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운드

Search Result 583,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Particle-Based Sound Matching and Synthesis for Efficient and Realistic Foam Sound Generation (효율적이고 사실적인 거품 사운드 생성을 위한 입자 기반 사운드 매칭과 합성)

  • YoungChan Shin;Jong-Hyu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357-360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거품 입자의 물리적 속성을 활용하여 가상 시뮬레이션 장면에 맞는 거품 사운드를 합성하고 사운드의 물리적 현상을 기반으로 사운드의 크기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현실에서는 사운드의 근원지와 청중의 위치 관계에 따라 사운드 크기의 차이가 나타타는 것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효율적으로 풀어내기 위해 복잡한 3차원 유체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게 아닌, 2차원으로 투영된 입자의 유동을 분석하여 사운드를 합성하고 제어하는 방식을 소개한다. 우리의 방법은 거품 사운드의 크기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스크린 공간에서 계산된 거품 입자의 속도와 위치를 활용하여 청중의 위치 관계 및 사운드의 방향성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거품 사운드를 사실적으로 합성하였다.

  • PDF

Sound Researches in Computer Graphics Community: Part I. Sound Synthesis and Spatialization (컴퓨터 그래픽스 커뮤니티에 소개된 사운드 관련 연구들: Part I. 사운드 합성과 공간화)

  • Yoo, Min-Joon;Lee, In-Kwo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5 no.1
    • /
    • pp.25-34
    • /
    • 2009
  • Sound is very important element to enhance and reinforce reality and immersion of users in virtual reality and computer animation. Recently, significant researches about sound modeling are presented in computer graphics community. In this article, main subjects are explained and major researches are reviewed based on the sound papers presented in computer graphics community. Specially, several papers about following two subjects are reviewed in this paper: 1) synthesing sound using physically-based laws and generating sound synchronized with graphics. 2) spatializing sound and modeling sonic environment. Many research about sound modeling have been focused on more efficient modeling of real physical law and generate realistic sound with limited resources. Based on this concept, various papers are introduc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es about sound and graphics is discussed.

  • PDF

대기중 사운드 통신 기술 및 응용

  • Ga, Sun-Won;Kim, Tae-Hyeon;Lee, Hye-Won;Choe, Seong-Hye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10
    • /
    • pp.87-93
    • /
    • 2014
  • 대기중 사운드 통신(Aerial acoustic communication)은 공기를 매질로 삼아서 전파되는 소리에 정보를 싣는 통신 기술로 스피커와 마이크 등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의 내장 마이크를 수신 인터페이스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대기중 사운드 통신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기술 및 어플리케이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최근 대기중 사운드 통신 기술 동향을 살펴보고 대기중 사운드 통신의 특성으로부터 기인하는 기술적인 어려움을 짚어본다. 또한, 대기중 사운드 통신 기술 기반의 응용 서비스를 알아본다.

A Study on the generation of objective sound model for sonification using brain wave data set (소니피케이션(sonification) 구현을 위한 뇌파 데이타 기반 객관적 사운드 모델 연구)

  • Chun, Sung-Hwan;Joh, In-Jae;Suh, Ju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795-798
    • /
    • 2016
  • 소니피케이션은 다양한 데이터를 사운드로 변환시키는 과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뇌파 신호를 사운드로 생성하는 객관적인 워크플로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까지의 뇌파 소니피케이션은 사운드로의 변환이 인위적이고 임의적으로 진행되어 객관적인 논리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뇌파데이터의 정량적 분석을 통해 파라미터 추출, 사운드 맵핑, 사운드 모델 구축에 대한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뇌파데이터의 객관적인 소니피케이션 과정을 구현하였다. 파라미터 추출을 위해 15Hz High pass filtering이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확인되었으며 뇌파 데이터의 최대값 빈도 분석과 음악코드의 비율 분석을 실제로 맵핑시켜 사운드 모델을 구축하여 사운드 생성을 구현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뇌파데이터의 소니피케이션 과정에 대한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워크플로우를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워크플로우가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Design of a Sound Classification System for Context-Aware Mobile Computing (상황 인식 모바일 컴퓨팅을 위한 사운드 분류 시스템 설계)

  • Kim, Joo-Hee;Lee, Seok-Jun;Kim, I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305-130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자의 실시간 상황 인식을 위한 효과적인 사운드 분류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PCM 형태의 사운드 입력 데이터에 대한 전처리를 통해 고요한 사운드와 화이트 노이즈를 학습 및 분류 단계 이전에 미리 여과함으로써, 계산 자원의 불필요한 소모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에너지 레벨이 낮아 신호의 패턴을 파악하기 어려운 사운드 데이터는 증폭함으로써, 이들에 대한 분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안하는 사운드 분류 시스템에서는 HMM 분류 모델의 효율적인 학습과 적용을 위해 k-평균 군집화를 이용하여 특징 벡터들에 대한 차원 축소와 이산화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모아 일정한 길이의 시계열 데이터를 구성하였다. 대학 연구동내 다양한 일상생활 상황들에서 수집한 8가지 유형의 사운드 데이터 집합을 이용하여 성능 분석 실험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사운드 분류 시스템의 높은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Deformation of Sound Propagation to Account for Wind Advection (바람의 이류를 고려한 사운드 전파의 변형)

