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태천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 study on the bedrock erosional forms at Dutayeon, Yanggu (양구 두타연 인근 지역의 기반암 하상지형 연구)

  • KIM, Jong Yeon;KIM, Chang Hwan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9 no.2
    • /
    • pp.31-49
    • /
    • 2012
  • Satae cheon, a tributary of the Suip cheon in Yanggu, Gangwon province, is an international river extended to North Korea. Most of drainage basin area of the river was the fierce battle field during the Korean War(1950-1953) and hard to access as it located between the MDL(Military Demarcation Line) and the CCZ(Civilian Control Zone: about 10km south from MDL). By the restriction of access to the sites, most of natural landscape have been well conserved except limited use for military activities. Even the landfoms in that area were not studied, except the government's heritage reports. Satae Cheon's channel follows the Imdang fault line(N-S) to Satae-ri and flow to west to the Dutayeon area. The river meanders along geological structure or weak line at the Dutayeon area. The meandering channel was shorten by the meander cut which linked the thalweg line of meander loop ant the meander neck. As a result of this cut, the river cliff formed by the Satae cheon became the part of newly formed channel bed and the S-forms are formed. After the channel route stabilized, channel incised the rock with large potholes and undulating walls were formed. The channel width changes from 1m to 10m with restriction of the undulating walls, so this part can be regarded as inner channel or inner gorge. From the point of planar forms it also can be slot-type canyon.

시선집중, 안전경영 우수기업 - 철저한 안전관리 바탕으로 발전설비 명가로 우뚝, 한전 KPS(주) 서인천사업처

  • Kim, Seong-Dae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95
    • /
    • pp.18-20
    • /
    • 2014
  • 전국 산업현장 어디에서나 안전은 중요하게 여겨진다. 하지만 안전이 더욱 각별하게 다가오는 곳이 있다. 바로 국가 산업의 기초가 되는 금속공업, 화학공업 등 국가기반산업 현장이 그곳이다. 이 가운데 특히 전력산업에서 안전은 한 나라의 경제와 사회를 좌지우지할 만큼 엄청난 영향을 미친다. 지난 2011년 9월 15일 발생한 대정전 사태를 생각해보면 쉽게 이해가 갈 것이다. 이에 따라 발전소의 안전운행을 위해 정비 및 유지 보수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한전KPS(주) 서인천 사업처에서는 남다른 안전관리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곳에서 어떻게 안전을 확보해 나가고 있는지 살펴봤다.

  • PDF

The Formation of Missing Data through Heavy Rain Damage of the Hydrological Gauging Instrument (수문관측기기 호우피해에 따른 결측자료의 생성)

  • Kim, Dong-Phil;Lee, Do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05-309
    • /
    • 201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주요사업인 "산지하천 유역의 홍수예측을 위한 수문조사(2011~2015년)"의 Test-bed 유역중의 하나인 설마천 유역(경기도 파주시 적성면)의 중류부에 위치한 사방교 수위관측소는 2011년 7월 중부지방의 집중호우에 의해 수위관측소가 유실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수위관측기기와 부대시설물이 모두 피해를 입었으며, 그 이후 수위관측소 운영이 중단되었다. 다만 유역출구인 전적비교 수위관측소는 일부분 피해가 있었으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여 결측이 없는 운영이 이루어졌다. 2011년 사방교 수위관측소의 수위관측 자료는 호우피해 발생 이전 관측자료 수집이 이루어진 2011년 7월 8일 13:30분까지 자료가 있으며, 그 이후는 호우피해에 의한 관측기기의 유실로 모두 결측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1년 7월 8일 13:30분 이후 관측이 이루어지지 못한 사방교 수위관측소의 유량자료를 모의 생성한 후 유역출구인 전적비교 수위관측소의 유량자료와 상 하류 유량 및 유출률 검토를 통하여 미관측기간의 결측자료를 최종 생성하였다. 최종 모의 생성된 유량자료는 2011년 이전의 유역의 수문학적 특성과 매우 유사한 경향을 보이므로 모의 생성된 결과는 매우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설마천 유역의 지속적인 운영과 아울러 6개 우량관측소의 우량자료와(2011년 7월 집중호우에 의해 1개 우량관측소 유실 발생), 유역출구인 전적비교 수위관측소의 신뢰성 높은 수위, 유량자료가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다. 설마천 유역 수문자료는 홈페이지(http://seolmacheon.kict.re.kr)와 동시에 운영되는 '설마천-차탄천 수문정보시스템'을 통해 유역정보 및 자료를 저장하고 있으며, 제공을 통해 자료를 공유하고 있다.

