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전 경보등

Search Result 72,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A Study on Method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Natural Disaster Early Warning Systems (자연재해 예·경보시스템의 효율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 Seo, Jung Pyo;Cho, Won Cheo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6 no.1
    • /
    • pp.19-27
    • /
    • 2013
  • Damage on assets and lives caused by natural disasters can be minimized by the provision of early warning information and preventive activities. In this sense, the importance of a disaster early warning system continues to increase. This study specifies the kinds of early warning systems depending on the type of natural disasters such as typhoon, flood and heavy snow. The mechanism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status of early warning operations are analyzed. Through this analysis, the urgent need to establish a national integrated early warning transmission system is emphasized. In addition, this study offers methods to prevent unnecessary overlapping of investments by establishing an organic mechanism among individual early warning systems.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disaster-related information, this study also provides method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disaster early warning systems by organizing a permanent team for handling the systematic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system.

Environmental variable selection and synthetic sampling methods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algal alert level prediction model (변수 선택 및 샘플링 기법을 적용한 조류 경보 단계 예측 모델의 정확도 개선)

  • Jin Hwi Kim;Hankyu Lee;Seohyun Byeon;Jae-Ki Shin;Yongeun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17-517
    • /
    • 2023
  •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4대강 및 주요 호소 29지점을 대상으로 조류경보제가 시행되고 있으며 조류 경보 단계는 실시간 모니터링지점에서 측정되는 유해 조류의 셀농도를 기반으로 발령 단계가 결정된다. 상수원 구간은 관심, 경계, 조류 대발생, 해제 또는 미발생 총 4구간으로 구성되며, 친수 활동 구간의 경우 조류 대발생을 제외한 3구간으로 구성된다. 현재 시행되는 조류 경보제의 목적은 유해 조류 발생 시 사후 대응 방안 마련에 보다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특히, 모니터링 주기 확대 여부, 오염원 관리 방안 마련, 조류 제거 여부 등의 의사 결정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조류 경보 단계에 대한 사전 예측이 가능한 경우 유해 조류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전하고 깨끗한 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류 경보 단계의 사전적 예측을 위해 국가 실시간 측정망에서 제공하는 전국 보 모니터링 종합 정보 자료, 기상측정망 자료, 실시간 보 현황 자료를 활용하여 예측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단계 예측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변수 선택 기법을 활용하여 조류 경보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변수를 선정하였으며 자료의 불균형으로 인해 모델 학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예측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샘플링 기법을 적용하여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변수 선택 및 샘플링 기법을 고려하지 않은 원자료를 사용하여 예측 모델을 구축한 결과 관심 단계(Level-1) 및 경보 단계(Level-2)에 대해 각각 50%, 62.5%의 예측 정확도를 보인 반면 비선형 변수 선택 기법 및 Synthetic Minority Over-sampling Technique-Edited Nearrest Neighbor(SMOTE-ENN) 샘플링 기법을 적용하여 구축한 모델에서는 Level-1은 85.7%, Level-2는 75.0%의 예측 정확도를 보였다.

  • PDF

An intelligent early warning system for forecasting abnormal investment trends of foreign investors (외국인 투자자의 비정상적 중·장기매도성향패턴예측을 위한 지능형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 Oh, Kyong Joo;Kim, Young Mi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4 no.2
    • /
    • pp.223-233
    • /
    • 2013
  • At local emerging stock markets such as Korea, Hong Kong, Singapore and Taiwan, foreign investors (FI) are recognized as important investment community due to the globalization and deregulation of financial market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monitor the behavior of FI against a sudden enormous selling stocks for the concerned local governments or private and institutional investors.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arly warning system (EWS) which purposes issuing a warning signal against the possible massive selling stocks of FI at the market. For this, we suggest machine learning algorithm which predicts the behavior of FI by forecasting future conditions. This study is empirically done for the Korean stock market.

