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용자 중심 평가

Search Result 62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게임 평가도구로써 감성 평가시스템의 타당화 -Jakob Nielsen의 사용성 평가시스템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Validation in Emotional Evaluation System as Game Evaluation Tool -Focused on Comparison with Jakob Nielson's Evaluation System-)

  • 서미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8호
    • /
    • pp.86-93
    • /
    • 2007
  • 사용자의 감성적 요구의 증대로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온라인 게임 산업에도 감성적 성향을 가진 게임 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게임의 근간이 되는 인간의 감성을 자극하여 몰입을 유도하는 온라인 게임개발에 있어서 반드시 거쳐야 하는 평가단계가 있는데, 이 단계에서 게임의 기능은 물론 감성적 평가를 할 수 있는 감성 평가시스템은 사용성과 인간 감성 욕구를 게임 출시 전에 검증해볼 수 있는 평가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성 평가시스템의 효용성과 타당성 검증에 관한 연구 결과가 부재한 현 상황에서 본 연구는 피 실험자인 일반 사용자 그룹을 통해 Jakob Nielson의 사용성 평가시스템과 비교하여 게임의 평가 도구로써 감성 평가시스템의 유용성 및 타당성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ConceptNet기반 장르별 감정분류를 적용한 협업 필터링 추천시스템 (A Collaborative Filtering Recommendation System using ConceptNet-based Mood Classification by Genre)

  • 최형탁;조성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8 No.1(B)
    • /
    • pp.216-219
    • /
    • 2011
  • 인터넷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변화하여 현재는 많은 수의 컨텐츠와 프로그램 채널이 IP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면서 컨텐츠 서비스 사업자들은 좀 더 향상된 추천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리고 사용자 참여중심의 인터넷 환경인 Web 2.0 시대가 도래하면서 사용자가 직접 생성한 정보들을 활용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타겟 아이템에 대해 인터넷 상에 수많은 사용자들이 생성한 정보들을 ConceptNet을 활용하여 감정벡터를 추출하고 장르별로 분류하는 방법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영화 추천시스템을 제안한다. 공개용 영화 데이터인 MovieLens 데이터 셋을 이용하여 실험하였고 성능평가는 RMSE 방법과 다양한 추천평가방법으로 기존 협업 필터링 추천시스템과 비교하였으며 실험 결과 기존방식보다 향상된 성능을 보였다.

컨버전스 포인트 조정을 위한 주시특성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f Eye-Fixation Analysis Method for Convergence Point Adjustment)

  • 하종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26-429
    • /
    • 2015
  • 입체카메라에서 줌 사용시 컨버전스 포인트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되는 시각적 불편의 문제와 거리감의 변동을 해결하기 위해 컨버전스 포인트 조정기법을 제시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조정기법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해 정량적 평가인 주시특성 분석을 설계했다. 입체영상에 대한 주관평가를 사용자의 시선움직임을 통해 정량적으로 파악하게 된다면 입체에 대한 사용자의 감성이미지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자료를 통해 사용자 중심의 입체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를 통해 제시된 기법의 우수성을 정성과 정량적으로 입증한다.

  • PDF

서울시 관광안내소(Tourist Information Center) 평가요소 연구 -이태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Factors of T.I.C(tourist information center) in Seoul -Focus on Itaewon-)

  • 성민지;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347-351
    • /
    • 2019
  • 본 연구는 서울 내 관광안내소를 객관적인 기준을 통해 평가하기 위해서 해외의 관광안내소 평가지표를 분석하여 국내실정에 맞는 관광안내소 요소를 도출하고 각 기준에 포함되는 안내소 필수요구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관광객이 많이 모이는 지역으로 이태원을 선정하고, 안내소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중점으로 평가를 시행하였다. 평가내용 중심으로 안내소 현황을 살펴본 결과, 비체계적인 서가분류에 대한 개선과 직원의 친절도를 포함한 전반적인 서비스에 대한 솔루션이 요구됨을 파악했다. 한국에 맞는 관광안내소 평가요소로서 '지도', '다국적언어', '직원친절도', '다양한 디지털/지류정보', '휴게공간', '지역 활동 조연'을 도출하였고 그 결과, 지역특색과 관광객 성향을 반영하지 못한 안내소의 요소들을 평가항목에 추가시킴으로써 사용자 만족도를 개선시킬 수 있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정보디자인 분야에 특화된 평가모델을 구축하여, 디자인과 서비스를 포함한 서울 관광안내소 평가를 위한 세부 가이드라인 제시가 필요하다.