  • PDF

HEC-6를 이용한 하천의 하상적응과정분석 (반변천을 중심으로)

  • Park, Hee-Young;Jang, Chang-L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683-687
    • /
    • 2009
  • 하천의 하상은 장기간에 걸친 교란으로 변화를 겪으며 자연 평형상태에 이르게 된다. 하천에서의 교란은 자연적인 교란과 인위적인 교란으로 나눌 수 있다. 자연적인 교란은 홍수, 태풍, 지진, 해충, 질병, 사태, 극고 저온, 한발 등을 포함하며 생태계의 안정성, 저항성 및 복원성에 의하여 자연 복원되는 경우이며, 인위적인 교란은 댐건설, 하도정비, 골재채취 기타 다른 하천 구조물의 축조 등으로 인해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막대한 변화가 초래되는 경우이다. 따라서 이러한 교란된 하천의 하상변동 경향을 분석하고 예측하여 이 치수 구조물 축조에 반영하고 하천 생태계 교란의 영향을 최소화 시키는 것이 하천 환경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위치한 반변천의 임하 역조정지댐 직하류부터 낙동강 합류점까지 10.92km 지역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여, 미공병단에서 개발된 하상변동 수치모형인 HEC-6를 이용하여 댐 건설전과 건설 후에 대하여 하상변동을 모의하였다. 그 결과 처음 5년간은 하상이 $0.5{\sim}1.0m$정도 저하되었으나 10년이 지났을 때, 댐 건설전의 경우에는 $-0.4{\sim}2.2m$, 댐 건설 후에는 $-0.2{\sim}1.3m$정도로 하상이 변화되었다. 이는 댐이 없을 경우에는 처음 5년간은 하상이 심하게 저하되었다가 10년이 지나면서 하상 저하율이 감소되면서 평형상태를 이루는데 댐이 있을 경우에는 하상이 저하되는 감소율이 더 적어지면서 댐이 있을 때보다 하상저하가 적게 이루어진 것 때문으로 사료된다.

  • PDF

Development of a Game Model Based on Virtues Education for Information &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정보통신윤리 교육을 위한 덕 교육 기반 게임 모형 개발)

  • Han, Ji-Hye;Jun, Woo-Chu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113-121
    • /
    • 2009
  • 정보화 사회에서의 일원으로 꼭 갖추어야 할 정보통신윤리 덕목들은 기존 산업화 사회에서의 교수-학습방법으로는 부적절하다. 덕 교육 (Virtues Education)은 행위자가 교육의 중심이 되어, 인지 정의 행동의 통합과 공동체주의를 중요시 여겨 학습자 스스로 윤리를 체득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덕 교육의 장점을 기반으로 학습자가 보다 재미있고 쉬운 학습을 통해 정보통신윤리의 능동적이고 자연스러운 체득이 가능하도록 게임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게임 모형은 문제 사태를 확인하고, 그에 관련된 규범을 찾고, 규범의 의미와 근거를 찾은 후, 판단을 예측하고, 판단하여 미션을 해결하는 모형이다. 본 모형의 장점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가 쉽고 재미있게 정보통신윤리 학습을 할 수 있다. 둘째, 게임을 진행하며 윤리의식을 교사가 전달하는 것이 아닌, 학습자 스스로 체득하게 할 수 있다. 셋째, 정보화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알맞은 가치관을 확립하여, 정보화 사회의 역기능에 대해 올바르게 판단하고 실천할 수 있다.

  • PDF

HPAI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 - 철새로 뒤덮인 대한민국 안전지대는 없다

  • 한국오리협회
    • Monthly Duck's Village
    • /
    • s.212
    • /
    • pp.10-28
    • /
    • 2021
  • 충남 천안시 풍세면을 지나는 봉강천 야생조류에서 H5형 항원이 10월 23일 검출됨에 따라 철새 정보 알리시스템 발령기준에 의거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주의단계가 발령됐다. 주의단계 발생 한달 후인 11월 26일 전북 정읍에서 3년 만에 육용오리 농장에서 고병원성조류 인플루엔자 발생했다. 이 때부터 시작된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는 2월 15일 현재까지 100여 농장에서 발생했으며 예방적 살처분을 포함해 473농가에서 2천800여만수의 가금류가 살처분됐다. 이중 오리는 육용오리 92농가 177만1천수, 종오리 22농가 18만수가 살처분조치가 취해졌다. 닭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어 보이지만 실상 오리산업의 기반이 크게 위축될 정도의 피해를 가져다 줬다. 2020년도 9월말 가축통계를 기준으로 육용오리는 20%, 종오리는 24%에 해당하는 것이다. 특히 이번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는 산란계에 특히 큰 피해를 줌으로써 계란 수급에 비상이 걸렸으며 급기야 계란을 긴급 수입하는 사태에 이르렀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방역당국도 살처분 범위를 조정하는 등 피해 최소화를 위해 나서고 있다.

