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용자평가

Search Result 4,592,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A Study on User-Classification for usability Evaluation (사용편의성 평가를 위한 사용자 분류에 관한 연구)

  • 김창수;윤정선;김명석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4
    • /
    • pp.267-281
    • /
    • 1996
  • One product has so many different kind of user groups and each user group has different characters and needs of use. So, designer has difficulty in definding which group is major or sub in a product, what kind of characters and needs does that group has. In this study, we classify the user upon three factors ; accuracy of rules, speed of action, speed of problem solving and propose design guideline for the classifed user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more user-friendly design approach.

  • PDF

Usability Test and Analysis of Fingerprint Recognition Systems with Environmental and Human Factors (환경과 인간요인을 고려한 지문인식시스템의 사용성 평가 및 분석)

  • Cho, Ung-Keun;Hong, Jin-Hyuk;Cho, Sung-Ba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437-442
    • /
    • 2006
  • 최근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지문인식시스템은 사용자의 지문영상을 입력 받아 사전에 등록된 템플릿과 비교하여 사용자 여부를 확인하는 사용자 인증 도구이다. 지문을 입력 받기 위한 센서와 매칭 알고리즘 등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으며, 실제로 전자상거래나 출입통제시스템 등의 많은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지문인식시스템에 대한 기존의 평가는 수집된 지문 DB 에 대해 인식 성능이 얼마인지, 쌍둥이들을 잘 구분하는지, 위조 지문을 파악할 수 있는지 등 주로 지문인식 자체의 성능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하지만 지문인식은 사용자나 환경과 관련된 많은 요인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들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지문인식시스템에 대한 사용성 평가는 시스템이 대상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용되도록 하고, 사용성 분석을 통해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발을 유도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문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사용자와 시스템 측면에서 분석하고, 사용성 평가를 통해 효과적인 지문인식시스템 인터페이스 구축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f Improving Product Usability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Usability Problems Considering Users' Satisfaction -Applying the Kano's Model of Customer Satisfaction (사용자 효용을 고려한 사용성 문제의 우선순위 정의 및 사용성 개선 방향에 대한 연구 - 카노의 사용자 만족 모델의 활용 중심으로)

  • Heo, Jeong-Yun;Park, Sang-Hyun;Song, Chi-W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179-184
    • /
    • 2006
  •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User-Centered Design)" 은 좋은 사용성을 가진 제품을 만들기 위한 사용되는 보편적인 접근방법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투자대비 최대의 가치 창조라는 경제성 원리와 개발 기간의 제약을 고려하면 개발 중 사용성 평가를 통해 발견된 문제들을 모두 제품에 반영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 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발견된 문제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정의한 후 가장 중요한 문제점에 대해 먼저 개선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기존의 사용성 문제에 대한 우선 순위는 주로 문제 자체의 심각도를 고려하여 결정되었다. 그러나 사용자가 인식하는 사용성(Perceived Usability)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효용을 우선적으로 제품에 반영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카노의 사용자 만족 모델을 활용한 사용자 효용과 사용성 문제들의 잠재가치를 고려한 사용성 문제 분류를 기구 사용성 평가 가이드라인의 제작에 적용하였다. 제안된 분류에 의해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1) 반드시 만족 시켜야하는 제품 사용성 기준, 2) 경쟁사 대비 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비교평가 기준으로 나누어 정의함으로써 단일 제품의 절대적 평가가 아닌 경쟁사 제품과의 비교 평가를 통한 개선 방향의 제시에 Kano 모델을 기반으로 정의된 사용성 문제들의 효용가치분류가 효과적이라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보이고자 한다.

