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용자 프라이버시

Search Result 570,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tudy on Privacy Influencing the Continuous Intention to Use in Closed-Type SNS: Focusing on BAND Users (폐쇄형 SNS에서 프라이버시가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밴드 사용자를 중심으로)

  • Lim, Byungha;Kang, Dongwon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6 no.3
    • /
    • pp.191-214
    • /
    • 2014
  • In this study, based on Privacy Calculus Model, we study whether users' intention of continuous use of closed-type SNS is affected by information privacy concern. In addition, we propose a model that studies if the major factors of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which are trust, satisfaction and benefits could control the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effect on the intention of use. As a result, companies have to consider protecting the psychological privacy and information privacy of the individual when they design SNS.

온라인상에서의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와 이의 극복에 관한 실증적 분석

  • Choe, Mi-Yeong;Lee, Sang-Yong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388-394
    • /
    • 2007
  • 정보기술(IT) 산업의 발달은 인터넷 활용을 급속도로 증가시켰으며, 인터넷 사용자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감에 따라 인터넷을 상업적으로 활용하려는 욕구 또한 커져 가고 있다. 아울러 인터넷 관련 정보 기술의 발전속도가 매우 빠르게 발전되고 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개인정보의 무단유출, 사생활 노출 등의 역기능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오늘날 정보 유출로 인한 개인적 피해는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개인의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우려는 인터넷과 전자상거래 발달에 가장 큰 장애중의 하나로 대두되게 되었다. 온라인에서 비즈니스를 행하는 기업들은 이러한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우려를 줄이고자 하는 다양한 노력들을 행하고 있다. 우선 프라이버시 보호에 관한 정책이나 규약을 홈페이지에 명시함으로써 사용자들을 안심시키려 하고 있으며, 동시에 금전적 인센티브나 편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참여를 증가시키고 자신들의 비즈니스를 활성화시키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어떠한 전략들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를 낮추고 사용자들의 참여를 활성화시키는지를 동기부여의 기대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아울러 기업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도움이 될 수 있는 프라이버시에 관한 전략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 License Administration Protocol Providing User Privacy in Digital Rights Management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제공하는 라이센스 관리 프로토콜)

  • 박복녕;김태윤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30 no.2
    • /
    • pp.189-198
    • /
    • 2003
  • As people are damaged increasingly by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awareness about user privacy infringement is increasing. However, the existing DRM system does not support the protection of user's personal information because it is not necessary for the protection of copyrights. This paper is suggesting a license administration protocol which is more powerful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in DRM. To protect the exposure of users identifier, this protocol uses temporary ID and token to guarantee anonymity and it uses a session key by ECDH to cryptography and Public-Key Cryptosystem for a message so that it can protect the exp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user's privacy.

디지털 저작권과 프라이러시의 경합과 균형

  • 이남용
    • Review of KIISC
    • /
    • v.14 no.6
    • /
    • pp.46-52
    • /
    • 2004
  • 이 글의 목적은 디지털 저작권과 프라이버시 사이의 경합적 요인을 분석하고 균형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현재 대부분의 디지털 저작권 보호기술의 핵심은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방법에 있는데, 이러한 사용자 식별은 익명성을 기반으로 하는 프라이버시에 대한 침해요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경합적 요인을 해결하기 위해 익명성을 보장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기술들이 많이 제안되었으나, 그 대부분이 부분적인 문제에 대한 프로토콜의 형태로 이루어진 대안으로, 현재의 인터넷 환경, 사용자의 행동양식, 경제적 요인 등과 부합하지 않는 측면이 많아 적용하기 곤란하다. 한편, 디지털 저작권 보호를 위한 여러 기술적 노력들도 사실상 저작권 보호 효과는 미미한 반면, 사용자의 권리와 프라이버시에 대한 침해요인을 증대시키고 있다. 현재의 상황은 디지털 저작권과 프라이버시의 균형을 위한 기술적 해결이 요원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균형을 위한 대안으로 법률에 의한 조정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통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가 효과적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즉, 기술적 완벽성보다는 사용자 편리성에 의한 실질적인 저작권보호와 법률과 사용자 계도를 통한 프라이버시 보호를 제안한다.

A Group based Privacy-preserving Data Perturbation Technique in Distributed OSN (분산 OSN 환경에서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그룹 기반의 데이터 퍼튜베이션 기법)

  • Lee, Joohyoung;Park, Seog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 /
    • v.22 no.12
    • /
    • pp.675-680
    • /
    • 2016
  • The development of various mobile devices and mobile platform technology has led to a steady increase in the number of online social network (OSN) users. OSN users are free to communicate and share information through activities such as social networking, but this causes a new, user privacy issue. Various distributed OSN architectures are introduced to address the user privacy concern, however, users do not obtain technically perfect control over their data. In this study, the control rights of OSN user are maintained by using personal data storage (PDS). We propose a technique to improve data privacy protection that involves making a group with the user's friend by generating and providing fake text data based on user's real text data. Fake text data is generated based on the user's word sensitivity value, so that the user's friends can receive the user's differential data. As a result, we propose a system architecture that solves possible problems in the tradeoff between service utility and user privacy in OSN.

