the more influence it has on social economy awarenes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rawn. First, 'norms' refer to rules or standards that community members must adhere to within society, and these norms play a role in regulating the behavior of individuals and promoting social cooperation. Through this, it is believed that a strong normative system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way people participate or cooperate in social economy activities. Second, 'participation' is an indicator of how actively an individual or group participates in social activities. People with high levels of participation through social capital will have a high level of understanding of social economy awareness and will be able to act effectively. These results show that in previous studies, the better the norms were observed and the more trust and networks were strengthened, the higher the awareness of social economy. In contrast, in this study, norms and trust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but the network did not, showing a difference from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so repeated research is expected to be necessary in the future. Considering the results above, strengthening and developing the elements of social capital such as norms and participation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overall socioeconomic awareness and development.

Influence of Accessibility, Subject Norm, and Social Norm to Use Diversity or Usage of Internet Contents (아동의 인터넷콘텐츠 사용에 대한 접근성과 주관적·사회적 규범의 영향 연구)

  • Ohk, Kyung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5
    • /
    • pp.443-450
    • /
    • 2013
  • This study is about that how accessibility or norm influence to use diversity or usage of internet contents. Two hypotheses tested by statistic analysis.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eater the physical accessibility or intellectual accessibility, the greater the use diversity of internet contents. Second, the greater the physical accessibility or intellectual accessibility, the greater the usage of internet contents. Third, the greater the subject norm, the smaller the usage of internet contents. This study provides some implications that subject norm can influence to reduce usage of internet contents. Th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