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이

Search Result 32,527,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Signage: Importance of Customized Content (디지털 사이니지의 효과에 관한 연구: 맞춤식 콘텐츠의 중요성)

  • Cho, Jae-Y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6
    • /
    • pp.211-217
    • /
    • 2019
  • This study suggested the alternatives for improving consumers' engagement with digital signage (DS) by analyzing the researches of the effectiveness of DS in marketing and public areas, which is recognized as an essential communication tool for commercial or public matters. According to the results, affective DS ad content of DS resulted in positive shoppers' buying behaviors and perceiving buying environment; DS was also effective for public affairs, which how proper channel and message for the target public resulted in solving community problems. However, it was rare to measure precisely the level of consumers' engagement with DS content and what DS content aroused higher engagement in both areas. Thus, DS content should be more customized based on multiple converged contents for consumers' engagement and the research efforts of DS should be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not only its device technology, but also creative content.

디지털 사이니지의 위치기반 서비스 기술의 현황 및 전망

  • Ryu, Chun-Yeol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5
    • /
    • pp.26-34
    • /
    • 2016
  • 최근 디지털 사이니지 분야는 광고분야의 한정적 매체 특성을 벗어나 첨단 기술과 서비스 콘텐츠를 결합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형태의 매체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광고 업계의 침체와 기존 단순 영상 송출의 한계를 증강현실, 동작인식, 다양한 매체간 목적성 연동, 위치기반 맞춤형 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융합적, 결합적 서비스 매체로 진화하고 있다. 2000년대 초 디지털 사이니지의 국내 보급은 국외를 포함해서 보급이 매우 빨랐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광고 목적으로 시작됐지만, 외형적 성장 속도에 비해 매체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 서비스, 운용 기술 및 S/W 개발 등의 질적 성장은 상대적으로 소극적이었다. 그러나 최근 아시아를 중심으로 한류 열풍이 확산되면서 K-POP, 화장품, 의류, 바이오 등 산업을 중심으로 디지털 사이니지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IT와 융복합되면서 교육, 정보 제공, 예술분야에 적극 활용됨에 따라 국내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이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특히, 위치 기반 서비스는 2000년 후반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장을 시작으로 현재 스마트폰에 기본으로 장착되면서 이제는 서비스 전분야에 직/간접적으로 활용되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디지털 사이니지는 첨단 기술과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지능적 처리 능력을 이용함으로써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위치 기반 기술과 서비스를 결합한 새로운 매체 인프라로 생활 공간에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현재 뜨거운 화두가 되고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와 위치 기반 기술의 기술 및 시장 현황을 살펴보고, 기술 및 서비스 융복합에 따른 앞으로의 디지털 사이니지 분야와 결합된 위치 기반 서비스의 미래를 전망해 본다.

North Korean Cyber Warfare Threat and South Korean Action (북한의 사이버전 위협분석과 대응방안 고찰)

  • Kim, Doo-Hyu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4 no.2
    • /
    • pp.1-10
    • /
    • 2014
  •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increased threat of cyber warfare and the threat of reality about what is happening around the currently. And to prepare for it, I proposed the fact how main developed countries deal with cyber warfare. Also, I presented North Korea's cyber warfare threat which is equipped with world's top 3 cyber warfare performance and the way how their strategy influence to South Korea's national security. Moreever, I studied the existing North Korea's cyber warfare threat and the way how, how South Korea deal with it and prepare to against expected threat of cyber warfare in future.

A Study of the Review of Research on Cyberbullying and Its Responding Strategy (사이버불링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 및 대응 방안 연구)

  • Choi, Sook You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7 no.6
    • /
    • pp.35-48
    • /
    • 2014
  • As smartphone use has become so popular recently, bullying and harassment in cyber space are a growing problem both at home and abroad. While various studies on cyberbullying in other countries began more than a decade ago, there are few studies in Korea. In order to effectively respond to cyberbullying, diverse studies based on in-depth analysis of the problem should be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describes the definitions and types of cyberbullying, the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bullying and cyberbullying, and the causes and effects of cyberbullying.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the existing research related to the response strategies of cyberbullying and then suggests its own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 PDF

Charge trap flash 메모리 소자의 셀 간 간격의 변화에 따른 셀 사이의 간섭 현상

  • Park, Hun-Min;Jang, Sang-Hyeon;Yu, Ju-Hyeong;K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8a
    • /
    • pp.194-194
    • /
    • 2010
  • Charge trap flash (CTF) 구조를 가진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기존의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 비해 쓰고 지우는 속도가 빠르고, 데이터의 저장 기간이 길며, 쓰고 지우는 동작에 의한 전계 스트레스에 잘 견디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CTF 플래시 메모리에서도 수십 나노 이하로 소자의 셀 사이즈가 감소함에 따라 단 채널 효과, 펀치스루 현상 및 셀 사이의 간섭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해야 한다. 인접한 셀 사이에 발생하는 간섭 현상에 대해선 플로팅 게이트를 사용한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CTF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서 나타나는 셀 사이의 간섭현상에 대한 연구는 만히 진행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CTF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셀 사이의 간격이 작아짐에 따라 발생하는 인접한 셀 간의 간섭 현상에 대해 관찰하였다. CTF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셀 사이의 간격에 따른 비교를 위하여 각 소자의 셀을 구성하는 터널링 산화막, 질화막 및 블로킹 산화막의 두께를 동일하게 하였다. 각 셀 사이의 간격이 감소함에 따라 발생하는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TCAD 시뮬레이션 툴인 Sentaurus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인접한 셀의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간섭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word line (WL)과 bit line (BL) 방향에 있는 주변 셀의 프로그램 상태에 따른 선택한 셀의 문턱전압이 변화 정도를 관찰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셀 사이의 간섭효과가 WL 방향에 의한 간섭 현상보다 BL 방향에 의한 간섭 현상보다 크다. 시뮬레이션한 전류-전압 특성 결과는 CTF 플래시 메모리 소자가 비례 축소할 때 인접하는 셀 사이에 간격이 15 nm 이하로 줄어들 경우에 간섭 현상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 PDF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 기반 클라우드 디지털사이니지 시스템

