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진 분류

검색결과 657건 처리시간 0.02초

일반두부방사선계측사진과 디지털방사선계측사진의 계측점 식별의 오차 및 재현성에 관한 비교 연구 (The comparison of landmark identification errors and reproducibility between convention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and digit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 이양구;양원식;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2호통권91호
    • /
    • pp.79-89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두부방사선계측사진과 디지털두부방사선계측사진의 계측점 식별의 오차를 구하여 각각의 영상에서 오차의 특징을 살펴보고 재현성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대학교병원 치과진료부 교정과에 내원한 교정 환자 중 18세에서 29세 사이의 성인 환자 중에서 일반두부방사선계측사진군과 디지털두부방사선계측사진군 각각 15명씩 30명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녀의 구별이나 두개 안면 구조의 형태는 고려하지 않았다. 계측점은 동일인이 시간차를 두고 식별 하였다. 식별 후 각 계측점은 좌표 (x, y)로 표시하였으며, 처음 계측점을 식별한 두부방사선계측사진군을 T1으로, 1 주 후 동일 계측점을 재식별한 두부방사선계측사진군을 T2로, 1 달 후 동일계측점을 재식별한 두부방사선계측사진군을 T3로 분류하였다. 오차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x좌표, y좌표로 구분하여 계산하였다. 초기 식별 1주 후 재식별시 오차는 T2-T1(x), T2-T1(y)로, 초기 측정 1달 후 재시별시 오차는 T3-T1(x), T3-T1(y)로 표시하였으며 일반두부방사선계측사진과 디지털두부방사선계측사진으로 각각 나누었다. 재현성의 평가를 위한 오차간의 통계학적인 검정은 independent t-test를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디지털두부방사선계측사진이 일반두부방사선계측사진보다 일반적으로 오차의 평균 및 표준편차가 작았다. 2. 일반두부방사선계측사진의 오차와 디지털두부방사선계측사진의 오차가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인 항목은 드물었다. 3.상의 향상을 통한 오차의 개선은 한계가 있었으며 상이 향상되더라도 각 계측점의 오차 의 경향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숲고사리삼과 애기고사리삼(고사리삼과): 한반도 미기록 식물의 형태로 본 계통적 위치 (Sceptridium atrovirens and S. microphyllum (Ophioglossaceae): First report in Korea and its phylogenetic position based on morphology)

  • 이창숙;김유성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68-75
    • /
    • 2012
  • 제주도 서귀포시 도순동에서 우리나라 고사리삼과의 미기록 분류군, 숲고사리삼과 애기고사리삼이 새로이 발견되었다. 숲고사리삼(Sceptridium atrovirens)은 고사리삼속의 다른 분류군에 비해서 굵은 땅속줄기와 뿌리를 갖으며, 불규칙하고 거친 톱니가 있으며, 비교적 길이가 작은 포자낭이삭을 갖는 점에서 뚜렷이 구분된다. 국명은 서식지의 특징을 고려하여 '숲고사리삼'으로 신칭하였다. 또한, 애기고사리삼(Sceptridium microphyllum)은 고사리삼속의 다른 분류군에 비해서 전체적으로 작고, 영양엽의 우편이 빽빽한 잎몸, 겨울에 부분적으로 벽돌색을 띠는 점에서 뚜렷이 구분된다. 국명은 전체적으로 작은 특징을 고려하여 '애기고사리삼'으로 신칭하였다. 이들 미기록 식물들의 계통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들 식물과 유연종들의 형태적 형질 27개를 분석하여 분류학적 위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주요형질에 대한 분류군의 기재 및 종의 해부도와 서식지 식물사진을 제시하였고, 아울러 한국산 고사리삼속 식물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 분류 평가 (The Evaluation of on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Hyperspectral Imagery)

  • 이근상;이강철;고신영;최연웅;조기성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4권2호
    • /
    • pp.103-112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토지와 물이 포함된 지역에서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 분류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CASI-1500 항공 초분광 영상을 통해 취득한 초분광 영상에 대해 전처리 작업으로서 대기보정을 수행한 후, 대기보정 전 후에서 몇 개의 토지피복 클래스에 대해 대기보정 효과가 비교 분석되었다. 항공사진과 수치지형도와 같은 참조자료로 활용하여 초분광 영상에 의한 토지피복 분류결과를 분석한 결과, 최대우도법에서는 약 67.0%의 전체정확도를 나타내었으며, 최소거리법은 52.4%의 전체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도로, 밭, 비닐하우스에서는 토지피복 분류의 생산자 정확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하천, 산지, 초지지역에서는 매우 복잡한 객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토지피복 분류의 생산자 정확도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에는 특정객체 분류를 위한 최적의 밴드선별과 객체 고유의 분광특성을 고려한 분광 라이브러리를 구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산 담수조 Trachelomonas속 (Euglenophyceae)의 분류와 조류상 (Taxonomic and Floristic Accounts of the Genus Trachelomonas Ehrenberg 1833 (Euglenophyceae) from Korea)

  • 김준태;;부성민
    • 생태와환경
    • /
    • 제33권2호통권90호
    • /
    • pp.80-108
    • /
    • 2000
  • 본 연구는 한국 담수산 Trachelomonas 속을 대상으로 분류학적 이해에 입각한 종속지를 마련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재료는 1994년 5월부터 1997년 6월 까지 한국 전역의 58 담수계에서 총231회 채집되었다. 총 47 분류군의 분류학적 기재, 그림 및 사진을 제시하였다. 이 중 19 분류군이 한국산 Trachelomonas 종속지에 미기록으로 보고되었고, T. curta var. reticulata, T. koreana, T. planctonica var. papillosa, T. spina는 신종 또는 신 변종으로 기재한다. 따라서 한국산 Trachelomonas 종속지는 기 보고된 23분류군과 더불어 총 70 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Trachelomonas 종들은 방죽이나 자연늪 등과 같이 유기물질과 영양염류가 풍부한 오래된 정체수역에서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T. bacillifera, T. hispida, T. volvocina는 춘계와 하계에 자연늪이나 양어장에서 대발생하는 경항을 보였다.