프라이버시 보존 분류 방법 동향 분석

  • Kim, Pyung;Moon, Su-Bin;Jo, Eun-Ji;Lee, Younho
    • Review of KIISC
    • /
    • v.27 no.3
    • /
    • pp.33-41
    • /
    • 2017
  • 기계 학습(machine-learning) 분야의 분류 알고리즘(classification algorithms)은 의료 진단, 유전자 정보 해석, 스팸 탐지, 얼굴 인식 및 신용 평가와 같은 다양한 응용 서비스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응용 서비스에서의 분류 알고리즘은 사용자의 민감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으며, 분류 결과도 사용자의 프라이버시와 연관된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의 소유자, 응용 서비스 사용자,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가 서로 다른 보안 도메인에 존재할 경우, 프라이버시 보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분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라이버시 보존 분류 프로토콜(privacy-preserving classification protocol: PPCP) 에 대해 소개한다. 구체적으로 PPCP의 프라이버시 보호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기존의 연구들이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사용하는 암호학적 기본 도구(cryptographic primitive)들에 대해 소개한다. 최종적으로 그러한 암호학적 기본 도구를 사용하여 설계된 프라이버시 보존 분류 프로토콜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소개하고 분석한다.

A Study on Blind Ticket-Based AAA Service Model for User Anonymity and Privacy offer (사용자 익명성과 프라이버시 제공을 위한 블라인드 티켓 기반 AAA 서비스 모델에 관한 연구)

  • Moon Jong-Sik;Lee Im-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6.06a
    • /
    • pp.774-777
    • /
    • 2006
  • 컴퓨터 및 네트워크의 발전은 사용자들에게 다양하고 풍부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사용자의 익명성, 프라이버시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안전하고 효율적이면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및 익명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동성을 고려하여 홈 네트워크에서 외부 네트워크로 이동하더라도 티켓을 사용하여 안전하고 빠른 인증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 PDF

A Study on Anonymous CP-ABE Scheme for Privacy Protection of Data Access Users in Cloud Environments (클라우드 환경에서 데이터 접근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익명 CP-ABE 기법에 관한 연구)

  • Hwang, Yong-Woon;Lee, Im-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05a
    • /
    • pp.186-187
    • /
    • 2019
  • 최근 클라우드에서 발생하는 보안위협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보안 기술 중 속성기반 암호인 CP-ABE 방식의 접근제어 기법을 사용하여 사용자간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공유한다. 현재까지 다양한 CP-ABE방식의 접근제어 기법이 연구되었지만, 이 중 보안위협에 취약한 방식들이 존재한다. 특히 제 3자는 암호문에 지정된 접근구조를 통해 데이터에 접근하려는 사용자의 속성을 유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익명 CP-ABE 방식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연구된 익명 CP-ABE 방식 중 제대로 익명화가 적용되지 않은 방식과, 효율성이 부족한 방식들이 존재한다. 이에 복호화하는 사용자의 연산량은 증가된 암호문의 속성의 개수에 비례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사용자의 연산량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익명 CP-ABE 방식을 제안한다.

Privacy building block for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위한 프라이버시 빌딩 블록)

  • 고양우;이동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c
    • /
    • pp.382-384
    • /
    • 2004
  • 프라이버시의 보호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이 제기하는 중요한 이슈 중의 하나이다. 프라이버시 이슈의 해결에는 하나의 기술이 아니라 다양한 필요를 충족시키는 다양한 기술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여러 가지 빌딩 블록 중에서 두 가지를 제안한다. 첫째 빌딩 블록은 사용자간의 상호 협력에 있어서 프라이버시 노출을 막아 주는 기능을 제공하며, 둘째 빌딩 블록은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 또는 서비스와 대화함에 있어 허용되는 범위를 공간적으로 정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 한다.

  • PDF

User Privacy Protection for Smart Phone using Hypervisor (Hypervisor를 이용한 스마트폰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

  • Yoo, Jae-Sung;Lee, Kwang-Woo;Kim, Seung-Joo;Won, D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1a
    • /
    • pp.29-32
    • /
    • 2011
  • 현재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에서는 어떤 개인정보들이 외부로 제공되고 있는지 사용자에게 알려주지 않는다. 스마트폰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 사례가 증가하면서, 스마트폰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설정한 개인정보보호 정책을 기반으로 개인정보 접근권한을 각 어플리케이션에 부여하고, 어플리케이션이 허가되지 않은 정보에 대한 접근을 요청한 경우, 이를 차단하고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보여주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물리적인 하드웨어에 대한 접근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Hypervisor 기술을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은 사용자가 허가하지 않은 개인정보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고, 프라이버시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