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전시각화

Search Result 131,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Pre-visualization of Interaction on Game Character's Quest Play : Towards of Narrative Structure (내러티브 구조 관점에서 본 게임 캐릭터의 퀘스트 플레이에 대한 인터랙션 사전 시각화)

  • Kim, Mi-Jin;Woo, Kim-Sang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1 no.2
    • /
    • pp.3-11
    • /
    • 2011
  • A game designer is the initial design of the quest based on narrative. It is important that to predict game character of play experience to establish these static content. This paper deal with player's affective interaction distinguishing among game characters are perform quest-play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 status. To achieve this, First of all, previous studies regarding pre-visualization of narrative structure for other visual media are reviewed. Secondly, it is specified that quest-play experience and player's cognitive behavior. At last, these features of status by character were pre-visualized with QUG(Quest Unit Graph), which could be represented differences in precess of quest-play through analysis on world of warcarft game. Previous research is about of numerical balance in terms of character's achievement, whereas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s proposed that visual model of quest-play interaction focused on narrative structure to predict game designer's architecture of quest experience.

Previsualization by using 3D (3D를 이용한 사전시각화_프리비즈)

  • Kim, Ho-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567-568
    • /
    • 2011
  • 미국 영상제작시장에서는 기획단계에서 충분한 시간, 비용투자와 여러 가지 검증방법을 통해, 아이디어를 거의 완벽하게 검증하고 있다. 최근에 사전시각화-프리비즈(previsualiztion)의 한 종류인 3D 씨네메틱스(cinematics)가 검증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최신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이용하는 프리비즈는, 단기간에 저비용으로 제작자와 클라이언트들이 원하는 비주얼을 최종 결과물에 최대한 가깝게 구현하는 것을 목표한다. 고품질 프리비즈는 기획물에 대한 검증, 수정, 시장성타진 뿐만 아니라 프로덕션단계의 시행착오를 줄이는 가이드라인으로 쓰여, 프로덕션의 품질(quality)향상, 제작비 절감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기획에 대한 확실한 검증과정들이 미국의 영상제작산업을 세계최고 레벨로 올려놨다. 본 연구는 미국 영상제작시장에서 제작되고 있는 프리비즈의 동향과, 프리비즈 국내영상기획시장에서의 필요성, 기대효과를 연구하고자 한다.

  • PDF

YKanto implemented visualization function (시각화 기능을 탑재한 YKanto)

  • Kwak, Inyup;Hwa, Dosa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9.10a
    • /
    • pp.126-129
    • /
    • 2009
  • YKanto (Ontology Construction System of Yeungnam University & KAIST)[1,2]는 웹 기반 온톨로지 구축 시스템으로써 다수의 온톨로지 구축자가 신문, 사전, 코퍼스 등의 지식 자원으로부터 대용량의 온톨로지를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YKanto에서 개발 중인 온톨로지를 2차원 그래프로 시각화 할 수 있는 온톨로지 시각화 도구(Visualization Tool for Ontology)를 설계하고 개발한다. 개발한 온톨로지 시각화 도구는 기존의 개념 및 관계 중심의 시각화 도구와 달리 사건 기반의 온톨로지(event-based ontology)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사건(event) 중심의 시각화 도구이다. 또한, Java Applet으로 구현하며, YKanto과 연동시킴으로써 개발 중인 온톨로지를 웹 상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Design of auto voice warning system using bluetooth and ultrasonic sensor (블루투스와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자동음성 경보 시스템 설계)

  • Park, Joon-Hoon;Kim, Jin-Min;Park, Min-Ky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b
    • /
    • pp.377-378
    • /
    • 2008
  • 본 논문은 시각 장애인들의 보행 시 앞을 볼 수 없는 점을 바탕으로 시각을 음성으로 대체하여 장애 물체가 발생하였을 경우 안전을 위하여 위험 요소를 사전에 경보하여 알려주도록 구현하였다. 시각 장애인들이 보행 시 장애 물체가 나타났을 경우 이를 입체 변위 센서인 초음파 센서로 장애물의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통신인 블루투스를 동하여 송 수신하여 사용자인 시각 장애인에게 소형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으로 알려주고 경고함으로써 위험 요소를 사전에 대처할 수 있도록 설계를 하였다. 초음파 입체 변위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거리를 실시간 자동 거리 측정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현하고 이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송 수신하며 수신 모듈이 데이터를 음성으로 전환하여 실시간 자동 경보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보행 장애 위험물 감지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디지털화되게 시스템을 개선하였다.

  • PDF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ata Visualization EducationProgram for 3rd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위한 데이터 시각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Jiseon Woo;Kapsu Kim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6 no.6
    • /
    • pp.481-490
    • /
    • 2022
  •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ing technology, the big data era has arrived, and we live with a lot of data around u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no exception.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learn to process data from elementary school. Sinc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intuitive thinking, data visualization, which expresses data directly in pictures, is an important learning element. In this study, we study how effecti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visualize data in their daily lives to improve their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ies. Adata visualization program was developed by organizing and visualizing data using data visualization tools for the 8th class, which can be done by thir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then experiencing the process of interaction. As a result of applying the developed program to 186 students in 7 classes,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factors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class. As a result of the pre- and post-te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ies. Therefore, the data visualiz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Features Analysis of Character by Visual Types of Body and Temperament (체격기질유형의 시각적 모델에 의한 캐릭터의 유형특성 분석)

  • 김남훈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613-620
    • /
    • 2003
  • 애니메이션의 사전제작과정에서 캐릭터의 보다 효율적 제작, 분석, 평가을 위해 시각적 모델화및 데이터 베이스 구축이 필요했다. 캐릭터의 체격과 기질 관계를 조명하기 위해 W. 셀던의 체격기질유형 이론으로부터 정형화된 분석 틀을 구축하여 개념을 시각화하고 유형분석 모델을 만들었으며, 또한 케이스 스터디를 위해 세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캐릭터의 유형들을 분석함으로써 모델의 적용 가능성과 나아가 애니메이션의 캐릭터에서 표현된 외적 형상과 내적 기질의 상관성을 추론하여 실제 적용이 가능한 기초적 데이터가 되도록 하였다.

