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Search Result 10,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를 위한 TLS Fingerprinting 동향

  • Roh, Heejun
    • Review of KIISC
    • /
    • v.31 no.5
    • /
    • pp.13-19
    • /
    • 2021
  • 사이버 공격이 점점 복잡해지고 빠르게 진화하면서, 기존에 알려졌거나 향후 예견되는 위협에 대한 근거를 바탕으로 한 지식인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CTI)를 구축하고 공유하려는 노력이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Transport Layer Security(TLS)와 같은 암호화 프로토콜을 활용해 암호화된 인터넷 트래픽이 증가하면서 패킷 페이로드(payload)의 분석이 어려워짐에 따라, 암호화된 네트워크 트래픽을 핑거프린팅(fingerprinting)하고 이 정보를 공유해 위협의 근거로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등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에 제안된 주요 TLS 핑거프린팅 기법 및 이를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구축을 위해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사례를 소개한다.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환경에서의 종합분석 전략

  • Lee, Seulgi;Kim, Dongwook;Kim, Byeongjae;Lee, Taewoo;Han, Sangwon;Lee, JaeKwang
    • Review of KIISC
    • /
    • v.31 no.5
    • /
    • pp.33-38
    • /
    • 2021
  • 한국인터넷진흥원 종합분석팀은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CTI)를 통해 주요 침해사고를 추적하여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 공유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협력채널 혹은 기존 사고에서 사용된 악성도구의 흔적을 기반으로 악성 인프라를 탐지하고, 이에 대한 공격자의 전략을 상세히 분석, 정리한 보고서를 발간하여 기업의 보안 수준을 제고하려 노력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측면에서 변화한 종합분석의 관점 및 역할을 소개하고, 고도화되어가는 침해사고를 대응하기 위한 향후 전략을 제안한다.

Cyber threat intelligence sharing system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공유 체계 연구)

  • Yang, Jun-ho;Kim, Chan-jin;Kim, Mee-yeon;Kim, Ji-hye;Kim, Jong-hyun;Youm, Heung-yo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10a
    • /
    • pp.647-650
    • /
    • 2018
  • With the advent of advanced technologies in the real world, the cyber domain has become wider and cyber threats are increasing. A cyber threat intelligence sharing system is needed to more effectively defend and respond to such cyber threats. Through the definition of cyber threat information expression standard, it enables rapid sharing, consistent analysis, and automated interpretation of cyber threat information possessed by individual security control providers or organizations.

  • PDF

OSINT기반의 활용 가능한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생성을 위한 위협 정보 수집 시스템

  • Kim, KyeongHan;Lee, Seulgi;Kim, Byungik;Park, SoonTai
    • Review of KIISC
    • /
    • v.29 no.6
    • /
    • pp.75-80
    • /
    • 2019
  • 2018년까지 알려진 표적공격 그룹은 꾸준히 증가하여 현재 155개로 2016년 대비 39개가 증가하였고, 침해사고의 평균 체류시간(dwell-time)은 2016년 172일에서 2018년 204일로 32일이 증가하였다. 점점 다양해지고 심화되고 있는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공격에 대응하기 위하여 국내외 기업들의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CTI; Cyber Threat Intelligence) 활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KISA에서는 글로벌 동향에 발맞춰 CTI를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CTI 활용을 위한 OSINT(Open Source Intelligence)기반 사이버 위협 정보 수집 및 연관관계 표현 시스템을 소개하고자 한다.

A Study on Automatic Detection and Extraction of Unstructured Security Threat Information using Deep Learning (딥러닝 기술을 이용한 비정형 보안 위협정보 자동 탐지 및 추출 기술 연구)

  • Hur, YunA;Kim, Gyeongmin;Lee, Chanhee;Lim, HeuiS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584-586
    • /
    • 2018
  • 사이버 공격 기법이 다양해지고 지능화됨에 따라 침해사고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피해도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보안 기업들은 다양한 침해사고를 파악하고 빠르게 대처하기 위하여 위협정보를 정리한 인텔리전스 리포트를 배포하고 있다. 하지만 인텔리전스 리포트의 형식이 정형화되어 있지 않고 점점 증가하고 있어, 인텔리전스 리포트를 수작업을 통해 분류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개체명 인식 시스템을 활용하여 비정형 인텔리전스 리포트에서 위협정보를 자동으로 탐지하고 추출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한다.

  • PDF

CTI Lifecycle for network attack prevention (네트워크 공격 방지를 위한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프로세스 연구)

  • Cha, Jeonghun;Jo, Jeong Hoon;Kang, Jungho;Park, Jong 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470-472
    • /
    • 2019
  • Cyber Threat Intelligence (CTI)는 성장하는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는 새로운 보안체계 개념으로써 최근 많은 조직에서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입하고 있다. 조직에서 CTI의 도입은 보안 조직간의 위협 정보와 그에 대응할 수 있는 방어 전략을 공유하여 다양한 선제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CTI 위협 정보를 공유하는 조직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정보의 양은 점차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정보를 공유받는 대부분의 조직이 공격자가 악의적으로 잘못된 위협 정보를 수집한 경우 또 다른 사이버 공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CTI 정보 공유에서 사이버 위협 대응 조치 전략을 조직에 적용하기 전에 가상의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 적용시킨 후 평가 및 검증을 통해 공격을 목적으로 한 악의적인 정보가 적용되지 않도록 사전에 방어한다.