  • PDF

도시확장 분석을 위한 위성영상 토지이용 분류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Landuse Classification Nomenclature for Urban Growth Analysis using Satellite Imagery)

  • 김윤수;이광재;류지원;김정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83-94
    • /
    • 2003
  • 위성영상 자료는 도시의 물리적 확장을 분석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하게 활용된다. 도시의 물리적 확장은 도시의 토지이용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지속가능한 도시성장을 위해서는 토지이용을 중심으로 한 지속적인 성장관리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위성영상을 이용한 도시 토지이용의 분류는 우선 그 기준이 사용자의 관점에 따라 다르고 영상 해상도 등에 따라서도 그 기준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도시 확장 분석을 위해서는 다중시기의 위성영상 및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토지이용의 분류를 시행하고, 시기별 토지이용의 변화와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확장의 형태와 패턴을 파악하여, 이를 기반으로 향후의 도시 확장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 개발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도시 확장 예측모델 개발의 전 단계로써 다양한 공간 해상도를 지닌 원격탐사 자료의 국내외 분류기준의 검토를 통해,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토지이용 분류기준을 도시확장 분석의 측면에서 설정하고자 한다.

  • PDF

한국 식물상에 새로이 추가되는 벼과 갯보리속의 2개 미기록 분류군: 둔치개밀, 여름개밀 (Two unrecorded Elymus taxa (Poaceae) newly added to Korean flora: E. humidus and E. shandongensis)

  • 최승세;김종환;박유철;김철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94-304
    • /
    • 2021
  • 한국산 갯보리속은 개밀속과 혼돈하여 사용하여 온 바, 형태적으로 갯보리속의 범주 및 특성을 재검토하였고, 이때까지 한반도 식물상에 기록된 바 없는 갯보리속의 2개 미기록 분류군, 둔치개밀과 여름개밀을 각각 전라남도와 전라북도에서 채집된 표본을 근거로 보고하였다. 둔치개밀은 강가 주변의 생육지, 항상 곧추서는 꽃차례, 화서에 밀착된 소수, 지상부 아래쪽 마디에서 새로운 개체를 무성적으로 증식하는 점에서 다른 분류군과 구별되고, 여름개밀은 개밀과 비슷하지만 개화시기가 여름철이고, 옆으로 약간 휘는 꽃차례, 포령의 맥수, 화서에 밀착된 소수와 같은 특징에 의해 구별되었다. 한국산 두 미기록 분류군에 대한 기재, 사진 및 근연 분류군간의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둥근잎비름(돌나물과): 국내 미기록종 (Sedum makinoi Maxim. (Crassulaceae): an unrecorded species from Korea)

  • 박선주;박성준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93-199
    • /
    • 2005
  • 경상북도 경산시 사정동 성암산에서 발견된 국내 미기록종, Sedum makinoi를 보고한다. 이 종은 꽃이 달리는 줄기에서 잎이 대생하고, 잎은 편평하며 원형인 특징으로 국내에 분포하는 Seda-genuina절의 다른 종과는 뚜렷이 구별된다. 이 종은 형태적 특징과 도해 및 생태 사진을 제시하였다.

꼬마검정물땡땡이속(딱정벌레목: 물땡땡이과)의 국내 첫 보고 (The Genus Paracymus Thomson (Coleoptera: Hydrophilidae) new to Korea)

  • 이대현;안기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03-107
    • /
    • 2016
  • 한국산 꼬마검정물땡땡이속(Paracymus Thomson)의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꼬마검정물땡땡이속, 염전꼬마검정물땡땡이[P. aeneus (Germar)]와 꼬마검정물땡땡이(P. zaitzevi Shatrovskiy)를 한반도에서 처음 보고한다. 종에 대한 성충의 외형 과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분포도, 식별 형질 및 검색표를 제시한다.

한국산 털보잎벌레붙이속(Lagria Fabricius)(딱정벌레목 : 거저리과 : 잎벌레붙이아과)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 (Taxonomy of the genus Lagria Fabricius (Coleoptera: Tenebrionidae: Lagriinae) in Korea)

  • 정부희;김진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75-280
    • /
    • 2009
  • 한국산 털보잎벌레붙이속(Lagria Fabricius)에 속한 털보잎벌레붙이(Lagria nigricollis Hope)와 눈큰털보잎벌레붙이(신칭)(Lagria rufipennis Marseul) 등 2종을 분류학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중 눈큰털보잎벌레붙이는 국내에서 처음 보고되는 종이다. 각 종에 대한 검색키, 기재문, 진단형질 그림과 성충사진을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