VR 안전교육콘텐츠에서의 사용자 중심 디자인(UCD) - 도시가스 정압기 분해점검 훈련을 소재로 - (User-Centered Design in Virtual Reality Safety Education Contents - Disassembly Training for City Gas Governor -)

  • 박민수;장선희;정지우;서정철;박찬영;김덕훈;윤정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84-92
    • /
    • 2024
  • 본 연구는 특정 사용자들이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VR 안전교육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해 사용자 참여 디자인 방법론(UCD)을 적용하였다. 이에 따라 UCD 기반의 설계를 통해 얻은 인사이트를 VR 매체에 특화시키고, 효율적인 설계 활동이 가능하도록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UCD는 다음과 같은 주요 활동으로 구성된다: 첫째, 사용자 니즈와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설계 방향을 수립하는 '컨셉 도출'; 둘째, VR 특성을 내용과 구현적 측면으로 나누어 설계하는 '디자인 설계'; 셋째, 프로토타입을 구현하는 '개발'; 넷째, 사용자 집단을 포함한 전문가와 일반인 집단으로 종합적인 검토를 진행하는 '평가'; 마지막으로 최종 콘텐츠를 완성하는 '완료'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프로세스는 기존 UCD와 달리 콘텐츠 개발 과정이 설계 내용 개선에 집중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① 디자인 설계 → 개발 → 평가 → 완료', '② 디자인 설계 → 개발 → 완료', '③ 디자인 설계 → 개발 → 평가 → 보완 → 디자인 설계 → 개발 → 평가 → 완료' 등으로, 이를 통해, VR 안전교육콘텐츠의 품질과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사용자 중심의 웹사이트 구축을 위한 주요 평가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과학관련 사이트를 중심으로 (A Study on Web-Site Evaluation Factors Affecting Students' Satisfaction Level in Science Class)

  • 한광현;안중열;김미량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67-78
    • /
    • 2004
  • 7차 교육과정이후 ICT는 중고등학교 수업에서 교육효과 제고를 위한 중요한 도구로 등장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웹사이트에 대한 평가요소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여러 과학관련 웹사이트를 방문하고 이를 평가한 학생들의 설문 결과를 토대로 하여 공분산구조모형을 구축하고, 모형을 토대로 하여 어떤 요인들이 학습자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과학 학습의 경우 학습자의 웹 사이트의 사용자 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신뢰성과 이해성/흥미유발과 관련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제시방식이나 화면구성, 학습내용은 이들의 선행요인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접속성이나 학습내용 자체는 만족도에 대한 직접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웨어러블 컴퓨팅 사용성 평가 척도 개발 - 스마트 웨어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of Usability Evaluation for Wearable Computer: An Investigation of Smart Clothing)

  • 채행석;홍지영;조현승;이영진;박선형;한광희;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9권spc3호
    • /
    • pp.265-276
    • /
    • 2006
  • 본 연구는 웨어러블 컴퓨터의 프로토타입이 사용자에게 최적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웨어러블 컴퓨터의 평가를 위한 사용성 척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평가와 양적 평가를 동시에 수행하였다. 개발된 제품을 사용자가 직접 착용해 보고 의견을 진술하는 컨택스트(context) 평가를 2차에 걸쳐 실시하였고, 사용자 평가 결과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평가 항목 및 평가 대상을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사용성 평가문항의 기초 안을 개발하고 관찰평가와 착의평가로 나누어서 설문을 진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사용성 평가 문항을 확정하였으며, 만족감과 관련하여 평가 항목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도출하였다.

