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이버교육

Search Result 813,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Cyber Learning System for Traditional Cloths (한복과 전통예절의 사이버학습 시스템 개발)

  • 정항영;최성;김석현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1.05a
    • /
    • pp.165-168
    • /
    • 2001
  • 본 논문은 인터넷의 발달로 가능해진 가상 현실 속의 학습자료들을 Web 상에서 음향, 동영상, 에니메이션 등을 함께 정리하여 인터넷을 통한 멀티미디어학습자료를 개발함으로써 학습자의 편의를 도모함과 동시에 사용자들이 자발적인 학습에 몰입할 수 있게 연구하였다. 컨텐츠는 우리의 전통의상인 한복으로 시작하였고 한복과 함께 기본적으로 갖추어야할 예절을 학습할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이 사이버 한복 학습시스템은 한복에 대한 컨텐츠로서 현 초, 중 고등학교의 교육정보 시스템에 적용하여 사이버 학습을 가능하게 하고 다른 컨텐츠로 확장을 함으로써 사이버교육을 가능하게 하고 교육 현장에서 역동적인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The Effect of Programming Learning through Cyber Home Learning System on Enhancing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사이버가정학습을 통한 프로그래밍학습이 창의력 및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Cha, Shin-Ho;Lee, Jae-I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51-55
    • /
    • 2010
  • 현대사회는 지식 정보화 사회이다. 이러한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는 단순한 지식의 습득보다는 문제 상황에 적절한 아이디어나 해결방법의 모색을 통한 정보처리능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기존의 학교교육을 벗어나 교육수요자 중심의 교육체제가 활발히 도입되고 있는 데, 그 중 하나가 바로 각 시 도교육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이버 가정학습이다. 사이버 가정학습은 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학습자들이 언제 어디서라도 스스로 학습할 수 있고 능동적인 선택을 통해 자신의 능력과 적성을 개발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교수 학습형태이다. 따라서 시대의 흐름에 맞도록 사이버가정학습의 활성화를 통해 학교교육과 사이버교육의 통한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때이다. 현재 학교현장에서 실시하고 있는 사이버가정학습을 고찰하고, 앨리스(Alice)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수업을 실시하여 아동의 창의력과 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며,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가정학습을 활용한 프로그래밍학습을 적용한 후, 학생들의 창의력 및 문제해결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하여 그 지향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Case Study for Increasing the Learning Effect In Cyber Lecture (사이버 강좌에서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한 사례 연구)

  • Um, Jong-Seok;Cho, Sae-Hong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6 no.10
    • /
    • pp.1230-1237
    • /
    • 2013
  • Cyber lectures were expected to replace the traditional classroom lecture, yet they were criticized due to the inefficiency. With educational technology supplemented, cyber lectures have improved their efficiency through the coherence of superior planning ability and improvement in computer and network technology. This paper's purpose is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improve educational efficiency of cyber lectures. Cyber lecture for IT subject for software practice is created to test the educational efficiency as lecture on theories will not distinctively show the lecture efficiency. The survey was conducted to student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on collected data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educational efficiency of created lecture.

JAVA Based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Lecture Authoring Architecture (JAVA 환경에서의 Web Lecture Authoring Architecture의 설계 및 구현)

  • Kwon, Ji-Young;Hwang, Hyo-Sun;Kang, Sook-Min;Cho, Dong-Sub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07g
    • /
    • pp.2971-2973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 교육의 시스템적 본질을 이해할 수 있도록 사이버교육시스템의 구축 현황을 살펴보고, 실제 JAVA환경(서블릿)에서 평가지원기능을 제공하는 Web Lecture Authoring Architecture를 설계 하였다. 사이버교육 시스템이 제공하는 기능은 크게 과목관리기능, 문제관리기능. 시험관리기능, 성적평가관리기능, 학생관리기능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기존의 사이버 교육 시스템 구축사례에 미흡한 문제은행기능 및 가상시험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Web Lecture Authoring Architecture는 웹을 기반으로 구축하였으며 C/S 환경에서 구축된 시스템과는 달리 Client에 별도의 시스템을 설치할 필요 없이 웹 브라우저만으로 인터넷에서 사이버교육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지고 있다.

  • PDF

E-Learning Satisfaction - Is It Different from Learning Satisfaction (사이버대학 재학생 학습 만족도 향상을 위한 연구)

  • Lee, Sung-H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9 no.6
    • /
    • pp.1830-1837
    • /
    • 2008
  • The growth of an information and knowledge based society has changed the base of education from institution-based to a learner-based system. This indicates that the educational purpose and individual characters of the learners are the primary factors for the educational success. In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based society, the Cyber University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new educational paradigm with its online communities, multi-media based education and communication among the learners. The sample of study was 1620 students of a leading cyber university in Seoul, Korea. One of the results in this study showed that satisfaction levels of learning and education do not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ge or employment. Rather the lowering level of satisfaction after sufficient adaptation period of cyber education was raised as rising problem.