Development of flash flood guidance system for rural area based on deep learning (딥러닝 기반 농촌유역 돌발홍수 예경보 시스템 개발)

  • Ryu, Jeong Hoon;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09-309
    • /
    • 2018
  •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의 규모와 발생빈도 증가로 농촌유역의 홍수 피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홍수 피해 저감 대책은 도시지역의 대하천 주변으로 집중되어있으며, 소하천 및 농촌유역의 홍수 피해 저감에 대한 관리와 투자 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최근 들어 갑작스런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농촌유역 돌발홍수 피해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홍수 발생 등을 신속하게 파악하기 위한 돌발홍수 예경보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최근 산업의 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4차 산업혁명이 대두되고 있으며,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 AI)을 비롯하여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드론, 슈퍼컴퓨팅 등의 이른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농촌유역 홍수 피해를 저감하고 또한 사전에 대비하기 위해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한 농촌유역 돌발홍수 예경보 시스템을 개발하고 그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우선, 농촌유역의 홍수와 관련된 빅데이터 (기상 자료, 수문 자료, 기후변화 자료, 농업용 수리구조물 자료 등)를 토대로 정형 빅데이터와 비정형 빅데이터를 구분 추출하고 이를 연계 해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추출한 정형 및 비정형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딥러닝을 기반으로 농촌유역의 홍수를 예측하고 홍수 예경보 기준에 따른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과거 강우사상을 홍수 예경보 시스템에 적용하여 홍수 모의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재해연보 등과 비교 분석하여 시스템의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 PDF

School Zone Safety Improvement Using Smart Bollard (Smart Bollard를 이용한 어린이보호구역에서의 안전성 제고에 관한 연구)

  • Kim, Hoe Kyoung;Lim, Jae Moon;Sul, Jae Hoon;Oh, Yun Py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1
    • /
    • pp.251-259
    • /
    • 2013
  • This paper is aimed to introduce to a moving bollard (i.e., smart bollard) to improve the pedestrian safety along the crosswalk in the school zone as a means to physically separate pedestrians and approaching vehicles, to propose the appropriate criteria for its installation and implementation from the traffic engineering perspective, and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with the microscopic simulation model. The simulation results indicate that implementing the smart bollard results in the decrease of average approaching speed and traffic throughput and the most critical factors affecting its effectiveness are yellow time of the traffic signal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location of the advance warning sign and its operation time, 5~6 seconds and 2~3 seconds, respectively.

A Study on the Flood and Inundation Prediction using Forecasted Rainfall of the WRF Model (WRF 예측강우를 활용한 홍수 및 침수예측에 관한 연구)

  • Yoon, Seong-Sim;Phuong, Tran Anh;Bae, Deq-Hy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263-267
    • /
    • 2010
  • 최근 지구온난화, 엘니뇨 및 라니냐 등 지구환경 변화에 따른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지구상의 많은 지역에서 집중호우가 발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예외 없이 매년 되풀이되고 있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홍수피해를 경감하기 위해서 홍수조절용 다목적 댐 건설과 같은 구조적 대책과 홍수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홍수예경보 시스템 구축과 같은 비구조적 대책의 마련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홍수예경보 시스템은 강우 관측치를 강우-유출 모형 및 수리해석 모형의 입력 자료로 하여 홍수량 및 홍수위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운영된다. 그러나 집중호우와 같은 악기상 조건에서는 관측강우자료를 이용한 유출해석 결과로 홍수예경보 시스템을 운영 할 경우 예방 대응시간의 부족으로 인해 방재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미래에 발생할 강우를 사전에 예측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유출 모형과 연계하여 홍수발생 이전에 홍수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홍수 모의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규모 수치예보모형인 WRF 모형(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model)으로 모의된 2007년 태풍 '나리' 사상의 예측강우를 이용하여 유역평균강우를 산정하였으며, 산정된 예측강우를 도시유역유출모형인 SWMM과 2차원 침수모의가 가능하도록 개선한 CASC2D 모형에 활용하여 침수현상을 모의하였다. 실제 침수흔적과 모의된 결과의 비교를 통해 예측강우를 이용한 침수예측 및 홍수예보의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 과소추정된 예측강우의 영향으로 인해 모의된 침수심이 실제보다 작게 발생하였으나 침수발생 위치는 대체적으로 정확하게 모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velopment of a Real-time Air-quality Forecasting System Using the Statistical Model (PM-10) (통계모델을 이용한 실시간 오염도 예보 시스템 개발 (PM-10))