  • PDF

정보검색에서의 사용자 중심 적합성 판단 모형 (User-centered relevance judgement model for information retrieval)

  • 박정아;손영우
    • 감성과학
    • /
    • 제12권4호
    • /
    • pp.489-500
    • /
    • 2009
  • 본 연구는 정보검색의 핵심 개념인 적합성을 사용자 중심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이다. 적합성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적합성 판단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기준들을 정의해 왔다. 본 연구는 적합성 유형별로 사용자가 적합성을 판단하는 기준과 적합성 유형 간의 관계를 정보 검색 과제별로 연구함으로써 사용자 중심 적합성 판단 모형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7개의 사용자 적합성 판단 기준-주제성, 신선성, 신뢰성, 이해가능성, 특수 성, 구체성, 흥미성-과 3가지의 사용자 적합성 유형-인지 적합성, 상황 적합성, 정서 적합성-을 고려하였다. 이를 대학생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검색 과제 수행 후 설문에 답하는 반 제어(semi-controlled) 설문 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주제성, 신뢰성은 모든 검색 과제에 중요한 적합성 판단 기준이었고, 과제 유형별로 볼 때 사실 검색 과제에서는 주제성, 신뢰성, 신선성, 구체성, 흥미성이, 문제 해결 검색 과제에서는 주제성, 신뢰성, 이해가능성, 특수성이, 의사 결정 검색 과제에서는 주제성, 신뢰성, 신선성, 이해가능성, 구체성, 특수성, 흥미성이 적합성을 판단하는 주요 기준들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적합성 유형들 간의 관계도 실증적으로 밝힐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적합성 판단 기준과 적합성 유형 간의 관계를 정보 검색 과제별로 확인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인 사용자 중심의 적합성 판단 모형을 확립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PDF

마이데이터 기반 금융 자산관리 앱 사용성 평가 - 데이터 시각화를 중심으로 - (UX evaluation of MyData-based financial asset management app - Focusing on Data Visualization)

  • 김은영;한수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223-233
    • /
    • 2021
  • 2020년 8월 데이터 3법의 개정으로 마이데이터 산업이 가능해졌으며, 2021년 2월부터 각 개인은 사업자가 제공하는 앱을 통하여 마이데이터 금융거래가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중심의 금융서비스 시대에 마이데이터 기반 금융 자산 관리 앱의 사용자경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성인 300명을 대상으로 8개 기관의 11개의 앱의 사용성 평가를 진행한 후 평균값 비교, 방사형 그래프 분석, 히트맵 분석을 통하여 선호도 조사를 하였다. 앱 디자인 선호도에서는 자산리스트형이 가장 선호하는 형으로, 다음으로는 자산 비교·리스트형으로 나타났다. 마이데이터를 통해 향후 누릴 수 있는 혜택에 대한 기대인식으로는 '편리한 서비스의 다양화'가 45.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사용자가 느끼는 부정적인 요인으로는 개인정보와 관련한 요소가 71.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마이데이터 플랫폼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과 개선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사이버 채팅 시스템의 사용성 평가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지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Guideline of Cyber Chatting System based on Usability Evaluation)

  • 전대인;박정순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1호
    • /
    • pp.35-46
    • /
    • 2001
  • 최근 사이버 채팅을 사용하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 그룹이 형성되었고 사용범위와 영역 또한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이버 채팅은 부가 서비스 사용 확대를 목적으로 운용되어 사용환경이 천편일률적이며, 기능의 다양화로 인하여 사용자 중심의 환경을 제공 해 주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 채팅 시스템의 사용상 문제해결 방안을 위하여 사용성 평가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을 비교분석하여 사용성 향상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을 제안한다. 이에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분된다. 먼저 현존하는 문헌을 중심으로 웹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의 사이버 채팅 시스템에 대하여 고찰하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채팅 현황을 조사하여 소개한다. 두 번째로는, 사용상의 문제점을 만족도 평가, 발견평가, 수행도 평가, 관찰평가를 실시하여 알아내고 사용성 평가결과 분석에 따른 사용상의 잠정적 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는 향후 사이버 채팅 시스템의 보다나은 사용성 평가의 적용방법과 활성화를 꾀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사용성 평가에 따른 주요 발견 점으로는 채팅 기능의 구조화, 화면 구성요소의 크기 및 배치에 따른 화면의 가시성, 대화환경에 따른 이미지나 기능의 적절한 메타포 사용의 개선 및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대두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