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업추진전략

Search Result 683, Processing Time 0.04 seconds

국가측지 VLBI 사업의 추진전략

  • 김두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3.04a
    • /
    • pp.3-8
    • /
    • 2003
  • 우리 나라에서도 세계적 추세에 따라 세계공통으로 사용되는 $\ulcorner$세계측지계$\lrcorner$ 에 의거한 신국가기준좌표계를 결정하고, 대한민국경위도원점을 고정도로 유지 관리하기 위해 국립 지리원이 주관해서 측지 VLBI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추진되는 측지 VLBI 사업이기 때문에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면밀한 사전조사 연구와 추진전략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국가측지 VLBI 사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추진전략에 대해서 논하였다.

  • PDF

부산남항 재창조를 위한 사업추진전략에 관한 연구

  • 최혜린;강영훈;이한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77-79
    • /
    • 2023
  • 국내 대표 해양도시인 부산시는 도시의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북항재개발지역과 원도심지역을 연계한 복합형 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부산남항은 북항과 원도심지역에 맞닿아있지만 고유의 특성이 고려되지 못하고 복합형 재생사업에 종속된 개발 압력을 받아왔다. 최근 해양관광벨트 형성에 있어 부산남항의 입지적 중요성과 북항·원도심지역과의 연계 필요성이 대두되며 부산남항을 대상으로 다양한 개발계획이 수립되고 있다. 항만재개발사업의 경우 대규모 SOC사업으로 추진과정에서 이해관계자 간의 갈등, 재정 문제 등의 여러 문제가 야기되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사업이 표류 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남항 재창조를 위해 필수적인 항만재개발사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추진전략과 민간참여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tems for Each Stage of Public Informatization Projects Implementation (공공정보화사업 추진단계별 평가항목 개발)

  • Jung, Hae-Yong;Kim, Sang-Hoon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1a
    • /
    • pp.323-33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사업의 성과는 직접적으로 하나의 효과만을 발생시키지 않고 다양한 단계에서 다양한 형태의 성과로 발생된다는 점에서 정보화사업의 추진단계를 사업추진 전(前) 단계(사전평가), 사업추진 진행단계(진행평가), 사업추진 완료 후 운영단계(사후평가)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로 정보화사업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정보화사업 추진단계별 평가모형을 제시하였다. 각 추진단계별 평가영역 및 평가항목의 개발은 정보화사업 평가항목에 관한 선행연구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국내 외 공공부문에서 실제 적용하고 있는 사례를 중심으로 도출하였으며, 특히 본 연구에서의 중점연구대상 정보화사업인 문화정보화사업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각 단계별 평가영역 및 평가항목으로는 사전평가에서는 사업추진 계획영역의 비용산정적정도, 사업적 타당도, 전략적 타당도, 위험도분석, 추진계획적정도의 5개의 평가항목으로, 진행평가에서는 사업추진 실행영역의 사업추진효율성, 자원관리적정도, 아웃소싱관리적정도 등 3개 평가항목을 제시하였다. 또한 사후평가에서는 정보시스템 구축성과 영역의 경우 시스템품질, 정본품질, IS 서비스 품질을, 정보시스템 운영성과 영역은 시스템의 활용도와 사용자 만족도를, 조직 및 경영성과 영역은 사업적 기여도와 전략적 기여도를 각각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각 평가항목별 세부 평가항목을 함께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on a GIS ISP Model for Local Governments to Overcome the Problems in a Transition Period (지자체 GIS의 과도기적 문제점 극복을 위한 GIS 정보화 전략계획(ISP) 수립모델 연구)

