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초과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27초

IPA 분석 기법에 기초한 조리사의 직업 선택 동기에 따른 만족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Satisfaction with Career Choice Motivations for Chefs through IPA Analysis)

  • 김헌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65-27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어떠한 동기요인이 조리사에 대한 직업을 선택하게 하는 지에 대해 학술적인 고찰을 거쳐 직업선택 동기의 중요도와 만족도 간에 IPA 분석하고, 동기요인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조리사 직업선택 동기에 따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현실, 자기중심, 가치 등은 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안정은 만족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따라서 회사를 운영하는 경영자는 직원들에게 승진의 기회 증가, 능력발휘 기회, 보상, 경력개발, 근무환경 개선 등을 통하여 종사원들이 안정적으로 근무할 있도록 동기 부여를 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기업체에서 운영하는 영업장이나 특급호텔에서는 개인이 운영하는 영업장과는 달리 초과수당, 세탁서비스, 직원식당, 야근수당, 40시간 근무 등 근로기준법이 적용하여 운영하지만, 아직까지는 기업체가 아닌 개인이 운영하는 개인운영업장이나 신규오픈한 대부분의 호텔들은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후생복리의 중요도가 낮게 나타났고, 이직율이 높은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 일광산 습지의 식물상 (The Flora of Wetland at Mt. II-Kwang, Busan)

  • 최철만;정은주;이인섭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12호
    • /
    • pp.1227-1233
    • /
    • 2003
  • 일광산 습지에 자생하는 식물은 2문 15과 27속 34종류로 조사되어 다른 지역의 습지보다 다소 적은 출현 종수를 보여 주었다. 과별 출현종수로 선태식물(Bryophyta)은 1속 1종(2.9%), 사초과 식물이 6속 10종(29.4%), 화본과 식물 6속 6종(17.6%), 통발과 및 난초과 식물이 각각 3속 3종(8.8%), 곡정초과식물 1속 2종(5.9%), 그리고 기타 식물(26.5%)로 조사되었다. 대표적 식물군락으로 습원의 조건과 빈영양을 반영하는 끈끈이주걱 군락, 이삭귀개 군락, 땅귀개 군락, 자주땅귀개 군락, 개수염 군락, 그리고 참바늘골 군락 등이 관찰되었다. 습지의 식생으로 물의 양이 많고 토양층이 얇은 습지의 아래쪽에는 개수염-산사초 군락-끈끈이주걱 군락이, 물의 양이적고 토양층이 깊은 습지의 위쪽에는 산겨이삭-달뿌리풀 군락이 발달하였다. 물이 고여 있는 곳에서는 끈끈이주걱이 잘 서식하지 못했으나 땅귀개류는 비교적 잘 서식하였다. 땅귀개나 자주땅귀개는 무리지어 군락을 이루어 나타났지만 이삭귀개는 개체수도 적고 분포지역도 좁게 나타났다. 한국산 특산식 물로는 개수염이 관찰되었고 CITES 관련 희귀식물로는 잠자리난이 조사되었다. 식충식물로는 끈끈이주걱, 이삭귀개, 땅귀개, 그리고 자주땅귀개가 조사되어 습지 보호가 필요한 지역임을 알 수 있었다.

GIS 이용 잡초관리체계 연구 - 2. 논잡초 분포의 생태학적 분석과 GIS 분석의 차이 (GIS Application in Weed Management System - 2. Difference between Ecological Analysis and GIS analysis of Weed Population)

  • 박광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64-370
    • /
    • 1998
  • 1981 및 1992년도 우리 나라 논잡초 조사자료를 이용한 생태학적 종합우점도 분석과 GIS에 의한 분석결과에 대한 요약을 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1981년 생태학적 종합우점도 분석에 의하여 가장 우점도가 높았던 잡초는 물달개비이었으며, 이는 전국적인 논에 걸쳐 가장 발생밀도가 높은 것으로 이해되지만 GIS분석에 의한 전국지역에 걸친 발생밀도는 이와 큰 차이가 나타났다. 2. 1981년 GIS분석에 의한 일년생 광엽잡초 물달개비의 발생우점 지역으로서는 경기의 시흥, 여주지역, 충남의 당진, 예산, 아산, 공주, 청양, 부여, 논산, 천안, 금산 등이었으며, 경북지방은 점촌, 청도, 영천, 봉화, 영풍 등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발생량을 보였다. 3. 1992년 우점도가 가장 높았던 잡초는 다년생 사초과 잡초인 올방개이었으며. GIS분석에 의한 지역별 발생밀도는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주로 경기남부지역과 충남 중 서부지역, 전남 남 서부지역 등이 상대적으로 발생밀도가 높았다. 4. 1992년 올방개 발생이 극심한 지역은 경기 용인, 안성, 화성, 평택, 이천, 여주 일원과 충남의 서산, 당진, 태안, 천안, 공주, 아산, 청양, 예산, 대전일원, 전북의 장수, 전남의 무안, 나주, 해남 등으로 나타났다.