  • 구윤서;권희용;윤희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445-446
    • /
    • 2003
  • 대기오염물질은 배출되면 인위적으로 제거하는 과정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인체, 자연생태계 및 재산상에 다방면으로 피해를 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호흡성 먼지 또는 미세먼지라고 부르고 있는 PM-10은 대기 중 체류시간이 길며 인체에 대한 위해도를 갖고 있으나 최선의 대처 방법은 외출을 삼가하는 등의 미세먼지에 대한 노출을 사전에 방지 하는 방법밖에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미세먼지에 대한 노출을 사전에 막고 이에 대한 대처를 위하여 미세먼지농도의 예보 및 경보 시스템 체제를 가동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중략)

  • PDF

고용보험사업 내실화 및 부정수급 방지 종합대책

  • Korea Mechanical Construction Contractors Association
    • 월간 기계설비
    • /
    • no.10 s.207
    • /
    • pp.64-70
    • /
    • 2007
  • 점차 지능화.조직화되고 있는 고용보험 지원금의 부정수급 방지를 위해 건설고용보험카드를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4대 사회보험 및 국세청 신고자료의 연계를 확대하는 등 종합대책이 마련됐다. 노동부는 실업급여를 포함한 고용보험 각종 지원금의 부정수급을 근원적으로 방지하고 고용보험제도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 '부정수급 자동경보시스템'을 구축하고 각종 제도와 절차 등을 개선하는 내용의 '고용보험사업 내실화 및 부정수급 방지 종합대책'을 수립,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종합대책은 $\Delta$부정수급 사전예방 강화 $\Delta$효과적인 적발 시스템 구축 $\Delta$제재조치의 강화 $\Delta$부정수급 관리역량 확충 등이다. 종합대책의 주요 내용은 $\Delta$건설고용보험카드 단계적 확대 $\Delta$피보험자 소득취득 관리강화 $\Delta$4대사회보험 및 국세청 신고자료 연계확대 $\Delta$직업소개 거부시 구직급여 감액제도 도입 $\Delta$훈련기관 지문인식 출결관리 시스템 확대 $\Delta$부정수급 자동경보 시스템 구축 $\Delta$제보자에 대한 포상금 인상(부정수급액의 $10%\rightarrow 20%$) $\Delta$과태료 신설 등이다.

  • PDF

Experimental and Analytical Study on the Water Level Detection and Early Warning System with Intelligent CCTV (지능형 CCTV를 이용한 수위감지 경보시스템에 대한 실험 및 해석적 연구)

  • Hong, Sangwan;Park, Youngjin;Lee, Hacheol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0 no.1
    • /
    • pp.105-115
    • /
    • 2014
  • In this research, we developed video analytic algorithms to detect water-level automatically and a system for proactive alarming using intelligent CCTV cameras. We applied these algorithms and a system to test-beds and verified for practical use. We made camera-selection policies and operation plans to keep the detection accuracy high and to optimize the suitability for the ever-changing weather condition, while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camera shaking and weather condition can affect to detection accuracy. The estimation result of algorithms showed 90% detection accuracy for all CCTV camera types. For water level detection, NIR camera performed great. NIR camera performed over 95% accuracy in day or night, suitable in natural weather condition such as shaking condition, fog, and low light, needs similar installment skills with common cameras, and spends only 15% high cost. As a result, we practically tested water level detection algorithms and operation system based on intelligent CCTV camera. Furthermore, we expect the positive evidences when it is applied for public use.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Information Accepter about Civil Defence Alert Broadcasting (민방위 경보 방송에 대한 정보 수용자 인식 연구)

  • Kwak, Chunsub;Kyung, Ilsoo;Lee, Hyunji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0 no.6
    • /
    • pp.827-83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delivery system through researching the information accepter' recognition and use about warning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the survey, they listen to civil defence alert broadcasting on mass media more than personal media. The frequency of alert broadcasting is significantly very low and they listen to it below 5 times in a year. Also, nearly one in four people says its siren and contents are indistinct. Alert broadcasting's siren shows less memory retrieval and sorting capability than others and the result shows that they will act based on the broadcasting instead of reacting to prior knowledge in real situations. Finally, the result shows that improving public awareness through education and publicity more than social system buildup is important in civil defence alert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