  • PDF

A Structured Model for Usability Evaluation of Software User Interfaces during the Design and Development Phases (설계 및 개발 단계에서 소프트웨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사용성 평가를 위한 구조화 모형에 관한 연구)

  • Lim, Chee-Hw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
    • v.21 no.47
    • /
    • pp.25-33
    • /
    • 1998
  • 오늘날 인간-컴퓨터 시스템에서 상호작용 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사용성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 인간공학 분야에서 이전 연구들은 소프트웨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에 대한 사용성 평가의 중요성을 지적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개발자들, 인터페이스 설계자들 또는 인간공학자들은 개발되는 시스템들이나 인터페이스 디자인들을 평가하는 일에 종종 직면하게 된다. 본 연구는 사용성 기준들과 척도들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들의 평가를 위한 구조화 모형을 제시한다. 제시된 모형은 선별 단계와 평가 단계로 이루어진 두단계 모형이다. 첫 번째 단계는 정성적인 기준들을 가지고 전문가들의 판단에 근거한 접근방법으로 가능한 인터페이스 대안들을 추려내어 합리적인 부분집합으로 줄이기 위한 단계이다. 두 번째 단계는 정량적인 기준들을 가지고 실 사용자에 근거한 접근 방법으로 객관적인 척도들을 가지고 첫 단계에서 제시된 대안들의 부분집합을 평가하는 것이다. 제안된 방법이 정보분석을 위한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설계에 적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형은 실제 평가자들에게 사용성 기준들과 척도들에 근거해서 최선의 인터페이스를 선정할 수 있는 구조화된 접근방법을 제시한다.

  • PDF

검색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시맨틱 검색 시스템 평가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Han, Dong-Il;Hong, Il-Yu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52-57
    • /
    • 2007
  • 본 연구는 검색의 궁극적인 니즈충족에 영향을 미치는 시맨틱 검색 시스템 품질 평가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이다. 시맨틱 검색 시스템 품질 평가요인을 위한 연구모델은 DeLone & McLean(2003)의 정보시스템 성공 모델을 기반하였다. 연구 결과, 상호작용성이 지식 충족도에, 정보의 재현성과 정보의 최신성이 각각 지식 충족도와 사용자 만족도에, 그리고 신뢰성이 사용자 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보여주었으며, 또한 지식 충족도가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델은 시맨틱 검색 시스템 성공측정을 위한 유용한 평가 프레임워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ranking method of fuzzy numbers based on users는 preference (사용자 관심도를 반영하는 퍼지숫자의 정렬 방법)

  • 이지형;이광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1998.10a
    • /
    • pp.3-8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관심도나 선호도를 반영하여, 퍼지숫자를 정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관심도나 선호도를 퍼지집합으로 표현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주어진 퍼지집합을 평가관점으로 이용하며, 평가함수로는 이전에 제안된 만족도 함수를 이용한다. 제안하는 방법이 관점에 따라 어떠한 결과를 주는지를 보기 위하여, 퍼지숫자 정렬에 적용한 예를 보인다.

  • PDF

Clustering Method based on Genre Interest for Cold-Start Problem in Movie Recommendation (영화 추천 시스템의 초기 사용자 문제를 위한 장르 선호 기반의 클러스터링 기법)

