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진 분류

Search Result 65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New Record of the Genus Stenomacrus (Hymenoptera: Ichneumonidae: Orthocentrinae) from South Korea (한국산 얼굴긴뺨자루맵시벌속(벌목: 맵시벌과: 긴뺨자루맵시벌아과)의 미기록종 보고)

  • Choi, Jin-Kyung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59 no.2
    • /
    • pp.109-112
    • /
    • 2020
  • Stenomacrus deletus (Thomson, 1897), belonging to Orthocentrinae of Ichneumonidae, is newly recognized in South Korea. Most Stenomacrus species are known as koinobiont endoparasitoids of dipteran, lepidopteran, and coleopteran hosts. In this study, an additional species is recorded for the first time from South Korea. Diagnoses of genus and an unrecorded species, as well as illustrations of this species are provided.

A New Discovery of Termitophilous Tribe Rhyparini Schmidt, 1910 (Coleoptera: Scarabaeidae) from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Rhyparus azumai azumai Nakane, 1956 (광양줄똥풍뎅이를 기반한 한반도에서의 흰개미종속인 줄똥풍뎅이족(딱정벌레목: 풍뎅이과)의 새로운 발견)

  • Choi, Ik Je;Kim, Sang Su;Lee, Bong Woo;Lim, Jongok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54 no.4
    • /
    • pp.425-429
    • /
    • 2015
  • A termitophilous tribe, Rhyparini Schmidt, 1910 of the subfamily Aphodiinae Leach, 1815 (Coleoptera: Scarabaeidae) is newly recorded from Korea for the first time, based on Rhyparus azumai azumai Nakane, 1956. A redescription, illustrations of diagnostic characteristics including male genitalia, and a key to Korean tribe of the subfamily are provided.

First Record of Stomaphis matsumotoi Sorin (Hemiptera: Aphididae) in Korea (한국의 미기록종 Stomaphis matsumotoi Sorin [노린재목: 진딧물과]에 대한 보고)

  • Lee, Minho;Choi, Hwalran;Seo, Hong-yul;Lim, Jongok;Lee, Seunghwan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60 no.2
    • /
    • pp.241-245
    • /
    • 2021
  • Stomaphis (Stomaphis) matsumotoi Sorin, 1995 is reported on Juglans mandshurica Maxim. (Juglandaceae) for the first time in Korea. Photos of live aphids, illustration of slide specimens, and biometric data of apterous viviparous females are presented.

Eight New Records the Genus Teleutaea (Hymenoptera, Ichneumonidae, Banchinae) from South Korea (한국산 나방살이뭉툭맵시벌속(벌목, 맵시벌과, 가시뭉툭맵시벌아과)의 8미기록종에 관한 보고)

  • Kang, Gyu-Won;Choi, Jin-Kyung;Lee, Jong-Wook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57 no.4
    • /
    • pp.235-241
    • /
    • 2018
  • South Korean species of the genus Teleutaea is taxonomically studied. This genus is recorded from South Korea for the first time with eight species, Teleutaea acarinata, T. brischkei, T. diminuta, T. minamikawai, T. mishae, T. nigra, T. orientalis and T. ussuriensis. A key to eight South Korean species of Teleutaea and digital images are provided.

New Record of the Family Artematopodidae Lacordaire, 1857 (Coleoptera, Elateroidea) in Korea (한국 미기록, 옛방아벌레과(딱정벌레목, 방아벌레상과)의 보고)

  • Han, Taeman;Kim, Sangsu;Hong, Ki-Jeong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57 no.4
    • /
    • pp.409-413
    • /
    • 2018
  • The family Artematopodidae Lacordaire is reported based on a species, Macropogon sibiricus Motschulsky, for the first time in Korea. We provide taxonomic information for the family, the genus and species with morphological diagnostic characters and photos.

Personalized Private Information Security Method on Smartphone. (스마트폰 환경에서 개인정보 보안 기법)

  • Jeong, MinKyoung;Choi, Okkyung;Yeh, H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751-754
    • /
    • 2011
  • 최근 개인이 작성한 글과 사진, 동영상 등의 자료를 시간과 장소에 따라 저장 할 수 있는 라이프 로그 서비스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개인의 일상생활을 기록하는 것으로 민감한 프라이버시임에도 불구하고 관리에 취약하다. 스마트폰 환경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SQLite를 이용하고, 이를 암호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SEE와 SQLCipher가 있지만 전체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방식으로 중요하지 않은 데이터까지 암호화하여 저장한다. 본 논문은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방안으로 SQLite에서 SEED 암호를 이용하여 주요한 개인 정보를 컬럼 단위로 암호화한다. 즉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개인 프라이버시 중요도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데이터 중에서 중요한 데이터만 선택적으로 암복호화 함으로써 기존 데이터 암호화 방식에 비해 암복호화에 소모되는 연산 시간을 감소시키고 라이프로그 데이터의 개인 정보 보안을 강화시키고자 한다.

Korean Food Information Provision APP for Foreigners Using VGG16 (VGG16을 활용한 외국인 전용 한식정보 제공 앱)

  • Yoon, Su-jin;Oh, Se-yeong;Woo, Young W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1.05a
    • /
    • pp.404-406
    • /
    • 2021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pp application for classifying Korean food images and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Korean food. App Application consists of Flask server, Database (Mysql), and Python deep learning modules. Using the VGG16 model, 150 images of Korean foods are classified. If there is an internet environment, anyone can easily get information about Korean food anytime, anywhere with a single photo.

