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용자 유형

Search Result 1,13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Question Type Classifier Using a Support Vector Machine (지지 벡터 기계를 이용한 질의 유형 분류기)

  • An, Young-Hun;Kim, Hark-Soo;Seo, Jung-Y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2.10e
    • /
    • pp.129-136
    • /
    • 2002
  • 고성능의 질의응답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질의 유형의 난이도에 관계없이 의도를 파악할 수 있는 질의유형 분류기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문서 범주화 기법을 이용한 질의 유형 분류기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질의 유형 분류기의 분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 질의에 포함된 어휘, 품사, 의미표지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질의로부터 자질들을 추출한다. 이 과정에서 질의의 구문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서 슬라이딩 윈도 기법을 이용한다. 또한, 다량의 자질들 중에서 유용한 것들만을 선택하기 위해서 카이 제곱 통계량을 이용한다. 추출된 자질들은 벡터 공간 모델로 표현되고, 문서 범주화 기법 중 하나인 지지 벡터 기계(support vector machine, SVM)는 이 정보들을 이용하여 질의 유형을 분류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질의 유형 분류 문제에지지 벡터 기계를 이용한 자동문서 범주화 기법을 도입하여 86.4%의 높은 분류 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질의 유형 분류기를 통계적 방법으로 구축함으로써 lexico-syntactic 패턴과 같은 규칙을 기술하는 수작업을 배제할 수 있으며, 응용 영역의 변화에 대해서도 안정적인 처리와 빠른 이식성을 보장한다.

  • PDF

The Trends in dating styles in their 20s through the website (웹사이트로 알아보는 20대의 연애유형 트렌드)

  • Kim, Sung Jin;Choi, Jun Won;Lee, Seung Woo;Oh, Seung Hwan;Kim, Young Hun;Kim, Min Hyuk;Kim, Jin Hw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271-274
    • /
    • 2022
  • 몇 년 전부터 유행하고 있는 성격 유형 검사는 여전히 MZ세대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본래는 학교나 군대에서 성격 유형과 적성 파악을 위해 활용하던 검사였지만, 과학적 근거가 있으면서도 자신의 성격 유형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았다. 이에 마케팅 시장에서는 유형 검사를 활용하여 브랜드·제품 홍보에도 쓰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애와 관련된 유형 검사 사이트를 구현하고 참여한 사용자들이 입력한 정보와 선택한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전체 사용자, 남녀로 구분 지어 유형별 선호하는 데이트 스타일을 분석하고자 한다. 유형별에 맞는 데이트 장소를 추천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데이트 장소를 정할 때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분석한 내용이 마케팅 시장의 브랜드·제품 홍보와 이벤트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Podcast User Behaviors and Classification of Users (팟캐스트 콘텐츠 이용자 행태분석 및 유형 파악)

  • Kang, Minj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3
    • /
    • pp.94-104
    • /
    • 2022
  • As the audio content market grows due to the spread of the AI speaker market and the influence of connected cars, the demand for podcast service is increasing. Therefore, in this study, the behaviors of podcast users were identified and the user types were classified. In the background study, podcast usage motives and user types were studied, and they were referred to when making the questionnaire. In the survey, preferred audio content was identifi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in the in-depth interview, the user type and insights were derived by identifying the audio service usage behavior.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preferred content for single listening and multitasking, but the difference in preferred content according to time perio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three user types derived from the in-depth interview were divided into users who listen alone for the purpose of study, find and listen to useful information quickly while on the go, and multitask and listen to the light and comfortable content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n important reference for designing an audio content platform to improve user experience.

Social Network Community data based Modeling of User Types for Personalized Service (개인화 서비스를 위한 SNC 데이터 기반의 사용자 유형 모델링)

  • Kim, Kyung-Rog;Jeong, Yoon-Sang;Moon, Namm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3.06a
    • /
    • pp.165-166
    • /
    • 2013
  • 콘텐츠의 기하급수적인 증가와 다양한 서비스 확산에 따라 추천 서비스에 대한 연구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SNC 이용의 증가는 콘텐츠의 생산과 소비에 대한 주체를 새로운 관점에서 파악 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원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NC에서의 사용자에 대한 속성 데이터와 활동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보 처리활동 기반의 속성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유형 모델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사용자 유형 모델링은 사용자 속성 요소 정의와 이들 사이의 관계로 구성된다.