사이버 세계해사대학 설립에 관한 고찰

  • Jeon, Seung-Hwan;Mun, Seong-Bae;Jeong, E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245-246
    • /
    • 2013
  • 최근 들어 세계적으로 선복량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해기사의 수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해운선진국들은 해기사 확보를 위해 국가별 고유한 정책을 세우고 이에 대응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해운선사별로 양질의 해기사수급을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지만 만족할 만한 성과는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현재 해운선사 및 해기교육기관에서 진행되고 있는 교육내용을 살펴보고 아울러 사이버 해기교육기관 설립을 위한 기초적 조사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Research and Direction of Cyber Operation Education System for Fostering Common Situation Awareness about Cyber Operation -Focusing on non-Cyber Operations Unit Officer Education- (사이버작전에 대한 공통상황인식 함양을 위한 군(軍) 사이버작전 교육체계 연구 및 방향성 제안 -비(非)사이버작전부대 장교 교육을 중심으로-)

  • Lee, Sangwoon;Park, Yongsuk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9 no.4
    • /
    • pp.13-2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educational system and direction of cyber operations officers of non-cyber operations forces who do not specialize in cyber operations. In order to carry out cyber operations as a joint operation, non-Cyber Operations officers must also know about cyber operations, but there is no education system for them at present, Since there is almost no previous research on this, research in the relevant field is necessary. Therefore, the education system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ior literature review, that is, the education system, that is, the necessity of education, the object of education, the goals and contents of the education, and the curriculum. In addition, the relevant experts confirmed the validity of each item with Delphi method, and as a result, some improvement was needed, but it was shown to be suitable as a whole. In addition, detailed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can be developed based on this in the future.

Analysis of Education Effectiveness by Cognitive Styl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yber Home Learning System (사이버가정학습 환경에서 초등학생의 인지양식에 따른 교육만족도 분석)

  • Cho, Yeongl-Ho;Seol, Moon-Ky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1a
    • /
    • pp.154-159
    • /
    • 2008
  • 2005년 사이버가정학습 시스템이 구축되어 운영되고 있지만 많은 학생이 이를 외면하고 사교육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사용하고 있다. 사이버가정학습을 이용하는 학생들의 인지양식 특성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각각 교육만족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장독립적인 인지양식 학생들은 학원, 과외 등의 사교육으로 사이버가정학습 이용률이 저조하였고 잘 정리된 자료와 콘텐츠를 사이버가정학습에서 이용하고 싶어 했고 사이버가정학습의 내용과 콘텐츠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의견이 많았다. 장의존적인 인지양식 학생들은 가정에서 컴퓨터 사용 환경이 쉽지 않아 이용하지 못하는 학생이 많았으며 현재 사이버가정학습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만족도 조사에서 사이버선생님에 대한 불만이 비교적 많이 나타났다.

  • PDF

Course Learning and Evaluation in Web based Instruction (웹 기반 교수에서의 코스학습 진도관리 및 평가)

  • 허미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1999.11a
    • /
    • pp.336-339
    • /
    • 1999
  • Education paradigm is moved from traditional face-to-face method to cyber education environment. Therefore, we extracted the components of cyber education system and their detail functions through analysis on the workflow of education and learning standard technology. In addition, we think that template system will make a big role in order to deploy the cyber education system. Therefore, we designed the template system for cyber education. In this paper, we particularly describe both evaluation funrtion on course learning records and statistics function ell evaluation records.

  • PDF

Development of the Cyber University's Admission Quota Policy Model (사이버대학 학생정원 관리모형 개발)

  • Lee, In-Sook;Suh, Soon-Shi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5 no.3
    • /
    • pp.493-503
    • /
    • 2011
  • The Korea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EST) determines admission quota of cyber universities. MEST's decision is made based on each university's physical and administrative capacity for handling admission numbers. Howeve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cyber universities (e.g.,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are not considered in MEST's current decision process. MEST also lacks specifics in their policies that are required to ensure university's autonomous control for admission number as well as learners' rights and quality assurance. This study intended to improve decision making process on admission quota of cyber universities so as to increase quality assurance of education. The alternative admission quota decision frameworks have been formulated based on (a) the analysis of the current practices of cyber universities, (b) focus group interviews, and (c) recommendations of the exper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