  • PDF

An Assessment of Ecological Risk by Landslide Susceptibility in Bukhansan National Park (산사태취약성 분석을 통한 북한산국립공원의 생태적 위험도 평가)

  • Kim, Kyung-Tae;Jung, Sung-Gwan;You, Ju-Han;Jang, Gab-Su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2 no.2
    • /
    • pp.119-127
    • /
    • 2008
  • This research managed to establish the space information on incidence factors of landslide targeting Bukhansan National Park and aimed at suggesting a basic data for disaster prevention of a landslide for the period to come in Bukhansan National Park through drawing up the map indicating vulnerability to a landslide and ecological risks by the use of overlay analysis and adding-up estimation matrix analysis methods. This research selected slope angle, slope aspect, slope length, drainage, vegetation index(NDVI) and land use as an assessment factor of a landslide and constructed the spatial database at a level of '$30m\times30m$' resolution. The analysis result was that there existed high vulnerability to a landslide almost all over Uidong and Dobong valleys. As for ecological risks, Dobong valley, Yongueocheon valley, Jeongneung valley and Pyeongchang valley were analyzed to be higher, so it is judged that the impact on a landslide risk should be also considered in time of establishing a management plan for these districts for the time to come.

Optimization-based calibration method for analysis of travel time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상수관망 체류시간 분석을 위한 최적화 기반 검·보정 기법)

  • Yoo, Do Guen;Hong, Sungjin;Moon, Gi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29-429
    • /
    • 2021
  • 2019년 발생한 인천광역시 붉은 수돗물 사태로 급수구역에 포함된 26만 1천 세대, 63만 5천 명이 직·간접적인 피해를 입은 바 있다. 경제적 피해액으로 추정할 경우 최소 1,280억 원 이상으로 보고된 바 있으며, 이와 같은 상수관망의 수질사고 확산은 장기간 동안 시민의 건강과 생활환경 수준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상수도시스템의 수질사고확산 모델링 및 방지기술을 통한 수질안전성의 재확인이 필요하며, 이것은 상수도시스템의 지속가능성을 높여 국민이 체감하는 물 환경 수준 제고에 기여가 가능하다. 관망 내 수질해석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모델은 국외적으로 다양하게 개발(PODDS, EPANET-MSX, EPANET2.2 등)된 바 있으나 검·보정을 위한 수질측정 자료 부족 등으로 적용이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현재에도 존재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수질자료에 비해 그 양이 많고 획득방법이 상대적으로 수월한 수리학적 계측자료 및 해석결과를 활용한 관로 내 체류시간 등을 활용한 연구가 수행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리학적 해석 결과를 활용하는 경우에도 계측자료를 기반으로 한 수리학적 검·보정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로 내 체류시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량 및 유속자료를 중심으로 수리학적 관망해석의 결과를 최적 검·보정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기존 상수관망 수리해석의 검·보정은 일부 지점에서 수압을 측정하고, 수리해석 결과로 도출되는 해당 지점의 수압이 실측된 결과와 유사하도록 관로의 유속계수를 적절히 보정하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관로유량과 유속자료의 목적함수 내 가중치를 수압자료보다 크게 설정하여 체류시간 중심의 검·보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검·보정 대상인자 역시 대수용가의 수요량, 수요패턴, 그리고 관로유속계수로 확장된 모형을 구축하였다. 최적화 기법으로는 메타휴리스틱 기법중 하나인 화음탐색법을 활용하였다. EPANET 2.2 Toolkit과 Visual Basic .Net을 연계하여 프로그래밍하였으며, 개발된 모형을 실제 지방상수도 시스템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 PDF

The Effects of the Psychological Learning Environment by Science Teachers o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과학교사에 의해 조성되는 심리적 학습환경이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Lee, Jae-Chon;Kim, Beom-K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19 no.2
    • /
    • pp.315-328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learning environment generated by science teachers upon students' affective perceptions and cognitive learn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onsist of 2.693 students from secondary school. The students' perception were examined by the tools of PLEIS(Psychological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 by Science teacher). SAMS(Science Anxiety Measurement Scale). HARS(High schools' s Attitude Related Science). and ALWSS(Attitude toward Laboratory Work Scale in Secondary school). and cognitive learning outcomes assessed to TIPS II (Test of Integrated Process Skills II ) and science test sc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ositive psychological learning environment by science teacher should be offered to students for the improvement of science achievement. and learning environment will be used as an instrument of self assessment for improving science teaching strategy.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 among psychological learning environment, affective perception and cognitive learning will be helpful to the design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 PDF

A Study on Basic Strategy and Policy Direction for Incheon Port's Cruise Industry Development (인천항 크루즈산업 발전을 위한 기본 전략과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 Choi, Jong Chon;Heo, Ho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3
    • /
    • pp.63-71
    • /
    • 2019
  • The cruise industry is a future-oriented convergence industry based on tourism and shipping, and has attracted great attention not only in the global market but also in Korea. The rapid growth of Asian cruise population, especially in China, has had a considerable impact on both the global market as well as the Korean market. With the recent THAAD problem, the need for diversification of the market has been raised as the entry of cruise tourists from China has been greatly reduced. It is also time for a mor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development strategy ahead of the opening of the new cruise terminal. This study draws out the problems based on the interviews with experts such as prefectures, travel agencies, and related organizations, as well as analyzing literature on domestic and overseas government plans, policy reports, and research data. Then, the SWOT analysis is used to develop the development strategy and explore the policy support direction. The research scope can be extend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model through wider linkage of mid to long term strategy and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