  • PDF

KONG-DB: Korean Novel Geo-name DB & Search and Visualization System Using Dictionary from the Web (KONG-DB: 웹 상의 어휘 사전을 활용한 한국 소설 지명 DB, 검색 및 시각화 시스템)

  • Park, Sung 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3 no.3
    • /
    • pp.321-343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design a semi-automatic web-based pilot system 1) to build a Korean novel geo-name, 2) to update the database using automatic geo-name extraction for a scalable database, and 3) to retrieve/visualize the usage of an old geo-name on the map. In particular, the problem of extracting novel geo-names, which are currently obsolete, is difficult to solve because obtaining a corpus used for training dataset is burden. To build a corpus for training data, an admin tool, HTML crawler and parser in Python, crawled geo-names and usages from a vocabulary dictionary for Korean New Novel enough to train a named entity tagger for extracting even novel geo-names not shown up in a training corpus. By means of a training corpus and an automatic extraction tool, the geo-name database was made scalable. In addition, the system can visualize the geo-name on the map. The work of study also designed, implemented the prototype and empirically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pilot system. Lastly, items to be improved have also been addressed.

Spatio-temporal Visualization of Social Anxiety Using SNS Data (SNS 데이터를 이용한 사회 불안의 시공간 기반 시각화)

  • Kim, Jae-Min;Lee, Joo-Hong;Choi, Yo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849-852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SNS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회 불안의 시공간 분포를 시각화 하는 기법을 소개한다. Open API인 twitter4j를 이용하여 트위터로부터 시공간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수집한 뒤, 이 트윗의 작성자가 불안한지 아닌지 표시한 훈련 데이터를 준비한다. 이 훈련 데이터와 한글 형태소 분석기 Open API인 KOMORAN을 이용해 사전을 구축하고, 불안 분류기를 개발한다. 트위터로부터 수집한 시공간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분류기로 분류하여, 지도에 표시해줌으로써 사회 불안을 시각화 한다. 사회 과학자들이 이를 이용하여 불안을 체계적으로 연구함으로써 불안으로부터 생기는 다양한 사회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TRIB: A Clustering and Visualization System for Responding comments on WebBlog (TRIB: 웹블로그 댓글분류 시각화 시스템)

  • Bae, Min-Jung;Lee, Yun-Jung;Ji, Jeong-Hoon;Woo, Gyun;Cho, Hwa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226-229
    • /
    • 2009
  • 최근 들어 인터넷 게시판이나 개인 블로그 등은 온라인상에서 사람들의 정보 공유나 의견 교환의 중요한 매체가 되고 있다. 많은 수의 블로그들은 현재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여러 문제들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최근 댓글을 통해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사 표현하거나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살피는 인터넷 사용자의 증가로 인터넷 뉴스나 블로그 기사에 많은 수의 댓글이 달리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블로그나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경우 기사나 댓글들을 순차적인 목록 형태로 제공하므로 자신이 원하는 내용의 댓글을 검색하거나 전체 댓글에 대한 전반적인 파악은 힘든 일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사에 달린 많은 수의 댓글들을 분류하고, 이를 시각화 하는 시스템인 TRIB(Telescope for Responding comments for Internet Blog)을 제안한다. TRIB은 미리 정의된 사용자 정의 사전을 이용하여 댓글을 내용에 따라 분류하여 시각화 하므로 사용자들은 자신의 관심과 흥미에 따라 개인화 된 뷰를 볼 수 있다. 1,000개 이상의 댓글을 가진 뉴스 기사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TRIB 시스템의 댓글 분류와 시각화 성능을 보인다.

VKH 데이터의 3차원 시각화를 위한 플랫폼 구현

  • Ryu, Pum-Mo;Kim, Ki-Tai;Choi, Yong-Seok;Lee, Sang-Tae;Choi, Ki-Seok;Joo, Won-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9.05a
    • /
    • pp.173-176
    • /
    • 2009
  •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재고를 위하여 R&D기관에서 생성되는 연구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서비스하는 데이터 관리/서비스 시스템의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VKH (Visible Korean Human) 데이터를 3차원으로 시각화 서비스하는 플랫폼을 제안하고 구현한다. VKH 데이터는 사망과 동시에 급속 냉동한 인간의 신체를 0.2mm 간격으로 절단하며 촬영한 방대한 양의 실사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이며, 전통적인 생물학, 의학 분야의 연구뿐만 아니라, 현실감 있는 3D 이미지 구축을 위한 기반 데이터로 이용되고 있다. VKH 데이터 기반의 3D 데이터 시각화 플랫폼은 사용자 접근 편의성을 위하여 웹을 기반으로 구현되고, 트리 형식의 인체 구조 온톨로지와 연동하여 해당하는 인체 구성 요소를 체계적으로 관찰하는 기능, 사용자의 원하는 인체 구성 요소들만을 3D 화면에서 조합하고 관찰하는 기능, 위키피디아 백과사전을 참조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현재 인체의 머리 부분 3D 데이터를 대상으로 플랫폼이 구축되고 있으며, 향후 전체 인체를 대상으로 서비스할 예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