Cyber threat intelligence analysis technology to prevent the diffusion of cyber attacks (사이버 공격 확산 방지 및 신속한 대응을 위한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분석 기술)

  • Kim, Byung-Ik;Lee, Seul-Gi;Kim, Kyeong-Han;Park, Soon-Ta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420-423
    • /
    • 2019
  • 최근 국내에서 발생되고 있는 사이버 공격들의 대부분은 기존 보안장비로 탐지가 어려운 지능형 공격으로 2017년 한 해 동안 발생한 사이버 공격의 경제적 피해액은 약 77조원에 달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공격을 탐지하는데 평균 145일 정도가 소요되고 있으며 국내 기업 중 약 70% 가량은 사이버 공격을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지 않다. 이러한 공격들은 대부분 과거에 발생한 공격의 변형이거나, 특정 공격 집단이 수행하는 유사/변종 공격들이다. 이러한 사이버 공격을 사전에 탐지하거나 이미 발생된 공격의 변형된 공격을 신속하게 탐지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사이버 공격에 사용된 다양한 정보들을 능동적으로 수집하여, 이들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실시간으로 유입되는 공격 의심정보와 비교분석하는 기술을 제시한다.

3-Step Security Vulnerability Risk Scoring considering CVE Trends (CVE 동향을 반영한 3-Step 보안 취약점 위험도 스코어링)

  • Jihye, Lim;Jaewoo, Le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7 no.1
    • /
    • pp.87-96
    • /
    • 2023
  • As the number of security vulnerabilities increases yearly, security threats continue to occur, and the vulnerability risk is also important. We devise a security threat score calculation reflecting trends to determine the risk of security vulnerabilities. The three stages considered key elements such as attack type, supplier, vulnerability trend, and current attack methods and techniques. First, it reflects the results of checking the relevance of the attack type, supplier, and CVE. Secondly, i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pic group and CVE identified through the LDA algorithm by the Jaccard similarity technique. Third, the latest version of the MITER ATT&CK framework attack method, technology trend, and relevance between CVE are considered. We used the data within overseas sites provide reliable security information to review the usability of the proposed final formula CTRS. The scoring formula makes it possible to fast patch and respond to related information by identifying vulnerabilities with high relevance and risk only with some particular phrase.

A Study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Government Security Strategy -In Terms of the Cyber Security Technology of Intelligent Government- (제4차 산업혁명과 전자정부 보안연구 -지능형 정부의 빅데이터 사이버보안기술 측면에서-)

  • Lee, Sang-Yun;Yoon, Hong-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4 no.2
    • /
    • pp.369-376
    • /
    • 2019
  • This paper studies desirable form of future e-government in terms of intelligent government research in response to new intelligent cyber security servic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lso, the strategic planning of the future e-government has been contemplated in terms of the centralization and intellectualization which are significant characteristic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new system construction which is applied with security analysis technology using big data through advanced relationship analysis is suggested in the paper.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such as SIEM(Security Information & Event Management), which anticipatively detects security threat by using log information through big data analysis is suggested in the paper. Once the suggested system is materialized, it will be possible to expand big data object, allow centralization in terms of e-government securit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oost data process, speed and follow-up response, which allows the system to function anticipatively.

A Preemptive Detection Method for Unknown IoT Botnet Based on Darknet Traffic (다크넷 트래픽 기반의 알려지지 않은 IoT 봇넷 선제탐지 방안)

  • Gunyang Park;Jungsuk Song;Heejun Roh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33 no.2
    • /
    • pp.267-280
    • /
    • 2023
  • With development of computing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IoT environments based on high-speed networks have been extending rapidly. Especially, from home to an office or a factory, applications of IoT devices with sensing environment and performing computations are increasing. Unfortunately, IoT devices which have limited hardware resources can be vulnerable to cyber attacks. Hence, there is a concern that an IoT botnet can give rise to information leakage as a national cyber security crisis arising from abuse as a malicious waypoint or propagation through connected networks. In order to response in advance from unknown cyber threats in IoT networks, in this paper, We firstly define four types of We firstly define four types of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darknet traffic accessed from an IoT botnet. Using the characteristic, a suspicious IP address is filtered quickly. Secondly, the filtered address is identified by Cyber Threat Intelligence (CTI) or Open Source INTelligence (OSINT) in terms of an unknown suspicious host. The identified IP address is finally fingerprinted to determine whether the IP is a malicious host or not. To verify a validation of the proposed method, we apply to a Darknet on real-world SOC. As a result, about 1,000 hosts who are detected and blocked preemptively by the proposed method are confirmed as real IoT botn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