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용자수용

검색결과 1,098건 처리시간 0.03초

'짤방' 방송영상 수용요인에 관한 연구 - 20대 수용자를 중심으로 - (Study of Acceptance Factor of 'JJALBANG' Broadcast Images - Focused on Audiences in Their 20s -)

  • 이규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425-438
    • /
    • 2017
  • 본 연구는 20대 짤방 방송영상 수용자 221명을 대상으로 짤방 방송영상 미디어 사용에서 제공하는 경험적 속성이 수용자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 경로에서 작용하는 몰입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짤방 방송영상 사용자 경험 속성이 수용자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수용자몰입에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수용자몰입은 사용자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효과 분해를 통해 사용자 경험 속성이 수용자만족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수용자의 몰입도 확보가 중요한 예언변인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몰입만으로도 짤방 이용만족을 예언하므로, 몰입은 짤방 방송영상의 사용자 경험 효과에 대해 중요한 예측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짤방 방송영상 사용자 경험 속성의 효과는 시각 속성 > 상황 속성 > 정보 속성 > 상호작용 속성 순으로 수용자몰입과 만족에 영향력을 가지며, 수용자몰입을 통해 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용자 몰입의 완전매개효과에 따른 중요성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통해 짤방 방송영상의 수용전략에 있어서 효과적인 경험의 제공과 사용자몰입의 중요성에 관한 시사점을 얻었다.

사용자 특성이 아바타 수용에 미치는 영향 (User′s Characteristics Which have Influence on the Avatar Acceptance)

  • 이승현;최훈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3년도 추계공동학술대회
    • /
    • pp.93-108
    • /
    • 2003
  • 최근 들어 신세대들은 온라인을 통해서 아바타를 활용하여 가상공간 속에서 자신을 표현하고 있는 추세이다. 아바타는 ‘분신’, ‘화신’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로 가상공간에서 사용자의 역할을 대신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이다. 가상공간 속에서 오프라인 상에서 표현하지 못한 자신만의 캐릭터를 통해서 자신의 정체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개인의 개성을 표출하고 있다. 이러한 아바타의 출현으로 인터넷에서의 자기표현 방식이 외향적인 형태로 변화하는데 이는 새로운 표현에 대한 사용자의 수용도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사용자가 새로운 개념을 수용하는데 있어서 그들이 잠재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특성에 따라서 아바타의 표현이 다각적으로 연출되고 활용되어지고 있다. 이는 신세대들의 자기표현 방식이 다양하기 때문이다고 할 수 있겠다. 신세대들은 또한 새로운 정보통신 기술이 매체를 통해 보급될 경우 수용도가 다른 세대에 비해 빠르다. 이렇듯 아바타의 도입과 활용은 신세대의 자기표현의 상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웹과 핸드폰을 통해서 2D 기반의 아바타가 활용되고 있으며, 신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현재 개발되어지고 있는 3D 핸드폰 아바타의 수용도에 대한 관심도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아바타 개발과 활용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이러한 신세대들의 특성에 따른 아바타의 수용에 대한 연구는 아직 정립되지 못하고 있다. 아바타의 수용에 관한 이론은 심리적 특성 이론으로 자아 존중감, 유행 선도력, 소비가치 등이 있으며, 사용자 수용 이론으로 혁신 성향, 유흥 성향 등이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신세대 대학생들의 특성에 따라서 아바타의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대학생들의 특성을 심리적 특성이론과 사용자 수용이론으로 구분하여 이 특성에 따라서 향후 개발될 3D 핸드폰 아바타의 수용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대한 자료 수집방법은 D대학교의 교양과목인 “사이버문화의 이해와 활용”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170부를 설문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지 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6부를 제외한 총 164부를 유효한 설문으로 확보하였다. SPSSWIN 10.0 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Cronbach's Alpha값을 통한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성 분석을 하고, 연구변수로 선정한 각 요소들의 아바타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심리적 특성과 사용자 수용 특성은 아바타 수용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 결과가 나타났다.

