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용자수용

검색결과 1,099건 처리시간 0.044초

가상현실 미디어 기술동향과 VR 멀미저감 방안 (Overview of VR Media Technology and Methods to Reduce Cybersickness)

  • 문성철;김홍익;박상인;이동원;황민철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8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4-27
    • /
    • 2018
  • 본 논문은 최신 가상현실 미디어 기술동향과 다양한 분야에서 시도해 온 VR 멀미저감 방안을 리뷰하여, 가상현실 사용자의 인지적 수용성을 높이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최신 미디어 기술의 사용자 가치제안 방식을 분석하고 Social VR 플랫폼의 인지적 수용성을 개선하는 효율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생체신호 모니터링, VR 콘텐츠 적합도 분석, 멀미 메커니즘 조절, 신체동요측정 기반 멀미예측 등 다양한 멀미저감 방식 중 개발 비용과 사용자 수용성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신체동요측정 기반 멀미예측 기술의 사전테스트 결과를 소개하고 적용 방안을 구체화하였다. 가상현실 체험 전 미세한 신체동요가 많은 사용자일수록 VR 멀미 민감도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개인의 멀미민감도를 반영하는 본 측정 결과를 다양한 가상현실 환경에서 테스트하고 개인특성에 따른 VR 멀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면 AI 기반의 멀미 예측기술을 구현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사용자 주도형 정보시스템개발에 대한 사례연구

  • 오상훈;서창갑;문용은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1998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집 IMF시대의정보화 추진전략
    • /
    • pp.177-183
    • /
    • 1998
  • 개발적체의 해소 및 사용자 수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자를 정보시스템 개발과정에 일부 참여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제는 정보기술의 보편성 및 사용자의 컴퓨터 관련 지식의 향상으로 현업 사용자들이 정보시스템 개발과정에 주체적인 역할을 하는 사용자 주도 개발이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사용자가 개발의 주체가 되고 정보시스템부서에서 기술적인 부분과 관련하여 일부 참여하는 사용자 주도개발의 당위성 및 이를 검증하기 위한 사례연구를 실시한다. 특히, 사례연구를 통하여 사용자 주도개발의 이점이 무엇인지를 이해하도록 한다.

인터넷뱅킹 사용자의 만족도가 인터넷 전문은행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witching Intention to the Internet Primary Bank affected by Internet Banking Users Satisfaction)

  • 김종완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9-98
    • /
    • 2009
  •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보급의 확산에 따라 인터넷 이용이 더욱 편리해지고 일상화되면서 인터넷 뱅킹은 새로운 기술혁신의 수용이 아니라 생활 속에 자리 잡은 일상의 금융서비스가 되었다. 이러한 디지털 금융환경의 변화로 인해 이제 국내에도 인터넷 전문은행의 도입에 대한 시장여건이 한층 성숙되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인터넷 전문은행의 성공적인 시장 진입의 가능성에 대한 관심도 그 어느 때 보다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장의 관심을 반영하여, 기존 인터넷 뱅킹 사용자들이 인터넷 전문은행이 도입 될 경우 전환에 대해 어떠한 수용태도를 보일 것인지에 대해 실증 분석을 통해 그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하였다.

  • PDF

직교 다항식의 근사화를 적용한 다중 사용자 간섭 제거기법 (Multiuser Interference Cancellation Scheme using Orthogonal Polynomial Approximation for Multiuser Signal Detection in CDMA Systems)

  • 노재호;최수용;이미숙;신기수;홍대식;강창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7B호
    • /
    • pp.928-936
    • /
    • 2001
  • 본 논문은 CDMA 시스템을 근간으로 향후 서비스 될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중 사용자 간섭 제거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식은 다단계 간섭 제거기의 각 단계에 직교 다항식의 근사화 기법을 적용하여 제거될 간섭 신호의 양을 결정하고, 이를 상호 보완적으로 제거한다. 사용자 용량의 포화도에 따른 최적해로의 수렴성을 각 방식의 스펙트럼 반경의 분석을 통해 비교하였으며, 제안한 방식이 병렬 간섭 제거 기법(Parallel Interference Cancellation, PIC)을 사용한 방식과 비교하여 2배 이상의 적은 단계를 사용했음에도 거의 같은 정도의 오차 성능을 보였으며, 실험을 통해 비트 오율이 $10^{-5}$을 기준으로 약 30% 정도의 사용자 수용 능력이 증대되었다. 또한 전력 제어의 적용 여부에 대한 시스템의 비트 오율 측면의 성능 비교, 원근 효과의 관점에서 성능을 비교하여 제안된 간섭 제거 기법이 비적응형 가중치를 적용한 병렬 간섭 제거 기법보다 우수함을 보였다.