  • PDF

The Effects of Information Security Vaccine User's Construal Level and Message Type on the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 (정보보안 백신 사용자의 해석수준과 메시지유형이 정보보안행동에 미치는 영향)

  • Lee, Kyong Eun;Kim, Jung Yoon;Hyun, Jung Suk;Park, Chan Ju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8 no.6
    • /
    • pp.33-42
    • /
    • 2015
  • Based on the Construal Level Theor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information security vaccine users' selection intentions differ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election time of information security vaccine, advertisement message types, and information security knowledge levels. For the foregoing,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by applying an experimental design of 2(knowledge level: high/low) ${\times}2$(temporal distances: short distance/long distance) ${\times}2$(advertisement message types: how(concrete)/why(abstract)) on computer security vaccine softwares. As a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selection intentions about information security vaccines differ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temporal distance and advertisement message type, and also varie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security knowledge level.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n implication that the consideration of well-timed persuasive message is especially important for the users at the high level of knowledge. Also, this research implies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f abstract thinking ability based on temporal distance for the users at the low level of knowledge.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MBTI Personality Types and Continuous IS Usage Intention (사용자 MBTI 성격유형과 정보시스템 지속사용의도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 Nam, Gil-Woo;Kim, Sang-Hoon;Kim, Chang-Kyu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6 no.1
    • /
    • pp.153-161
    • /
    • 2011
  • Focusing upon the post-adoption stage of IS, this study reasoned that IS users' personality is one of major influencing factors of continuous IS usage intention and empirically examined how the degree of continuous IS usage intention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IS users' personality types classified based on MBTI(Myers Briggs Type Indicator). In order to validate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this study made a field survey of 330 IS users and statistically analysed response data.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es showed that the intent of continuous IS usage was affected by self-efficacy of IS; and self-efficacy by self-leadership of IS; and self-leadership by IS user' personality type and expectation confirmation. That is, it was found that IS users' personality type and three intervening variables(expectation confirmation, self-leadership and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intent of continuous IS usage. This study is thought to be contributive to providing the theoretical basis of finding IS success factors in the post-adoption stage and the practical guideline for effective personnel management relevant to IS implementation.

A Study on the Ubiquitous Home Network Interface System by Application of User's Gesture Recognition Method (사용자 제스처 인식을 활용한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체계에 대한 연구)

  • Park In-Chan;Kim Sun-Chul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8 no.3
    • /
    • pp.265-276
    • /
    • 2005
  • 현재의 유비쿼터스 환경의 홈 네트워크 제품 사용자는 단일 사용자가 아닌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네트워크 행태를 취하고 있다. 변화하는 사용환경과 시스템들은 현재와는 다른 요구사항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과 제품 인터페이스 체계의 연구활동은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홈 네트워크 제품의 보급화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이를 쉽게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방식이 연구되고 있다. 이중 음성인식기술을 비롯한 표정은 안면표정인식기술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모션감지 센서를 활용한 사용자 제스처 콘트롤 체계는 아직까지는 초보적인 단계에 있으나, 제품 제어에 있어서 향후 근미래에는 자연스러운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의 활용도가 높아질 전망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제스처 유형의 자연스러운 사용언어체계 개발 방법 및 결과 그리고 사용자 맨탈모델와 메타포 실험을 통한 연구내용을 정리하였다. 기존 사용자의 제스처 유형의 자연스러운 사용언어를 분석하면서 디바이스 제어방식으로서 활용 가능성을 검토할 수 있었으며, 동작 감지 카메라 및 센서를 활용한 새로운 디바이스 제어방식 개발과정의 연구를 통하여 제스처 유형의 자연스러운 언어 체계 개발 및 과정을 정립하였다.