  • 고광철;김도훈;김은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415-421
    • /
    • 2004
  •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추진하고 있는 지자체 GIS사업은 기술의 발전에 비해 제도, 교육, 사용자의 마인드, 유지관리 활동, 향후 사업 구상 등에서 상대적인 빈곤을 경험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렇듯 신기술이 도입됨에 따라 다양한 제반 여건들이 동반적으로 성숙하지 못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을 과도기적 현상1)으로 진단하고 있다. 이미 다양한 분야에서 GIS를 도입한 지자체에서는 이러한 과도기적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새롭게 GIS를 도입하고자 하는 지자체에서도 타 지자체에서 모니터링을 통해 간접적으로 과도기적 현상을 경험함으로 인해 효과적인 사업 추진을 구상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지자체의 경우 중앙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사업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고, 현재의 GIS 사업의 추세가 단순한 공간정보 중심의 사업이 아닌 다양한 속성정보와의 연계를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자체 GIS정보화의 방향은 예전과는 사뭇 다른 양상을 간파해 야 하는 현실에 놓여 있다. 이와 같은 지자체 GIS의 과도기적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보기술의 빠른 변화속도와 외부환경의 극심한 환경변화의 상황에서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관계를 진단하고, 변화에 대한 예측과 대비, 중요한 일과 급한 일을 구분한 총체적인 밑그림의 마련과 실행계획의 수립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지자체 GIS의 문제 해결의 노력이 단숨에 바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고, 또한 현재 추진된 사업을 기반으로 중복투자의 방지와 시너지 효과 극대화를 위한 투자의 노력이 장기간의 시간적 개념속에서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이를 이끌어줄 가이드가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총체적인 지자체 GIS의 계획마련을 위해 건설교통부에서는 ‘국가지리정보구축 및 활용등에 관한 법률’상에 계획 수립의 항목을 명문화하고, 나아가 GIS정보화 전략계획 수립에 관한 지침작성을 위한 노력을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일련의 현실을 감안하여 지자체 GIS정보화 전략계획 수립을 체계적이고 실질적으로 수립할 수 있는 ‘지자체 GIS정보화 전략계획 수립모델’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사항임에 분명하다. 지자체 GIS정보화 전략계획 수립 모델은 지자체 GIS정보화 전략계획 수립의 효과로 하고 있으며, 형식적 측면에서는 GIS특성을 반영한 전략계획 수립의 방법론적 측면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처 실제 지자체 GIS정보화 전략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9단계를 설정하고 각각의 단계에 대한 중심활동을 바탕으로 지자체에서 실제 전략계획 수립에 필요한 지침을 작성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 PDF

전략기술계발의 과제와 전망 -초고지적 반도체 외 7편

  • Science & Technology Policy Insisute
    • Science & Technology Policy
    • /
    • v.2 no.16 s.16
    • /
    • pp.21-36
    • /
    • 1992
  • 급변하는 국제 기술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미래를 이끌어갈 전략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미국,EC,일본 등 각국의 정부는 이를 위해서 국가적 차원에서 연구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 우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G7 프로젝트도 바로 이러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이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전략 기술들의 발전 전망과 기술 선진국들의 연구 개발동향을 전망하여 우리의 구체적인 목표들을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취지하에 본호에서는 21세기를 선도할 주요 전략기술의 동향과 전망을 살펴보기로 한다. (편집자 주)

  • PDF

Strategies for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국가공간정보기반 구축전락)

  • 정문섭;김동한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1 no.4
    • /
    • pp.341-358
    • /
    • 2003
  • Korean government has conducted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NGIS) project since 1995. The NGIS was set up and directed by central government to stimulate the growth of GIS field in Korea. Thanks to the project, all aspects of GIS in Korea has been rapidly developed. However, this government-led strategy now reveals some limitations on the advancement of GIS in Korea It is time to prepare new approaches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GIS in Korea. This study aims at introducing the concept and model of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NSDI) and suggesting strategies fir it. By doing so, this research attempts to reestablish the role of government and draws new policy directions for the NGIS.

  • PDF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election of Mandatory Subjects for Information Strategic Planning - Focused on Public Sector (정보화전략계획수립 의무화대상 설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공공부문을 중심으로)

  • Ra, Jong-Hei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4
    • /
    • pp.35-42
    • /
    • 2017
  •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ISP) is an analysis of the organization's work, information flow, and current information systems, and planning information structures to achieve organizational strategies and objectives. In addition to the systematic promotion of the information sector in the public sector, the government is required to establish an information strategy plan in order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information sector. However,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IT project budget is reflected without establishing the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riteria for establishing the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For this purpose, we set up a judgment model for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through expert group review (FGI) and conducted questionnaires on public sector experts. In addition, we proposed a project to establish an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and an exceptional project based on the size of iinformatization project and characteristics of informatization project.

