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이버교육

검색결과 813건 처리시간 0.034초

사이버 교육의 현황 (Issues in Cyber Education)

  • 황대준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1997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MULTIMEDIA DATABASES on INTERNET
    • /
    • pp.172-196
    • /
    • 1997
  • 정보통신 기술, 방송 기술 및 관련 소프트웨어 기술 발전은 수요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정보 제공자에게로 다가가던 종래의 정보서비스 환경으로부터 사이버 공간을 통해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환경으로의 변화를 촉진시켜주고 있다. 수요자 중심의 개별화된 학습체제에 대한 필요성과 시간과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는 사이버 공간을 통한 교육 기회의 확대는 정보통신망과 방송망을 통해서 다양한 형태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버 교육의 큰 특징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사이버 교육 환경 구현에 필요한 제반 요소들을 분석하고, 국내외 사이버 교육의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서 사이버 교육이 갖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국내의 경우 사이버 교육의 도입 현황을 살펴봄으로서 사이버 교육이 열린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방법으로 정착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해 보고져 한다.

  • PDF

웹기반 사이버 강의의 영향 요인 분석 연구 (Influencing Factors in Implementing the Web-Based Cyber Education)

  • 이석열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235-242
    • /
    • 2005
  • 본 연구는 대학에서 사이버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먼저 사이버교육의 개념과 그 특성을 고찰하고 사이버교육의 평가준거들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본 연구에 적합한 교육효과 관련 변인들을 선정하였다. 연구 모형은 체제론에 입각한 투입-과정-산출 모형을 적용하여 투입변인은 교수, 학생, 학습 환경이고, 과정변인은 교육내용, 상호작용, 강의참여이며, 산출변인은 교육효과성과 교육만족도로 하였다. 분석은 투입-과정-산출과정에서 관련 변인들이 어떤 관계가 있으며, 실제 사이버교육에서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사이버강의에 참여하고 있는 19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증적인 연구를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사이버교육에 참여한 시간이 많거나 성적이 높을수록 사이버교육 효과에도 긍정적으로 인식한다. 둘째, 사이버교육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처음에는 교수의 역할이 중요하다. 셋째, 사이버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이버교육의 교육내용과 학생들의 강의참여가 중요하다.

  • PDF

지방공무원 사이버 교육훈련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충청남도 공무원 인식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Factors that Affect the Learning Effect of Cyber Education and Training in Local Civil Servants - Focusing on the Recognition of Chungnam Civil Servants -)

  • 고승희;류상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66-171
    • /
    • 2008
  • 본 연구는 최근 행정환경 및 행정수요의 변화에 대처하고자 공무원 교육훈련 패러다임의 전환 요구와 함께 사이버교육이 급격하게 요구받고 있는 실정에서, 충청남도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지방공무원 사이버 교육훈련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 보고, 아울러 지방공무원 사이버 교육훈련의 개선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사이버 교육 학습효과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보통이라고 인식하는 응답자가 많았다(평균 3.0726). 사이버 교육효과에 대해 연령과 직급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즉, 연령이 높아질수록 사이버 교육훈련의 학습효과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급수가 높아질수록 마찬가지로 사이버 교육훈련의 효과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교수와 학습자간 커뮤니티가 사이버 교육훈련의 학습효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다음으로 교육 구성 컨텐츠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향후 사이버 교육 학습효과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육내용 제시가 다양화 되어야 하고, 아울러 사이버교육 접근성의 확대와 사이버교육 전담인력 확보가 시급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이버교육의 효율적 운영관리

  • 곽덕훈
    • 전자공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75-81
    • /
    • 2001
  •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회의 각 분야 역시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이중에서도 가장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분야 중의 하나가 교육분야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어 보인다. 특히 정보통신기술이 교육분야에 본격적으로 접목되면서 나온 사이버교육이라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은 지금 많은 대학이나 공공기관 그리고 기업 등에서 기존의 오프라인 교육을 보완하거나 대체하기 위한 새로운 교육방법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이버교육이 너무도 빠르게 교육 현장에 도입되면서 장점 못지 않게 많은 문제점 위해서는 현재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의 도출과 이에 대한 적절한 대안의 마련이 요구된다고 본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사이버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현재 사이버교육에서 제기되는 문제점을 경영자 측면, 학습자 측면, 교수자 측면, 운영자 측면, 인프라 측면, 제도적 측면 등에서 살펴보고 각각에 대한 개선 방안 및 발전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인터넷기반 사이버교육 프레임워크의 구현 (Development of a Framework for Distributed Learning using the Internet)

  • 이종화;허미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2A호
    • /
    • pp.1815-1820
    • /
    • 2000
  • 인터넷이나 정보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사이버교육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국내 컨텐트 업체, ISP, 교육 기관 등을 중심으로 빠른 속도로 증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사이버교육 시스템 혹은 서비스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된 사이버교육 프레임워크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사이버교육 서비스들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들이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기능들을 정의하고 정의된 기능들은 인터넷 환경에서 구현하였다. 또한,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새로운 교육 서비스를 손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웹기반의 환경 설정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사이버교육 프레임워크는 IEEE LTSA (Learning Technology Standards Architecture)에서 정의하고 있는 기본 개념, 구성요소, 동작 시나리오를 반영하여 개발되었다.