  • PDF

Index of Difficulty(Throughput) 정보를 이용한 Pointing Device의 효율 척도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fficiency Metrics for Pointing Device Using the Concept of Index of Difficulty(Throughput))

  • 정민주;이주환;반상우;윤명환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136-139
    • /
    • 2008
  • 다양한 기능들이 휴대폰에 집약되고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메뉴를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pointing Device의 역할은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휴대폰에 내장된 pointing device 중 광센서와 pointing stick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 효율 및 조작 만족도 향상 요인 도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입력장치가 적용된 휴대폰을 이용하여 객관적 평가와 주관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객관적 평가에서는 Fitts' law를 바탕으로 한 throughput 개념을 이용하여 커서 이동 및 선택 성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주관적 병가에서는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수용도(user acceptance)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광센서는 이동 방향에 따라 수행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pointing stick가 광센서에 비해 사용자의 수용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추후 실제 휴대폰의 pointing Device 설계 및 적용 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 PDF

휴대단말을 위한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 (The Smart User Interface Platform for Mobile Devices)

  • 박경민;최훈;이창건;황인태;이칠우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권4호
    • /
    • pp.44-51
    • /
    • 2012
  • 본 논문은 휴대단말을 위한 차세대 인터페이스 기술을 수용하기 위한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인 SUIP를 기술한다. SUIP 플랫폼은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확장하여 새로운 인터페이스 장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새로운 인터페이스에 대한 응용 개발을 위하여 소프트웨어 모듈의 동적 로딩 기능을 지니고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품질을 높이기 위한 외부 장치 활용을 위한 플래폼 기술과, 서비스에 따른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동적 인터페이스 스위칭 기술도 포함하고 있다.

  • PDF

이동형 개인셀 환경에서 Massive Device 수용 기술

  • 고광춘;이성형;이충희;김재현;오성민;신재승
    • 정보와 통신
    • /
    • 제32권4호
    • /
    • pp.80-86
    • /
    • 2015
  • 본고에서는 급증하는 단말과 모바일 트래픽을 수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동형 개인셀에 대해 알아본다. 이동형 개인셀은 사용자 중심의 네트워킹 실현을 위한 주요 기술 중 하나로, IoT(Internet of Things)의 실현 등으로 인한 모바일 단말의 급격한 증가를 수용하기 위한 후보 기술로 연구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5G 요구사항 중 기존 4G 시스템 대비 1000배의 단말 수용을 위해 이동형 개인셀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모바일 광고(Mobile Advertising)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기술수용모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Mobile Advertising: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윤종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39-147
    • /
    • 2013
  • 유무선 인터넷의 활용도 증대에 따라 개인의 생활방식을 포함하여 기업의 대고객 관리활동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최근의 스마트폰 사용자의 증가, 모바일 인터넷 기술의 지속적 발전과 보급, 모바일 인터넷 사용률의 증대, 시공간의 제약을 벗어날 수 있는 정보전달 기기의 발전 등에 힘입어 기업에서의 모바일 광고는 자사 고객들에 대한 제품 및 서비스 소개, 각종 판촉 및 홍보 등의 마케팅 활동을 위한 핵심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광고의 어떠한 특성요인이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들의 광고 수용의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나아가 이러한 모바일 광고의 특성과 광고 수용의도간의 관련성이 국가의 유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UTAUT 모델을 통한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스포츠몰입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수용 간의 관계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s Commitment and Behavioral Intention of Sports Wearable Devices through UTAUT Model)

  • 전성범;임진선;이철원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5호
    • /
    • pp.291-30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여가스포츠 참여자 중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자와 잠재적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스포츠몰입(Sports Commitment)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수용의도 간의 관계를 UTAUT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표집된 239부의 설문지가 최종적으로 사용되었으며, SPSS 21과 AMOS 2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첫째, UTAUT 주요 4개 변인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수용의도와 사용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스포츠몰입 변인은 수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스포츠몰입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수용의도 간의 인과관계 사이에서 UTAUT 주요변인의 완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사용자 MBTI 성격유형과 정보시스템 지속사용의도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MBTI Personality Types and Continuous IS Usage Intention)

  • 남길우;김상훈;김창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53-161
    • /
    • 2011
  •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이 조직에 수용된 후의 이용단계에서 사용자의 성격유형이 지속적인IS 사용의도에 중요한 영향요인들 중 하나임을 추론하였고, 개인의 성격유형판별지표인 MBTI에 근거한 IS 사용자 성격유형에 따라 IS의 지속적인 사용의도의 수준이 어떻게 다른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330명의 IS 실무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에 의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정보시스템 수용후 단계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속적인 사용의도는 IS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자기효능감은 자기주도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자기주도성은 사용자 성격유형과 IS에 대한 기대일치수준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용자 성격유형과 3가지 매개변수들(기대일치, 자기주도성, 자기효능감)은 사용자의 지속적인 IS 이용의도의 중요한 에측변인들임이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는 정보시스템 수용 후의 단계에서 IS 성공요인을 규명하는데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뿐 아니라, 조직내 정보시스템의 구축 운영과 관련한 인사관리 업무수행에 있어서 실무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