  • PDF

An User Experience of Proactive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Focusing on Google 'Nest Hub Max' (능동적 지능형 가상 비서의 사용자 경험 연구 : Google의 'Nest Hub Max'를 중심으로)

  • Cho, Soo Kyung;Kim, Jae-Yeop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9
    • /
    • pp.379-389
    • /
    • 2020
  • This is a qualitative study about Google 'Nest Hub Max' that displays proactive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Following the step of grounded theory, an in-depth interview for 6 users who had used this device for a month was taken. 186 concepts were discovered, categorized as 11 top-categories and 24 sub-categories. Paradigm diagram, considering axis-coding, was made and it have been narrowed down to 'Usage patterns' of proactive IPA, considering selective coding aspects. 'Usage patterns' were divided to passive and active user. Thus, neither passive user nor active user was satisfied about device and proactive IPA.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constructed basic data about the user experience of proactive IPA on this device. It will support the device or service that consists proactive IPA in the future.

A Study of Features by Avatar type according to Internet communication services (인터넷 매체 서비스 이용자의 아바타 사용에 따른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 Lee, Kyung-A;Jeong, Bong-Keum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270-277
    • /
    • 2007
  • 가상공간에서 사용자들은 온라인 커뮤니티(Online Community)로 관계(Relationship)를 맺고, 같은 관심사를 가지고 공감대를 형성하는 일이 하나의 디지털문화로 형성되었다. 이러한 가상공간에서 자신을 대변할 수 있는 또 다른 나, 즉 아바타(Avatar)에 대한 선호가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목적에 따른 사용자 감성의 반영으로 아바타 디자인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아바타의 근원은 분신(分身) 화신(化身)을 뜻하는 산스크리스트어 '아바따라(avataara)'에서 유래되었으며, 인터넷시대가 열리면서 3차원이나 가상현실게임 또는 웹에서의 채팅 등을 즐길 때 사용자를 대신하는 그래픽 아이콘으로 표상되면서 인터넷 상에서 자신을 대표하는 분신으로 정의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매체 서비스 이용자의 아바타 사용에 따른 유형별 특성에 관한 것으로서, 이 연구를 통해 아바타 디자인의 시각적 표현요소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인터넷 공동체 집단을 미니홈피/블로그, 채팅, 게임으로 구분하였으며, 아바타 이용자들이 이와 같은 커뮤니티를 이용할 때 어떤 목적에 따라 사용하고 있으며, 그들이 아바타를 선택할 때 어떤 유형별 특성이 나타나는가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아바타 이용자들이 자신이 표현하려는 아바타 이미지와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가상세계에서 표출하는 아바타 사용 목적에 맞는 유형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아바타 이용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그들의 감성을 반영하는 디자인 전략을 세울 수 있다. 연구방법은 아바타의 개념과 유형분류, 그리고 미니홈피/블로그, 게임, 채팅의 이론적 논의 및 근거제시를 위한 문헌연구를 하였으며, 아바타 이용목적에 따른 유형별 특성을 심도 있게 파악하기 위해 질적연구(Qualitative)로서 표적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내용분석과 표현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보다 객관적으로 검증(verification)하기 위해 양적연구(Quantitative)를 병행하였다. 조사대상은 아바타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384명의 학생들이며, 성별 연령별에 따른 분류를 통해 각 조사대상자별 특징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조사를 통해 미니홈피/블로그, 채팅, 게임의 서비스 공간에서 보여 지는 각각의 특성에 맞게 아바타 이용자들은 자신이 표현하려는 아바타의 유형에서 선호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아바타사용자의 인터넷 매체 이용목적에 따른 유형별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향후 사이트(site)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의 감성선호를 고려한 아바타 디자인 전략과 그 모델(Design model)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alysis of the Emotional experience design types of iPhone users - Focused on Q-methodology - (아이폰 사용자의 감성경험디자인 유형 분석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

  • Lee, Youngju;Lee, Hoeun
    •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 /
    • v.38
    • /
    • pp.312-320
    • /
    • 2012
  • IPhone users who prefer to study the sensitivity of the subjective aspects of experience design elements, aiming to clarify and subjectivity, Q methodology for the study were able to detect four types through. The first type of usability on the iPhone to pursue the type of individuals who have sufficient understanding of sayongjeok behavior based on the use of features, ease of understanding, the physical sense, usability is important to all who were able to see that consist of: The second types of aesthetics to pursue the type of visual information of the product by the intuitive and subjective aesthetic impression was important to distinguish your type. The third types of discrimination to pursue the type of emotional self-image or self-owned products, to convey a message to anyone seriously here, and the fourth type is the type of active and absolute preference for the iPhone that has been identified as the type o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