  • You, Tithrottanak;Rosli, Ahmad Nurzid;Ha, Inay;Jo, Geun-Sik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19 no.1
    • /
    • pp.57-77
    • /
    • 2013
  • Social media has become one of the most popular media in web and mobile application. In 2011, social networks and blogs are still the top destination of online users, according to a study from Nielsen Company. In their studies, nearly 4 in 5active users visit social network and blog. Social Networks and Blogs sites rule Americans' Internet time, accounting to 23 percent of time spent online. Facebook is the main social network that the U.S internet users spend time more than the other social network services such as Yahoo, Google, AOL Media Network, Twitter, Linked In and so on. In recent trend, most of the companies promote their products in the Facebook by creating the "Facebook Page" that refers to specific product. The "Like" option allows user to subscribed and received updates their interested on from the page. The film makers which produce a lot of films around the world also take part to market and promote their films by exploiting the advantages of using the "Facebook Page". In addition, a great number of streaming service providers allows users to subscribe their service to watch and enjoy movies and TV program. They can instantly watch movies and TV program over the internet to PCs, Macs and TVs. Netflix alone as the world's leading subscription service have more than 30 million streaming members in the United States, Latin America, the United Kingdom and the Nordics. As the matter of facts, a million of movies and TV program with different of genres are offered to the subscriber. In contrast, users need spend a lot time to find the right movies which are related to their interest genre. Recent years there are many researchers who have been propose a method to improve prediction the rating or preference that would give the most related items such as books, music or movies to the garget user or the group of users that have the same interest in the particular items. One of the most popular methods to build recommendation system is traditional Collaborative Filtering (CF). The method compute the similarity of the target user and other users, which then are cluster in the same interest on items according which items that users have been rated. The method then predicts other items from the same group of users to recommend to a group of users. Moreover, There are many items that need to study for suggesting to users such as books, music, movies, news, videos and so on. However, in this paper we only focus on movie as item to recommend to users. In addition, there are many challenges for CF task. Firstly, the "sparsity problem"; it occurs when user information preference is not enough. The recommendation accuracies result is lower compared to the neighbor who composed with a large amount of ratings. The second problem is "cold-start problem"; it occurs whenever new users or items are added into the system, which each has norating or a few rating. For instance, no personalized predictions can be made for a new user without any ratings on the record. In this research we propose a clustering method according to the users' genre interest extracted from social network service (SNS) and user's movies rating information system to solve the "cold-start problem." Our proposed method will clusters the target user together with the other users by combining the user genre interest and the rating information. It is important to realize a huge amount of interesting and useful user's information from Facebook Graph, we can extract information from the "Facebook Page" which "Like" by them. Moreover, we use the Internet Movie Database(IMDb) as the main dataset. The IMDbis online databases that consist of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related to movies, TV programs and including actors. This dataset not only used to provide movie information in our Movie Rating Systems, but also as resources to provide movie genre information which extracted from the "Facebook Page". Formerly, the user must login with their Facebook account to login to the Movie Rating System, at the same time our system will collect the genre interest from the "Facebook Page". We conduct many experiments with other methods to see how our method performs and we also compare to the other methods. First, we compared our proposed method in the case of the normal recommendation to see how our system improves the recommendation result. Then we experiment method in case of cold-start problem. Our experiment show that our method is outperform than the other methods. In these two cases of our experimentation, we see that our proposed method produces better result in case both cases.

Evaluation Of Improved Usage Profiles Using Frequency Support Threshold In Clusters (클러스터 내부 빈발 지지도를 이용한 개선된 사용 프로파일 평가)

  • 안계순;이필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277-279
    • /
    • 2002
  • 웹 로그 기반의 웹 사용 마이닝은 명시적 평가 의존, 확장성 결여, 그리고 다차원 및 희박한 데이터에 성능이 떨어지는 협력적 여과의 문제를 다소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k-Means 군집화 방법으로 생성된 군집속 유사 사용자 이동 패턴으로는 클러스터속 사용자 전체의 선호도를 표현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 이동 패턴인 트랜잭션들로부터 사용 프로파일을 유도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유사 군집 사용자들의 관심과 기호를 표현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 내부 데이타로부터 평균 가중치 및 빈발 지지도 임계값을 사용하여 개선된 사용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실험 데이터를 통한 예측력과 추천에 대한 성능을 평가한다.

  • PDF

Multilateral Approach for Software Evaluation (다각적 접근법에 의한 소프트웨어 평가 및 그 적용사례)

  • Kwon, Won-Il;Lee, Sang-Duck;Shin, Seok-Ky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497-500
    • /
    • 2002
  • 소프트웨어가 매우 다양하고 측정하기 어렵다는 특성 때문에 객관적인 소프트웨어 평가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 평가 대상 소프트웨어 사용자 설문 분석에 의한 평가, 표준 평가모듈에 근간한 평가, 사용 패턴에 근간한 평가를 병행하는 평가는 보다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세 가지 각각의 평가가 국제표준인 ISO/IEC 9126 의 품질 특성에 기반하고 있다. 사용자 설문 분석에 의한 평가는 사용자 들의 설문을 통계 처리하여 도출하고, 표준 평가모듈에 근간한 평가는 국제표준의 내용을 구체화한 규격서를 포함하는 평가 모듈에 의한 소프트웨어 시험을 의미한다. 사용 패턴에 근간한 평가는 주로 사용하는 행태나 방법의 평가를 통해 이루어진다.

