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업수행자

Search Result 70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Legal Proposal of Improvement for S/W Acquisition & Management System (S/W 발주 ${\cdot}$ 관리 감독의 개선을 위한 입법적 과제)

  • Kim, Byung-Il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451-457
    • /
    • 2005
  • 공공부문의 정보화 사업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공공기관의 정보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발주 ${\cdot}$ 관리할 수 있는 체계가 정립되어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정보화사업은 계획 ${\cdot}$ 심의 ${\cdot}$ 사업기획 ${\cdot}$ 사업발주 ${\cdot}$ 사업관리 ${\cdot}$ 성과평가 동의 일련의 발주체계의 전문성 미흡으로 발주자의 사업수행상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이를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수주업체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어 발주기관과 수주업체간의 절차상의 문제발생 사업결과에 대한 책임 한계 불분명 둥으로 법적인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국가, 공공기관 등은 모든 사업의 절차가 법과 제도에 근거하여 수행되고 있는데 소프트웨어 등 지식기반사업의 경우에는 법과 제도가 사업의 특성을 반영하지 않아 S/W사업 수행에 어려움이 상존하고 있어, 기술적인 발주 ${\cdot}$ 체계 개선과 더불어 법 ${\cdot}$ 제도의 개선이 요청되고 있다.

  • PDF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of Experts and Preference of Ex-prisoners on Rehabilitation Program in Korea : Application of IPA Method (법무보호사업에 대한 교정전문가의 중요도와 출소자의 선호도 비교연구: IPA기법 적용)

  • Kim, Jeong-Hyeon;Gong, Jung-Si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11
    • /
    • pp.392-400
    • /
    • 2019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recognition of ex-prisoners and experts on rehabilitation programs and family support programs by Korea Rehabilitation Agency, which plays a responsible role in promoting social reintegration. Estimation and comparison method was used to assess between the efficiency and the importance of the rehabilitation business which was respectively recognized by ex-prisoners and exper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ho have received the support from the agency were composed, and the effectiveness was identified. In addition, to measure the importance of the rehabilitation business, a group of experts were made up of professors, the agency employees, and correctional officers with expertise and experience of this field of reintegration and recidivism. Collected data were shown in quadrants by setting preference and importance on each axis through IPA.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ference and importance, and based on this result, the discussion was suggested in relation to the rehabilitation business and family support business.

A study on the Ethic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ervice and Practice of Construction Manager (건설사업관리자의 업무수행에 따른 윤리 특성 고찰)

  • Lee, Sang-Beom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2 no.1
    • /
    • pp.97-106
    • /
    • 2011
  • Construction Management is the overall management of the project as construction manager and the owner are united together. Construction manager's role is to conduct the overall or partial construction administration in the 'design, bid, build' process, in the owner's interests with maintaining technical neutrality. Construction manager is becoming one of new professionals in the building process and the contract defines their roles and the range of services, so high level of ethnics are required. This study suggests the legal status of the construction manager and the ethnic standards and the ethnic's characteristics. In conclusion, firstly,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the administration of construction management are the delegations contract, the responsibility of negligence and the duty of due diligence, abided by the contract that ties between the owner and the construction manger. Secondly, the adminis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management are the role of mediator, the service of professional technology, accountability to the owner and publicness. Thirdly,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as a professional, the standard of ethnic assessment for the construction project manager are intention, act and result, so with the relation to that, morality, deontology and consequentialism have been suggested in this study.