  • PDF

노년층의 인지-화용언어 능력 평가 : 평가도구 및 내용타당도 연구 (Cognitive-Pragmatic Language Assessment for Normal Aging : Study of Assessment Tools and Content Validity)

  • 이미숙;김향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80-292
    • /
    • 2012
  • 인간의 인지-화용언어 능력은 일반적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저하된다. 노년층의 인지-화용언어 능력을 평가하는 것은 인지 기능이나 치매 등 관련 질병들에 대한 예측에 도움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노년층의 인지-화용언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기존의 도구들을 분석하고, 현재 저자들이 연구 개발 중인 평가영역 및 문항들에 대한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7명의 언어치료사 및 임상심리사들이 판단한 척도점수에 근거하여 내용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를 산정하였다. 연구 결과, 주의력, 기억력, 조직화 능력, 추론력, 문제해결력, 집행기능, 화용언어 등 7개 영역 모두 CVI가 .75를 초과하였다. 이에 따라, 현 문항들이 노년층의 인지-화용언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과 적절히 부합하는 내용적 타당성을 지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경북지방(慶北地方)의 묘지(墓地)에 분포(分布)하는 잡초종(雜草種) (Weeds Identified in the Buryingplaces of the Kyungpook Probince)

  • 김길웅;신동현;권순태;박상조;이성중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4-172
    • /
    • 1993
  • 1992년(年) 6월(月)과 9월(月)에 경북지방(慶北地方)의 묘지에 분포하는 잡초(雜草)를 조사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묘지에서 조사된 잡초종(雜草種)은 53과 196종으로 그 중 일년생(一年生) 31종, 울년생(越年生) 38종, 다년생(多年生) 127종이었다. 2. 묘지에서 조사된 잡초종(雜草種)을 과별(科別)로 보면 국화과 34종, 벼과 27종, 콩과 17종, 장미과 10종, 백합 미나리아재비과 8종, 석죽 배추과 7종, 꿀풀 마디풀과 6종, 돌나물 사초과 4종 그리고 나머지 41과에서 1~3종의 잡초(雜草)가 조사되었다. 3. 경북지방(慶北地方)의 묘지에서 우점(優占)하는 초종은 띠, 쑥, 제비꽃, 개망초, 망초, 산딸기, 꿀풀 등이었다.

  • PDF

경북지역 논 잡초 발생분포 조사 (A Survey of Weeds Occurrence on Paddy Fields in Gyeongbuk Province in Korea)

  • 김상국;김학윤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1호
    • /
    • pp.6-12
    • /
    • 2014
  • 본 조사는 2013년에 경북지역 13개 시 군의 320지점에서 논 잡초 발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경북지역의 논잡초 조사결과, 27개과(family) 51초종(species)이었고 과별로는 벼과(family) 9초종, 사초과(family) 5초종, 마디풀과(family) 4초종, 국화과(family) 4초종 순으로 나타났다. 발생 잡초종의 생활형태는 일년생잡초 34종, 다년생잡초 17종으로 대부분 일년생잡초였다. 경북지역의 우점잡초는 물달개비(10.80%) > 좀개구리밥(10.74%) > 가막사리(8.77%) > 강피(7.17%) > 올챙이고랭이(6.20%) > 올방개(6.13%) > 벗풀(5.85%) 순이었다. 물달개비, 좀개구리밥, 가막사리, 강피, 올챙이고랭이, 올방개, 벗풀의 우점도는 전체 잡초종의 50%이상 차지하였고 TWINSPAN 분석을 통한 지역별 잡초종의 유사성은 여뀌바늘, 올챙이고랭이, 미국외풀, 마디풀, 뚝새풀에 의해 구분되어 추후 경북지역 논 잡초의 발생 양상을 예측하며 잡초군락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체계적인 논 잡초 관리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잡초생장(雜草生長)에 미치는 볏짚, 보리짚의 Allelopathic Effect (Allelopathic Effect of Barley and Rice Straw on Weed Growth)