  • PDF

사이버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학습자 만족도 분석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Participants' Satisfaction Ratings for the Promoting Cyber Education)

  • 김경희;김경수;송영기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45-151
    • /
    • 2008
  • 초고속 인터넷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교육 분야에도 인터넷을 활용한 사이버교육이 도입되어 활발하게 실시되고 있다. 사이버교육은 기존의 강의실 강의와는 구성과 운영이 다르다. 효과적인 운영과 활발한 적용을 위해, 대학은 사이버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여러 요소들을 분석하고 각 요소들이 최적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사이버교육 활성화 요소를 정리하고 분류한다. 또한, 대학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사이버 교육 운영 및 발전적인 개선을 촉진하기 위하여, 한 대학을 중심으로 개설된 사이버교육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를 실시하고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사이버교육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 PDF

충청남도 정예공무원의 사이버교육 인식과 발전방안 (The Recognition of Cyber Education and Development Plan of Chungcheongnam-do Civil Servants)

  • 송승훈;김의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2184-2190
    • /
    • 2017
  • 지식정보화시대를 맞이하여 사이버교육을 활용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은 학교, 기업교육, 군 장병교육, 평생교육시설은 물론 공무원 교육훈련제도까지 도입이 되었다. 국가공무원의 경우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사이버교육센터의 주관으로 실시되는 교육과 지방공무원은 15개 시 도 공무원교육원 주관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2008년 공무원 상시학습제도의 도입으로 연간 일정시간 이상 교육 훈련받는 것을 의무화하였고 사이버교육이 공무원교육훈련에 활성화를 이루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무원 교육훈련제도의 관점에서 사이버교육 운영의 인식을 사이버 교육 참여했던 충청남도 정예공무원 교육생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교육의 발전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해양 분야에 사이버 대학 교육시스템 도입 방향

  • 노창균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3-115
    • /
    • 2012
  • 미래 사회는 사이버 교육 시스템 발전과 수요 증대로 대학 및 전문 교육과정이 오프라인 환경에서 온라인 교육과정으로 환경 변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반면에 해상분야는 통신시스템 제약으로 온라인 교육시스템 도입에 어려움이 많다. 사이버 대학 교육시스템 제도를 해양계열에 도입하고자 하는 취지는 승선하면서 즉 경력을 쌓으면서 학위나 자격증을 더 취득함으로써 업무 효율을 증대하고 경쟁력을 강화코자 함이다. 평생교육원과 사이버 해양수산대학 설립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선원을 비롯 해양수산 및 조선분야 관계자를 위해 사이버 학위과정은 단계적으로 도입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 PDF

사이버교육을 위한 기반구조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the Template System for Cyber Education)

  • 허미영;이종화;김용진;진병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2B호
    • /
    • pp.2225-2232
    • /
    • 1999
  • 지식정보사회를 대비한 소프트웨어적인 기반구조로 사이버교육 시스템의 설계 원칙과 국제 표준화 그룹의 작업 결과를 반영하여 사이버교육 시스템에서 공통으로 필요한 기능을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사이버교육시스템의 기능이 교육 목적 및 적용 분야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할 수 있고, 누구라도 쉽게 구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달된 정보 기술을 교육분야에 접목시켜 교육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사이버교육 기반구조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본 시스템은 정규교육을 비롯하여 전문교육, 재교육, 평생교육, 사교육 등 다양한 정보화교육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설계된 사이버교육 기반구조 시스템의 활용환경, 구조, 설계기법, 기대효과 등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NICE 기반 사이버보안 교육커리큘럼 개선 연구 (Enhancing Education Curriculum of Cyber Security Based on NICE)

  • 박원형;안성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6권7호
    • /
    • pp.321-328
    • /
    • 2017
  • 사이버 위협이 고도화되고 지능화되어짐에 따라 사이버 침해사고로 인한 피해사례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사이버보안 전문인력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다수의 사이버 보안관련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지만 사이버보안 인력 현황 및 직무에 기반한 사이버보안 교육연구가 이루어지 않아서 교육 수요자 및 공급자가 목표한 교육과정이 제공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보안 인력 및 지식체계를 정의하고 이를 반영한 새로운 사이버보안 교육 커리큘럼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커리큘럼은 기존 교육 커리큘럼에서 강조하고 있는 방어와 관련된 교육내용만으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공격분야의 교육내용을 추가하여 전문적이고 균형적인 사이버보안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커리큘럼을 개발 및 개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