Scientists Behaving Badly, Why? : 연구윤리의 저해요인들

  • Park, Gi-Beom;Kim, Jong-Yeong;Lee, Gwang-Ho
    • 한국과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1-34
    • /
    • 2008
  • 본 인식 조사에서 나타난 결과와 개선 방안의 도출과 관련한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연구부정행위 실태는 우려할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위조, 변조, 표절, 부당한 저자 배분, 업적 부풀림 등 연구부정행위에 대해 연구비 유용이나 횡령보다 훨씬 더 만연한 것으로 응답하였다. 연구부정행위가 발각되는 정도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였으나 처벌의 수위는 엄격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인의 연구윤리 의식이 타인에 비해 높은 것으로 자부하고 있으나 부정행위 인지시의 행동에 대해서는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행동과 자신의 예상 행동 사이에 괴리를 보였고,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행동도 매우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행위 실태 조사에서 나타난 중요한 사실은 주로 기초 연구를 수행하는 과기부/교육부 사업 수행자가 응용이나 개발 연구를 수행하는 산자부/정통부 사업 수행자에 비해 자신의 연구 분야에서 연구부정행위가 훨씬 더 만연해 있는 것으로 응답한 것이다. 둘째, 가장 심각한 연구윤리 저해 요인에 대해서는 단기간 성과의 강조, 연구 수주의 경쟁 심화, 정량적 성과 주의 등을 꼽았으며, 전체적으로 개인적/문화적 요인보다는 구조적/조직적 요인, 특히 구조적 요인이 더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신뢰도 분석 결과 제3장에서의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구조적, 조직적, 개인적, 문화적 요인의 구분은 유효한 구분으로 나타났다. 대학에 비해 정출연 소속 연구자들이 구조적 요인이 연구부정행위와 더 관련이 많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기업 소속 연구자들은 구조적 요인이나 조직적 요인과의 관련성이 더 적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여러 저해 요인들이 대학이나 정출연에 더욱 밀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요인에 대해서는 여성이나 고연령층에서 부정행위와의 관련성을 더 크게 느끼고 있었다. 셋째, 개선 방안에 대해서는 과도한 연구비의 집중 방지, 소규모 개인과제 확대, 평가의 전문성과 공정성 확보를 가장 효과적인 방안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부정행위에 대한 처벌의 강화와 양적 평가의 개선에 대해서도 효과를 높이 기대하고 있었다. 연구윤리 교육이나 상대 평가의 강화, 진실성 검증 시스템의 보완 등에 대해서는 큰 효과를 기대하지 않고 있었으나 이는 국내에서 그동안 연구윤리에 대한 체계적 교육이나 진실성 검증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은 탓에 연구자들이 그 효과를 잘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개선 방안을 크게 평가, 선정, 수행, 연구윤리의 인프라로 구분하였을 때에는 선정과 평가와 관련된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사업별로는 과기부/교육부 사업 수행자가 선정과 관련된 개선의 효과를 더욱 크게 느끼고 있었고 소속기관으로는 대학 연구자들이 더욱 크게 느끼고 있어, 소규모 과제의 확대와 연구비 집중 문제 해결, 경쟁 완화 등이 대학과 기초연구분야에 더욱 절실하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제시된 세부 항목에 대해 과기부/교육부 사업 수행자가 산자부/정통부 사업 수행자보다 효과성을 높게 보고 있는 것은 연구부정행위 실태에 대해서도 더 심각하게 인식하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여러 개선 방안들을 단계적으로 적용한다고 할 때 우선 기초연구나 개인 단위 과제 중심으로 적용하는 것이 효과성이나 필요성의 측면에서 모두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2007년도 민간단체 금연클리닉 사업 평가

  • Lee, Eun-Hui;Kim, Hye-Gyeong;Kim, Hui-Cheol;Hyeon, Seong-Min;Gwon, Eun-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77-77
    • /
    • 2009
  • 한국건강관리협회는 1998년부터 국민건강증진기금의 지원으로 금연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협회에서 실시한 '07년 민간단체 금연클리닉 사업을 대상으로 사업의 효과성을 분석하여 사업의 과학적 근거 확보 및 향후 효과적인 사업 수행방안 마련 등 사업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대상은 2007년 민간단체 금연클리닉에 참여한 군 경, 중소업체 종사자, 운송업체 종사자, 국방부지정부대 참여자, 학교/공공기관 종사자 중 설문조사에 성실하게 응답한 3,170명이다. 민간단체 금연클리닉 사업 효과성 평가 설계는 구조화된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금연클리닉에 참여한 집단만을 대상으로 참여 전(사전조사)과 금연클리닉 종료 후(사후조사)의 조사결과를 비교하는 단일 전후조사 설계(one-group pretest posttest design)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민간단체 금연클리닉 참여자의 하루 평균 흡연량은 15.96개비, 평균 흡연시작연령은 18.59세, 평균 총 흡연기간은 146.39개월로 나타났으며, 참여자의 니코틴 의존도는 평균 3.81점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참여자의 84.5%가 의지로 금연 시도하였으나 실패한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개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참여자들의 상황별 흡연욕구는 높은 수준이었으며, 특히 술자리, 스트레스상황 등 특정 상황에서 흡연욕구가 높게 나타났다. 금연관련 경험요인은 5점 기준 2.84점으로 조사되었으며, 인지적 과정이 행동적 과정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민간단체 금연클리닉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높았으나 상담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았음을 감안할 때, 환경적인 부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금연클리닉의 효과나 만족도 부분에서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므로 참여 대상자의 특성을 감안한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Program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Prototype to Support Urban Regeneration Based on System Requirement Analysis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을 통한 도시재생사업 수행을 지원하는 종합사업관리 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 Yeom, Ji-Woong;Kim, Doo-Whan;Ahn, Byung-Ju;Kim, Ju-Hyung;Kim, Jae-J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9 no.4
    • /
    • pp.85-92
    • /
    • 2009
  •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ve been actively proceeding all over Korea. Urban regeneration has become a critical issue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with environmental-friendly construction and high-rise buildings being emphasized. Because these projectstend to become complex, urban regeneration projects require interest and approach on a level of program management that includes traditional project management. This paper develops aprototype for a new program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of a supports the promo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rough the deduction of the requirements about system. The prototype of the program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includes functions that supply diverse information, support the process and legislation of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manage stakeholders, support decision-making, estimate and manage program risks, and manage the program level.