  • PDF

IoT 환경에서 사용자의 보안수용성 향상을 위한 무선공유기 활용도 조사 (A Study on Use of Wireless Router For Security Acceptance Enhancement In IoT Environment)

  • 홍승완;이효직;나원철;장항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96-398
    • /
    • 2015
  • IoT 환경에서 무선랜의 사용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른 무선공유기의 보안은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사용자들은 보안수용성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 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 사용자들의 무선공유기 활용도를 조사하고, 보안수용성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보안수용성의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조사에 따르면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무선공유기에 대한 보안수용성이 부족하며 간단한 보안방법 조차 실행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보안수용성은 현재 매우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보안수용성의 향상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사용자들에게 보안의식을 심어주고 보안에 쉽게 접근하게 할 수 있는 보안수용성 향상의 기반으로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사용자 수용에 대한 한·중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Acceptance of Social Network Gam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Users)

  • 이상훈;승지초;권영직;황현석;김수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39-50
    • /
    • 2014
  • 오늘날 사람들은 스마트폰을 전화나 문자와 같은 의사소통의 목적뿐 아니라 개인적인 취미나 오락을 위한 도구로도 많이 활용하고 있다. 과거의 게임 전용 플랫폼은 스마트폰으로 대거 이전되었고 이는 사람들 간의 관계와 게임을 접목시킨 소셜 네트워크 게임으로 발전해 왔다. 연일 새롭게 출시되는 다양한 종류의 게임들은 사용자들에게 재미와 오락적인 가치를 제공하고 있다. 대부분 게임의 수명은 점차 빨라지고 있으며 게임 업체는 사용자들의 요구를 잘 파악하여 항상 새로운 게임을 개발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셜 네트워크로 연결된 여러 사용자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소셜 게임의 수용에 대해 조사하였다. 게임 사용자의 행태는 국가에 따라 문화적 차이를 보일 수 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게임 수용에 대한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술수용모형을 이용하여 소셜 게임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이들 요인들 간 관계가 한국과 중국 사용자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양국 사용자 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여 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본 연구의 결과를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금융보안서비스의 채택에 대한 개인사용자의 의식에 관한 요인분석

  • 장재빈;김건아;강병훈;이중정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8년도 추계 공동 국제학술대회
    • /
    • pp.91-95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신규 금융보안서비스(OTP, HSM)의 채택에 있어 개인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기술수용모형(TAM)을 기반으로 새롭게 보안에 관한 변수를 추가하여 확장된 기술수용모형을 사용하였다. 현재 등급별 이체한도에 따라 기업의 거래이용수단에 적용되는 제약은 향후 개인사용자에게의 확대될 예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인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실증적인 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신규 금융보안서비스의 채택에 있어서 개인사용자는 인지된 편의성과 보안성을 직접적으로 수용의도에 반영하지는 않지만 인지된 유용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며 직접적으로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인지된 유용성만이 유일한 것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금융보안서비스가 개인에게 확장될 경우 가장 중요한 요인이 인지된 유용성이라는 사실과 인지된 유용성은 보안성보다는 사용자의 용이성에 더 많은 영향을 받음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실사용자가 될 대상에게 더 유용하고 용이한 금융보안서비스를 제공해야 함을 시사하는 바이다.

  • PDF

정보시스템품질이 기술수용모형과 사용자의도에 관한 연구 (Effects of Information System Quality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User Intention)

  • 박상현;이정은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21-3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정보시스템품질요인이 기술수용모형과 사용자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정보시스템품질을 시스템, 정보, 서비스에 보안성을 포함하여 최근 대두되고 있는 IT보안의 중요성도 정보시스템품질의 요인으로 보았다. 이러한 정보시스템품질이 기술수용모형과 사용자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정하기 위해, 기술수용모형은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으로 구분하였고, 사용자의도는 사용자가 수용의도만 가지고 있는지 활용의도도 있는지 구분함으로써 확장된 정보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정보시스템품질요인이 기술수용모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부분채택되었다. 서비스품질은 인지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수용모형은 사용자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을 이용한 챗봇(chatbot)의 수용 결정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민수진;김헌진;송근혜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23-643
    • /
    • 2017
  • 최근 인공지능 기술이 발달하면서 챗봇이 글로벌 IT기업들에게 새로운 IoT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챗봇이란 대화형 인터페이스 상에서 규칙 또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사용자와 상호작용(interaction)을 하는 서비스를 지칭한다. 챗봇은 현재 간단한 정보검색 및 가상비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준이지만, 향후 IoT와 O2O 영역의 핵심적인 인공지능 플랫폼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챗봇은 스마트폰 디바이스와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빠르게 확산되어 핵심 플랫폼의 지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챗봇 사용자의 수용행태에 관한 학술적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기술수용이론(TAM)보다 수용의도에 대한 설명력이 높다고 검증된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을 적용하여 챗봇의 사용자 수용행동에 관한 모델을 구축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용의도의 결정요인인 성과기대, 예상노력, 사회적영향, 촉진조건이 수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 과정에서 수용의도 결정요인과 수용의도 간의 관계를 성별, 연령, 개인혁신성이 조절할 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는 챗봇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과 조절변인의 효과를 검증하여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BSC 수용에 관한 실증연구;기술수용모형을 중심으로