  • 이춘우;김창석;장영희;연규복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2-127
    • /
    • 1991
  • 볏짚과 보리짚의 생리활성물질(生理活性物質)이 상추 발아(發芽) 및 포장(圃場) 잡초발생(雜草發生) 및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볏짚 분말(粉末)을 모래와 혼합(混合)하여 상추를 발아(發芽)시켰으며, 포장(圃場)에서 볏짚과 보리짚을 여러수준으로 피복(被覆)하여 잡초(雜草) 생육(生育) 억제정도(抑制程度)를 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연 아래와 같다. l. 볏짚분말(粉末)을 모래와 혼합(混合)하여 상추 발아(發芽)시 발아(發芽)가 억제(抑制)되어 발아억제물질(發芽抑制物質)의 존재(存在)를 추론(推論)할 수 있었다. 2. 볏짚 피복(被覆)시 $m^2$ 당 500g 이상(以上)이면 뚝새풀의 생장(生長)에 35% 이상(以上) 억제효과(抑制效果)가 있었다. 3. 보리짚을 $m^2$당(當) 200g 피복(被覆)할 경우 피와 바랭이의 생장(生長)을 억제(抑制)하였으며, 300g이상(以上) 피복(被覆)하연 97%의 억제효과(抑制效果)가 있었다. 4. 또한 보리짚 피복(被覆)시 화본과(禾本科)>사초과(沙草科)>광엽(廣葉) 잡초(雜草) 순(順)으로 억제효과(抑制效果)가 있었다.

  • PDF

소면적 재배작물인 당귀밭에 발생하는 잡초현황과 잡초에 의한 피해 (Occurrence of Weed Flora and Their Yield Loss in Angelica gigas Upland Fields of Minor Crop in Korea)

  • 이인용;김창석;이정란;서영진;김종수;서현아;장형목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2호
    • /
    • pp.65-70
    • /
    • 2016
  • 충북 제천, 경북 봉화를 중심으로 당귀밭에 발생하는 잡초를 조사하여 당귀밭 문제잡초의 현황을 파악하고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5년 5월과 6월에 실시하였다. 당귀밭에 발생하는 잡초는 37과 105초종으로 국화과 20종, 화본과 9종, 두과, 마디풀과, 사초과 각각 6종, 꿀풀과, 메꽃과 각각 5종 등의 순이었다. 이들 잡초를 생활형으로 구분하면, 일년생 53종, 월년생 24종, 다년생 28종이었다. 우점잡초로는 바랭이, 쇠비름, 흰명아주, 참방동사니, 망초, 털별꽃아재비 등이었다. 외래잡초는 27종으로 25.7%를 점유하고 있으며, 흰명아주, 망초, 털별꽃아재비, 개비름, 서양민들레, 개망초 순으로 우점도가 높았다. 잡초에 의해 당귀 수량은 49.6% 감소되었다.

부산 사하구 동백나무 집단의 공간적 분포 양상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the Populations of Camellia japonica in Busan)

  • 강만기;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813-819
    • /
    • 2014
  • 부산광역시 사하구 동백나무 네 집단과 강서구 가덕도의 동백나무 한 집단 분포지에 대한 지리적 거리에 의한 공간적 분포 양상을 연구하였다. 네 프롯(몰운대, 두도, 쥐섬, 가덕도)은 군집에서 균질한 분포 양상을 나타내었으나 한 플롯(암남동)은 응진 형태를 나타내었다. 모리시타 지수는 패치 지수와 유관하며 $20m{\times}20m$ 프롯보다 큰 $20m{\times}50m$ 프롯으로 값이 급격한 증가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방형구가 커지면 응집의 정도가 유의하게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패치지수는 $5m{\times}10m$에서 $10m{\times}10m$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다. 공간적 상관관계 계수인 Moran's I에 의해 유의한 공간 구조를 정량화하였다. 유의한 개체간 유사도(76.9%)는 처음 4거리 등급(80 m)에서 유사성을 보였으며 100 m거리를 초과하면 비유사성 특성을 지닌 개체들의 쌍은 분리될 수 있다.

방사선 치료시 배경분리알고리즘을 이용한 비젼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연구 (Studies of vision monitoring system using a background separation algorithm during radiotherapy)

  • 박기용;최재현;박제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359-366
    • /
    • 2016
  • 방사선 치료에 있어서 정상 조직에는 방사선을 최소화 하고 종양 부위에 정확한 방사선을 집중해서 조사하여 국소 종양 제어율(Local Tumor Rate)을 극대화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초기에는 치료사들이 직접 환자의 움직임을 감지했으나 정확도가 떨어지고 치료사들의 피로가 가중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웹카메라를 이용하여 기준영상과 갱신되는 영상의 차분값을 계산하여 그 결과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움직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환자의 움직임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없고 토모치료기의 치료베드 이동시 변화되는 배경을 환자와 가려낼 수 없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고자 지수가중치(${\alpha}$) 필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움직임을 정량화 하고 환자와 치료환경의 배경이미지를 분리하여 치료중 환자의 움직임만을 감지하여 환자의 움직임으로 인한 문제를 줄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