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을 통한 도시재생사업 수행을 지원하는 종합사업관리 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Development of Program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Prototype to Support Urban Regeneration Based on System Requirement Analysis

  • 염지웅 (한양대학교 건축환경공학과) ;
  • 김두환 (한양대학교 건축환경공학과) ;
  • 안병주 (전주대학교 건축환경공학과) ;
  • 김주형 (한양대학교 건축환경공학과) ;
  • 김재준 (한양대학교 건축환경공학과)
  • 발행 : 2009.08.20

초록

산업구조의 변화와 무분별한 난개발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는 도시를 새롭게 변화시키는 도시재생사업이 곳곳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재생사업들은 기존의 단일 프로젝트보다는 복합적인 메가 프로젝트의 특성을 띠고 있어서 기존의 프로젝트 위주의 관리보다는 확장된 개념인 프로그램 관리 차원에서의 이해와 접근이 요구되며, 또한 사업 참여자들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며, 이들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 등의 다양한 기능도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도시재생사업 수행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나가기 위해서는 사업의 초기 기획단계에서부터 유지/관리 단계까지의 건설생애주기를 관리하며, 특화된 정보 제공 및 참여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종합사업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도시재생 사업 수행을 지원하는 종합사업관리 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도시재생사업의 특징을 이해하고, 사업에 필요한 각종 요소들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ve been actively proceeding all over Korea. Urban regeneration has become a critical issue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with environmental-friendly construction and high-rise buildings being emphasized. Because these projectstend to become complex, urban regeneration projects require interest and approach on a level of program management that includes traditional project management. This paper develops aprototype for a new program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of a supports the promo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rough the deduction of the requirements about system. The prototype of the program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includes functions that supply diverse information, support the process and legislation of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manage stakeholders, support decision-making, estimate and manage program risks, and manage the program level.

키워드

참고문헌

  1. 권해림 외 2인, 도시재생사업에서 종합사업관리의 필요성,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587-560, 2008. 11
  2. 김세용, 도시재생: 현황과 문제, 건축(대한건축학회지), 제52권 제7호, pp.14-18, 2008. 7
  3. 김주형, 도시재생사업을 지원하는 지능형 종합사업관리 시스템, 건축(대한건축학회지), 제52권 제8호, pp.45-48, 2008. 8
  4. 김진규 외 3인, 국내 PMIS 사례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380-384, 2004. 11
  5. 김진호, PMIS 구축의 저해요인 분석을 통한 PMIS의 효율적인 적용 방안,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2005. 12 https://doi.org/10.5345/JKIC.2005.5.4.107
  6. 김창석, 우리나라 도시재생정책의 현황과 과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특별세미나, pp.1-7, 2008. 11
  7. 박규영 외 1인, 도시재생사업 참여주체별 위험인지 체크리스트 개발,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487-490, 2008. 11
  8. 박지현 외 5인, 공동주택 건축공사의 효율적인 PMIS 운용을 위한 통합 WBS 개발,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801-804, 2007. 11
  9. 배웅규 외6인, 도시재생사업의 현황과 과제, 도시정보(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pp.3-20, 2008.5
  10. 송변관, 건설산업의 PMIS 개발 현황과 발전방안,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03.3
  11. 신승우 외 2인, 도시재생 개발사업의 의사결정 거버넌스 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253-257, 2008. 11
  12. 유영정 외 1인, 도시재생사업 성과지표와 위험요인 연계 방안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497-500, 2008. 11
  13. 이수호 외 2인,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재정비촉진지구의 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게획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2008. 11
  14. 이슬기 외 2인, 도시재생사업에서의 Stakeholder Management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868, 2008. 11
  15. 임자영 외 4인, 도시재정비사업에서 발생하는 갈등의 법제도적 개선 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631-634, 2008. 11
  16. 전의경 외 1인, 적용사례 분석에 의한 PMIS 개선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전국대학생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152-155, 2006. 11
  17. 조동현 외 3인, 메가프로젝트 기본설계단계의 Master Architect 의사결정지원 도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213-216, 2008.11
  18. 조진 외 1인, PMIS 활용현황을 통한 개선방향, 한국건설관리학회 전국대학생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176-179, 2006.11
  19. 주덕종 외 2인, PMIS 적용사례분석 및 발전방안, 대한건축학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240-243, 2005. 11
  20. 최민기 외 3인,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정보시스템 구축 개념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pp.339-346, 2008. 11

피인용 문헌

  1.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Korea vol.29, pp.7, 2011, https://doi.org/10.1016/j.ijproman.2010.09.001
  2. Implementation of a Research Task Management System for Support Smart Work Considering Web Accessibility vol.13, pp.9,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9.039
  3. Investigating the Impacts of the Quality of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on Project Performance and User Satisfaction vol.41, pp.3, 2018, https://doi.org/10.11627/jkise.2018.41.3.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