  • Jong-Hyu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585-586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바람의 이류(Advection)를 고려하여 사운드의 전파를 변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사운드는 공기와 같은 매질의 진동을 통해 전파되는 파동이며, 이런 바람의 이동 방향은 사운드 에너지 전파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본 논문에서는 이를 광선추적법(Raytracing) 기반으로 모델링한다. 기존의 사운드 전파는 물리기반, 기하처리(Geometry processing), 혼합기법(Hybrid method) 등의 방법이 제안됐으며, 다양한 장면에서 좋은 결과를 만들어냈다. 하지만 바람의 움직임은 유체역학을 기반으로 한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Navier-Stokes equation)에 의해 표현되기 때문에 사운드 전파만으로는 바람의 영향을 고려한 전파 형태를 모델링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바람의 유동 중 이류를 고려하여 사운드 맵을 효율적으로 변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Learners' Perceptions toward Non-speech Sounds Designed in e-Learning Contents (이러닝 콘텐츠에서 비음성 사운드에 대한 학습자 인식 분석)

  • Kim, Tae-Hyun;Rha, Il-J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7
    • /
    • pp.470-480
    • /
    • 2010
  • Although e-Learning contents contain audio materials as well as visual materials, research on the design of audio materials has been focused on visual design. If it is considered that non-speech sounds which are a type of audio materials can promptly provide feedbacks of learners' responses and guide learners' learning process, the systemic design of non-speech sounds is need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arners' perceptions toward non-speech sounds contained the e-Learning contents with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For this purpose, the eleven non-speech sounds were selected among non-speech sounds designed Korea Open Courseware. The 66 juniors in A university responded the degree of similarity among 11 non-speech sounds and the learners' perceptions towards non-speech sounds were represented in the multidimensional space. The result shows that learners perceive separately non-speech sounds by the length of non-speech sounds and the atmosphere which is positive or negative.

Reduced Raytracing Approach for Handling Sound Map with Multiple Sound Sources, Wind Advection and Temperature

  • Jong-Hyun Kim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8 no.9
    • /
    • pp.55-62
    • /
    • 2023
  • In this paper, we present a method that utilizes geometry-based sound generation techniques to efficiently handle multiple sound sources, wind turbulence, and temperature-dependent interactions. Recently, a method based on reduced raytracing has been proposed to update the sound position and efficiently calculate sound propagation and diffraction without recursive reflection/refraction of many rays, but this approach only considers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sound and does not consider the interaction of multiple sound sources, wind currents, and temperature. These limitations make it difficult to create sound scenes in a variety of virtual environments because they only generate static sound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efficiently constructing a sound map in a situation where multiple sounds are placed, and a method for efficientl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an agent through it. In addition, we propose a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propagation by considering wind currents and temperature. The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can be utilized in various fields such as metaverse environment design and crowd simulation, as well as games that can improve content immersion based on sound.

a study on optimization for iphone sound (아이폰 사운드의 최적화에 관한 연구)

  • Lee, Myung-hwan;Ryu, Chang-su;Kim, Su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2.10a
    • /
    • pp.454-457
    • /
    • 2012
  • Recently, Smartphone takes center stage as the next generation platform, so there's fierce competition between various companies which enter the mobile market. According to Smartphone market is wide, Smart phone sound is more widely.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necessity of sound desing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sources of sound that can be optimized for the iphone mobile production and mobile sources to meet the need for a sound design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sound, professional sound production suggest the need for.

  • PDF

A Study on the Soundscape Design for the Creation of Sound Amenity in Urban Space -The role and the meaning of sound related sound environment in residential area- (도시공간의 쾌적 음환경 창조를 위한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 연구 - 지역의 음환경과의 관계에서 본 음의 의미와 역할 -)

  • Han Myung-Ho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509-514
    • /
    • 2002
  • 이 연구는 도시공간의 어메니티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운드스케이프(soundscape)에 관한 연구조사의 결과를 소개한다. 사운드스케이프 및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에 관한 개념과 사상을 고찰하고, 남원시의 사운드스케이프 조사를 예로 하여 지역에 있어서 음, 인간 및 환경과의 관계로부터 사운드 어메니티(sound amenity)를 실현하는데 있어서 음이 갖는 의미와 역할을 모색한다. 사운드스케이프 조사방법으로써 문헌조사, 필드조사 및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남원지역의 음풍경을 조사${\cdot}$분석하고, 그 시대적, 계절적, 시간적인 음풍경의 변화와 현상, 그리고 지역주민의 음에 관한 인식특성을 파악한다. 조사결과, 지역에 있어서 자연환경을 보존하고 축제등의 전통적인 생활문화를 계승하는 것은 지역의 사운드스케이프와 어메니티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시공간의 사운드스케이프 연구는 이러한 일련의 조사연구활동 및 교육활동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활동과 여러 영역에서의 유기적인 교류활동이 이루어져야 쾌적한 음환경 창조가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