  • 권오준;오재인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 /
    • pp.751-757
    • /
    • 2007
  • BSC(Balanced Scorecard: 균형성과표)는 1992년 기존의 성과관리접근법의 한계를 인식한 Kaplan & Norton(1992)에 의해서 발표된 후 새로운 성과관리시스템이자 다양한 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키우려는 많은 기업들로부터 각광 받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변화와 혁신을 강조하는 참여정부의 출범 이후 공공분야의 BSC도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많은 공공부문 기관들이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BSC관련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거나 도입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어서, BSC 수용에 있어 중요시 되는 요인들에 관한 실증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정보시스템 형태로 구현되는 BSC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BSC 수용요인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시스템 형태로 구현된 BSC를 활용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통하여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것이다. 구체적인 BSC 사용자들의 적극적인 활용을 장려하여 기업의 경영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BSC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추출하고, TAM(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기본으로 영향정도를 파악하여 BSC를 이미 도입한 기업과 앞으로 도입하려는 기업들에게 사용자들의 보다 적극적인 활용을 장려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데 있다.

  • PDF

기술제품에 대한 사용자 지각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수용적 태도와 저항의 매개적 역할을 중심으로 - (The Impact of User Perception on Usage Inten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Attitude of Acceptance and Resistance -)

  • 김현경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8년도 추계 공동 국제학술대회
    • /
    • pp.278-285
    • /
    • 2008
  • 기술발전에 따른 혁신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연구는 유용성과 편의성을 중심으로 그 수용 및 저항을 서로 다른 관점에서 보아왔다. 그러나 소비자 혹은 사용자들이 느끼는 혁신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태도와 평가는 수용하려는 측면과 저항하려는 측면이 동시에 작용하며 그 결과로서 사용의도 혹은 구매의도가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혁신제품 혹은 서비스가 갖는 다양한 속성을 기술수용모형(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에서의 지각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 과 지각된 편의성 (Perceived Ease of Use) 개념을 사용자 지각에 기초하여 상대적 이점, 유용성, 편의성, 기술혁신성, 사용법의 변화 인식, 위험지각 등으로 구체화하고 각각의 개념이 수용적 태도와 저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수용적 태도와 저항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동시에 분석 및 비교하였다.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중심으로 혁신제품에 대한 소비자 중심의 관리적 시사점도 제시하였다.

  • PDF

스마트웨어의 수용 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Key Factors in User Acceptance of the Smart Clothing)

  • 홍지영;채행석;한광희
    • 감성과학
    • /
    • 제9권spc3호
    • /
    • pp.235-241
    • /
    • 2006
  • 본 연구는 스마트웨어의 사용자 수용 요인에 관한 연구로서 기존의 이론적인 연구과정에 대한 고찰과 이를 신기술인 스마트웨어에 적용하고자 하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신제품에 대한 소비자 수용 및 저항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혁신의 특성,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 기존의 소비자의 수용 모형 등을 살펴보고 잠재적으로 예견된 스마트웨어 수용모델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응용으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한 스마트웨어의 수용요인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사용자들의 니즈를 파악하고 그러한 니즈로부터 각 디바이스의 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SNFD 분석을 사용하였다. 사용자를 대상으로 FGI를 실시한 결과로부터 사용자니즈를 파악하고 기능 범주화를 하였으며 정서 및 태도를 도출하였다. 시나리오에서 제시된 기능에 대한 필요도와 각 시나리오의 정서적 느낌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사용자는 건강과 운동에 대해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람들은 스마트웨어의 건강 지원 기능을 가장 필요로 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