  • Kim, Jeong-Ho;Kim, Hui-Do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5
    • /
    • pp.35-38
    • /
    • 2016
  • 디지털사이니지는 다양한 산업분야와 생활 전반에 다양하게 사용되는데, 각 비즈니스별로 버티컬 마켓이 형성되어 왔다. 현재까지 디지털사이니지는 국제적 표준이 없어, 기업별로 필요에 따라 개발하는 개별적인 프로젝트 형태로 구축되어 왔다. 그러나 구축 비용이 비싸고,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운영관리가 어려워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표준이 될 수 있는 확장성, 유연성, 경제성이 있는 디지털사이니지 플랫폼 솔루션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윈도우 운영체제와 PC 기반이 아닌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와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에 기반한 확장성, 유연성, 경제성 등의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디지털사이니지 미들웨어 플랫폼 개발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Load Balancing System for Virtualization of Web-based Digital Signage (웹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 가상화를 위한 부하 분산 시스템)

  • Lee, Wonjae;Lee, Yong-Tae;Lee, Hyun-Woo;Choi,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4.11a
    • /
    • pp.277-279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웹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 가상화를 위한 부하 분산 시스템을 다룬다. 웹 기반 콘텐트는 개발하기 쉽고 관리하기 쉽다고 평가되고 있다. 이런 이유로 디지털 사이니지 콘텐트를 웹 기반으로 개발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웹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 콘텐트를 재생하기 위해서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은 특정 사양 이상의 연산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때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여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을 씬 클라이언트로 대체하면 단말 가격, 관리 비용, 전력 비용 등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여 디지털 사이니지 콘텐트를 다수의 씬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리밍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서버와 부하 분산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부하 분산 시스템은 서버 부하에 기반하여 요청을 분배하며, 고가용성을 지원한다.

  • PDF

Standardization Activities of Digital Signage Technologies (디지털 사이니지 기술 표준화 동향)

  • Huh, M.Y.;Kang, S.G.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7 no.4
    • /
    • pp.73-82
    • /
    • 2012
  • 디지털 사이니지는 사용 중인 대다수의 시스템이 폐쇄적이고 독자적이기 때문에 상호운용성이 부족하다. 따라서, 종단 사용자가 다른 제조업체나 오퍼레이터로부터 제품이나 서비스를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다른 특징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단말을 사용하기 위하여 산업체에서는 상호운용가능한 디지털 사이니지 솔루션을 위한 기술적인 표준을 정의한다. 현재 디지털 사이니지 기술에 대한 표준화는 ITU-T, POPAI(Point of Purchase Advertising International), W3C 등에서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ITU-T, POPAI, W3C 등 디지털 사이니지 표준화 작업을 추진하고 있는 주요 국제 표준기구 및 포럼의 표준개발 현황에 대해 소개한다.

  • PDF

사이버전에 관한 주요국의 견해

  • 박상서;박춘식
    • Review of KIISC
    • /
    • v.14 no.6
    • /
    • pp.70-74
    • /
    • 2004
  • 사이버전의 위협과 발생 가능성에 대한 찬반 양론이 있기는 하지만, 분명한 것은 향후 사이버공간에서의 또는 사이버공간을 매개체로 한 분쟁은 분명히 커다란 위협으로 대두될 것이라는 것이다. 이에 따라, 주요국들은 각국이 처한 상황과 국가 정책 등에 따라 각각 사이버전의 개념을 정립해 나아가고 있다. 또한, 사이버전을 군사적인 측면뿐 아니라 경제적인 측면과 범죄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기도 하다. 본 고에서는 사이버전에 관련된 주요국가의 기본적인 견해를 정리한다.

Three Dimensional Study of Miniscrew about Installation Area and Angle (미니스크류 식립 각도 및 부위에 대한 3차원적 연구)

  • Jo, Hee-Sang;Lee, Jin-Woo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24 no.2
    • /
    • pp.203-211
    • /
    • 2008
  • Minimizing damage to anatomical structure is a prerequisite for skeletal anchorage system to install a miniscrew. This research has focused on evaluating the stability and safety of installation in the maxillary molar buccal area, in which most miniscrews are installed clinically and initial fixation is weak. CT (computerized tomography)images were taken for surveying the possibility of damaging to adjucent teeth in accordance with installation angle. If we install a mini-screw($1.2{\times}6.0mm$) in the maxillary molar buccal area, it would be located generally in the 5~8mm upper of CEJ and 3~5mm inner of the cortical bone surface. We has measured the space between roots And comparison has been made for gender and the space between roots in accordance with the 3 different angles of installation(30 degree, 40 degree, 60 degree) in 3 categories. Category 1 : between 1st molar and 2nd molar Category 2 : between 1st molar and 2nd premolar Category 3 : between 1st premolar and 2nd premolar The result are as follow; 1. The space for category 1 was significantly small. 2. For the installation angle, it was safer to install with steeper angle in category 1 and category 2, but not in category 3.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installation a miniscrew in category 2, 3 is safer than in category 1. And it is safer to install with steeper angle in category 1 and category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