우리나라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평가지표의 개선에 관한 연구

  • Yang, Hui-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560-563
    • /
    • 2004
  • 기술개발이 국가경쟁력 제고의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됨에 따라 국가차원에서의 연구개발이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어서, 1990년대 이후 우리 정부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을 높이기 위해 연구 평가제도를 꾸준히 정비하여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연구평가와 관련하여 여러 가지의 개선요구가 연구자들로부터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근본적으로 연구평가가 공급자 위주로 이루어지면서 미래지향적이고 효율적인 접근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는 데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여러 정부부처에서 연구평가를 시행하면서 연구과제의 선정단계와 중간평가단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표가 정책 목표에 합목적적이고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실질적인 성과를 제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성격에 따라 학술기초 연구사업, 원천기술 연구사업, 그리고 산업기술 개발사업을 분류된 사업그룹별로 연구의 특성을 반영하는 준거 틀과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지표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아래와 같은 세 가지 유형의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첫째는 연구 성격이나 연구 활동의 수행 단계에 맞지 않는 불필요한 지표들이 활용되고 있는 경우이다. 여기에는 연구수행단계 또는 연구 성격을 감안하여 볼 때 꼭 필요하지 않은 지표임에도 불구하고 채택이 되고 있거나, 하나의 평가지표로 충분히 점검이 가능한데에도 불구하고 유사한 여러 가지의 지표들이 사용되는 경우를 포함하고 있다. 둘째는 지표의 구성에 있어 연구사업의 성공요인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이다. 여기에는 특정한 연구수행단계의 성과를 평가하는데 필요한 지표들이 제외되어 있거나, 연구의 특성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불필요하거나 반복적인 지표가 채택되는 경우를 포함하고 있다. 셋째는 추상적이며 측정이 어려운 지표를 채택하고 있는 경우이다. 여기에는 지표에 대한 정확한 정의가 이루어져 있지 않아 피 평가자가 불필요하거나 과다한 평가 자료를 준비해야 하거나 평가자로 하여금 평가 시 혼돈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거나, 또는 상위개념의 평가항목과 하위개념의 평가항목이 혼재되어 구분이 모호한 경우를 포함하고 있다.

  • PDF

The Case of CM Type Supervision Apartment House Construction Work - Focused on the Case of Baekseok-Cheonan 2BL Construction Work - (공동주택건설공사의 CM형 책임감리 사례 - 천안백석 2BL 아파트건설공사 사례를 중심으로 -)

  • Lee, Kab-W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4.11a
    • /
    • pp.41-48
    • /
    • 2004
  • The objective of the CM model projects is to achieve gradually the development of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with function, effects, problems and improvement which are the results after assessing tills finished project on the basis of CM Plan. The result is very useful of being activated CM and giving good orders continuously. Therefore this study describes work scope, organization, performance and management process for Baekseok-Cheonan 2BL project and picks out practical problems about CM and then suggests CM technical development direction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 PDF

A Study on Efficient Methods of Cadastral Resurvey Responsible Agency Operation (지적재조사 책임수행기관 운영의 효율화 방안 연구)

  • Lee, Jae-Hyuk;Hong, Sung-Eon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20 no.8
    • /
    • pp.33-40
    • /
    • 2022
  • In this study, we tried to suggest a plan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operation after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by selecting case areas operated by the cadastral resurvey responsible agency syste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evaluation of the selection of a cadastral resurvey agency, a method to raise the qualitative evaluation score was suggested. The expansion of support for the cadastral resurvey agency made it possible to automatically connect and install when the LandyGo program is updated, and suggested that prior training should be stipulated in the related regulations. In the performance of cadastral resurvey surveying and division of duties, the installation of temporary boundary monuments and determine boundary monuments should be integrated. And this suggested the direction of conserving the project cost of the cadastral resurvey agency through joint implementation. Also, in the short-term and long-term perspectives, a plan for realization of project cost distribution in connection with the expansion of the entrustment of the cadastral resurvey responsible agency was presented. If the responsible agency system is operated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he project participants and shorten the project period.

History and Present Status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R&D Program in Korea (정보통신분야 연구개발사업의 변천과정 및 추진현황)

  • Lee, Chan-Gu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2 no.6 s.48
    • /
    • pp.110-121
    • /
    • 1997
  • 정보통신연구개발사업은 정부연구개발사업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여 사업의 변천과정이나 추진현황과 같은 기본적인 사항조차도 부정확하게 알려져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1977년 이래에 수행된 정보통신 분야의 연구개발사업의 변천과정을 시대별과 재원별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정보통신연구개발사업"으로 통합된 1993년 이후에는 공공출연 연구개발사업과 정보화촉진기금 융자 연구개발사업의 2개 사업으로 분류하여 추진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정보통신연구개발사업에 대한 기존 연구의 일부 오류를 시정함은 물론 관련 정책결정자나 사업관리자들에게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