  • PDF

Incorporating Social Relationship discovered from User's Behavior into Collaborative Filtering (사용자 행동 기반의 사회적 관계를 결합한 사용자 협업적 여과 방법)

  • Thay, Setha;Ha, Inay;Jo, Geun-Sik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19 no.2
    • /
    • pp.1-20
    • /
    • 2013
  • Nowadays, social network is a huge communication platform for providing people to connect with one another and to bring users together to share common interests, experiences, and their daily activities. Users spend hours per day in mai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and interacting with other people via posting, commenting, messaging, games, social events, and applications. Due to the growth of user's distributed information in social network, there is a great potential to utilize the social data to enhance the quality of recommender system. There are some researches focusing on social network analysis that investigate how social network can be used in recommendation domain. Among these researches, we are interested in taking advantages of the interaction between a user and others in social network that can be determined and known as social relationship. Furthermore, mostly user's decisions before purchasing some products depend on suggestion of people who have either the same preferences or closer relationship. For this reason, we believe that user's relationship in social network can provide an effective way to increase the quality in prediction user's interests of recommender system. Therefore, social relationship between users encountered from social network is a common factor to improve the way of predicting user's preferences in the conventional approach. Recommender system is dramatically increasing in popularity and currently being used by many e-commerce sites such as Amazon.com, Last.fm, eBay.com, etc. Collaborative filtering (CF) method is one of the essential and powerful techniques in recommender system for suggesting the appropriate items to user by learning user's preferences. CF method focuses on user data and generates automatic prediction about user's interests by gathering information from users who share similar background and preferences. Specifically, the intension of CF method is to find users who have similar preferences and to suggest target user items that were mostly preferred by those nearest neighbor users. There are two basic units that need to be considered by CF method, the user and the item. Each user needs to provide his rating value on items i.e. movies, products, books, etc to indicate their interests on those items. In addition, CF uses the user-rating matrix to find a group of users who have similar rating with target user. Then, it predicts unknown rating value for items that target user has not rated. Currently, CF has been successfully implemented in both information filtering and e-commerce applications. However, it remains some important challenges such as cold start, data sparsity, and scalability reflected on quality and accuracy of prediction. In order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many researchers have proposed various kinds of CF method such as hybrid CF, trust-based CF, social network-based CF, etc. In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recommendation performance and prediction accuracy of standard CF,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which integrates traditional CF technique with social relationship between users discovered from user's behavior in social network i.e. Facebook. We identify user's relationship from behavior of user such as posts and comments interacted with friends in Facebook. We believe that social relationship implicitly inferred from user's behavior can be likely applied to compensate the limitation of conventional approach. Therefore, we extract posts and comments of each user by using Facebook Graph API and calculate feature score among each term to obtain feature vector for computing similarity of user. Then, we combine the result with similarity value computed using traditional CF technique. Finally, our system provides a list of recommended items according to neighbor users who have the biggest total similarity value to the target user. In order to verify and evaluate our proposed method we have performed an experiment on data collected from our Movies Rating System. Prediction accuracy evaluation is conducted to demonstrate how much our algorithm gives the correctness of recommendation to user in terms of MAE. Then, the evaluation of performance is made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our method in terms of precision, recall, and F1-measure. Evaluation on coverage is also included in our experiment to see the ability of generating recommenda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method outperform and more accurate in suggesting items to users with better performance. The effectiveness of user's behavior in social network particularly shows the significant improvement by up to 6% on recommendation accuracy. Moreover, experiment of recommendation performance shows that incorporating social relationship observed from user's behavior into CF is beneficial and useful to generate recommendation with 7% improvement of performance compared with benchmark methods. Finally, we confirm that interaction between users in social network is able to enhance the accuracy and give better recommendation in conventional appro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