A Study for Establishment of 3P-based Big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Strategy: Focusing on Localization Strategies of Core Components for Heavy-Ion Particle Accelerator (3P기반 거대과학 기술개발 전략수립을 위한 연구 : 중이온 입자 가속기 핵심부품 국산화 전략수립 사례를 중심으로)

  • Yun, Seong-Uk;Kim, Yu-Bin;Choe, Won-Jae;Do, Hyeon-Su;Gwon, Sun-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533-1549
    • /
    • 2017
  • 정부 R&D성과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고 중장기 국가 재정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각 연구 기관의 시도들이 있어 왔다. 연구사업의 발굴, 기획 및 수행에 있어 효과적인 정부 R&D 예산의 배분, 우선순위를 도출, 기술개발 전략 수립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정부 재정사업인 국가 R&D사업은 국가 기간산업을 활성화하고 경제발전을 수반할 수 있는 중요한 모멘텀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국가 R&D사업의 한 축인 거대과학은 최첨단 기술의 개발과 미래성장동력의 발굴이라는 대명제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거대과학 연구는 그 분야의 특수성으로 인해 대학의 과학자, 공공 연구기관의 연구원, 기업의 엔지니어가 함께 참여하여야 하고 대규모 국가 예산을 동원하는 과학 연구 사업이다. 이는 대규모 예산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에 집중적 투자가 수반된다면 단기적으로 기초과학의 발전을 이뤄낼 수 있다. 이것은 산업발전에 밑거름이 되어 그 분야 자체로 하나의 산업생태계를 구성하고 요소 기술들의 응용으로 파생기술이 전파된다면 새로운 신산업 창출 등 국가산업에 많은 혜택을 줄 수 있다. 하지만 많은 인력과 대규모 투자 그리고 중장기 프로젝트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패 가능성도 높아 전략적 선택 및 추진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거대과학의 기술개발전략의 수립을 위하여 중이온 입자가속기 핵심부품 국산화 전략수립 사례를 중심으로 효율적인 R&D추진 방안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또한, 논문, 특허를 기반으로 한 3P분석을 통하여 중이온 가속기 핵심부품의 국산화 전략을 제안하고, 추진 우선순위 및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국제동향 - APSF 발전을 위한 단계열 사업 추진 전략

  • Park, Eun-Gyu
    • Pallet News
    • /
    • s.75
    • /
    • pp.3-6
    • /
    • 2014
  • 본 원고는 지난 2014년 9월 24일부터 26일까지 3일간 태국 방콕에서 열린 제 9차 아시아파렛트시스템연맹(APSF) 정기총회 발표 원고로 아시아파렛트시스템연맹(APSF) 박은규 전무이사가 "APSF 발전을 위한 단계별 사업 추진 전략"에 관하여 발표하였다.

  • PDF

New Business Success using Strategic Innovation Strategy: Marine Engine Business and HEMAPT System of the Hyundai Heavy Industries Co. (신규사업성공과 전략적 기술혁신전략: 현대중공업의 엔진사업진출과 HEMAPT시스템 개발)

  • Kim, Wha Young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6 no.2
    • /
    • pp.23-35
    • /
    • 2016
  • Firms should seek greater profits and corporate growth through new businesses. New businesses contribute realizing creative economy that creates good jobs, and expanding the company by securing new markets and creating new profits and growth. However, new business is risky management decision-making to have a high failure rate because it involves the adaptation of new business environment and the burden of new investments, including the uncertainty of success in business. Therefore, innovation strategies play important roles for the new business entry, using product innovation, process innovation, business model innovation, disruptive innovation, and strategic innovation, etc. and company will get huge economic results by pushing them into successful business. It is essential that innovation strategy and IT development strategy along with business strategy of a firm are linked, and their strategic alignment is considered to be a critical success factor for new business success. Hyundai Heavy Industries(HHI) pursued marine engine business for the development of precision machinery industry and shipbuilding industry of Korea, and the compan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new business strategy, innovation strategy, and IT strategy inter-linked, and pushed strategic alignment boldly. As a result, HHI won the competition in European and Japanese engine manufacturers and climbed into the world's largest engine manufacturer. This study suggests investigating and analyzing a case that HHI succeeded in marine engine business expansion using strategic innovation strategy as a way of the introduction of CNC machine tools and the development of HEMAPT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