  • PDF

Deep-Learning-based Nailfold Capillary Recognition (딥러닝 기반 손톱 하부 모세혈관 인식)

  • Ko, Seoyeong;Jeong, Hi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471-472
    • /
    • 2022
  • 손톱 하부 모세혈관(Nailfold Capillary)의 형태와 분포 특징으로부터 다양한 질병을 밝혀내려는 시도가 꾸준히 있어 왔다. 손톱 하부 모세혈관은 그의 대표적인 형태 특징을 따라 몇 가지로 분류할 수 있고, 이 분포와 질병과의 상관관계가 밝혀진 종래 연구들도 다수 존재한다. 현재는 진단하는 과정을 의료 전문가가 직접 촬영된 모세혈관 사진을 보고 주관적인 평가를 하게 되는데, 이러한 분석 방법은 많은 시간과 휴먼 에러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자동화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손톱 하부 모세혈관의 모세혈관들을 YOLO 객체 인식 모델을 활용하여 모세혈관을 탐지하고 모세혈관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그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Development of a Compound Classification Process for Improving the Correctness of Land Information Analysis in Satellite Imagery -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anonical Correlation Classification Algorithm and Multitemporal Imagery - (위성영상의 토지정보 분석정확도 향상을 위한 응용체계의 개발 - 다중시기 영상과 주성분분석 및 정준상관분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

  • Park, Min-H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4D
    • /
    • pp.569-57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compound classification process by mixing multitemporal data and annexing a specific image enhancement technique with a specific image classification algorithm, to gain more accurate land information from satellite imagery. That is, this study suggests the classification process using canonical correlation classification technique after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the mixed multitemporal data. The result of this proposed classification process is compared with the canonical correlation classification result of one date images, multitemporal imagery and a mixed image after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one date images. The satellite images which are used are the Landsat 5 TM images acquired on July 26, 1994 and September 1, 1996. Ground truth data for accuracy assessment is obtained from topographic map and aerial photograph, and all of the study area is used for accuracy assessment. The proposed compound classification process showed superior efficiency to appling canonical correlation classification technique for only one date image in classification accuracy by 8.2%. Especially, it was valid in classifying mixed urban area correctly. Conclusively, to improve the classification accuracy when extracting land cover information using Landsat TM image, appling canonical correlation classification technique after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multitemporal imagery is very useful.

임상가를 위한 특집 2 - 구강악안면영역에서 양성 종양의 영상진단

  • Kim, Gyeong-A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47 no.10
    • /
    • pp.637-646
    • /
    • 2009
  • 양성 종양(benign tumor)을 언급하기에 앞서 과오종(hamartoma) 및 과다 형성(hyperplasia)과의 차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양성 종양은 기원조직과 유사한 조직이 이상 증식하는 것으로 서서히 성장하지만 일반적으로 치료하기 전까지 이상 증식을 지속하는 진성 신생물을 일컫는다. 이에 비해 과오종은 정상 조직이 무질서하게 과증식하는 것으로 일정기간 후에는 성장을 멈추기 때문에 진성 신생물로 간주하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과오종이 양성 종양에 포함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치아종은 정상적인 치성 조직의 성장이 완료되는 시기와 거의 동일한 시기에 성장을 멈추지만 양성 종양으로 분류된다. 과다 형성은 조직의 세포가 정상적인 배열 양상을 보이면서 세포의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지속적인 성장 양상을 보이지만 그 성장이 제한적이므로 양성 종양과는 구별된다. 양성 종양은 일반적으로 무통성으로 서서히 성장하기 때문에 종양의 크기가 증가하여 안면 종창이나 동통 등을 유발하는 경우에 발견될 수 있으며, 방사선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기도 한다. 방사선검사는 병소의 위치, 범위, 특징 및 병소와 인접 해부학적 구조와의 관계 등 많은 방사선학적 진단 정보를 제공한다. 일부 종양은 방사선사진에서 매우 특징적인 소견을 나타내기 때문에 방사선학적 소견으로 예비 진단을 할 수 있을 정도의 진단정보를 제공하기도 하는 반면 어떤 종양들은 방사선사진에서 관찰되는 소견이 매우 유사하여 진단에 어려움을 주기도 한다. 따라서 종양의 확진을 위해서는 생검이 필수적이며, 방사선검사는 반드시 생검에 앞서 진행되어야만 정확한 방사선학적 진단을 할 수 있다. 양성 종양은 각각의 특징적인 방사선학적인 소견을 나타내지만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양성 종양의 특징이 존재하므로 이러한 일반적인 특징을 관찰하여 병소가 양성인지 악성인지를 감별할 수 있다. 첫째, 양성 종양은 대개 호발하는 부위가 있으므로 종양의 발생부위는 감별 진단을 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치성 병소는 치아가 형성되는 하악관 상방의 치조돌기에서, 혈관성 및 신경성 병소는 하악관 내에서, 연골성 종양은 하악과두와 같이 연골세포가 잔존되어 있는 부위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둘째, 양성 종양은 대체로 명확한 경계와 피질골성 변연을 보이며, 종종 병소가 결체조직으로 둘러싸여 있어 병소 주위에 방사선투과성 띠가 관찰되기도 한다. 셋째, 양성 종양은 일반적으로 인접 주위 조직에 압력을 가하면서 서서히 성장하기 때문에 인접 치아의 변위 또는 흡수, 피질골의 비박, 팽융 등의 소견을 보이며 피질골의 천공은 드물다. 방사선학적으로 양성 종양의 병소 내부는 방사선투과상으로 관찰되거나, 방사선불투과상으로 관찰되거나, 방사선투과상과 방사선불투과상이 혼재된 상으로 관찰된다. 저자는 이 지면에서 이러한 방사선학적 특징을 기초로 하여 구강악안면영역에 발생하는 양성 종양을 분류하고 각각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