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업관리정보시스템

Search Result 973, Processing Time 0.05 seconds

Wiki-based Interactive Electronic Technical Manuals (IETM) for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 Through a Case Study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iki기반 건설 사업관리 전자매뉴얼 : 도시환경정비사업 사례연구를 통해)

  • Park, Moon-Seo;Kang, Sung-Hoon;Lee, Hyun-So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1 no.3
    • /
    • pp.3-12
    • /
    • 2010
  • Recently, workers on construction sites can hardly understand their tasks and the process of the tasks because the construction projects are becoming large and complex. Due to the complexity, workers need a tool that can help them understand their works and some paper-based manuals exist to support them. However, the existing paperbased manuals are not actively used by workers due to the low credibility of information on the manual. In particular, paper-based manual can not be updated frequently because those manuals have to be manually updated by experts. Thus, the credibility of information is decreased and the decrease let the users distrust information of the paper-based manual. Therefore, this research analyzed the feature of wiki-based system and suggested an wiki-based IETM(Interactive Electronic Technical Manual) system model that can be modified by users, and then conducted a survey through a prototype based on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 result of the survey indicated that wikibased IETM can improve the stakeholder communication by reinforcing the process of creating knowledge as well as knowledge itself.

Method of Transparency Guarantee for Compensation Budget expenditure using Connection of Construction CALS and dBrain (건설CALS와 국가재정정보시스템 연계를 통한 보상비 집행의 투명성 확보 방안)

  • Seo, Myoung-Bae;Kim, Nam-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608-1609
    • /
    • 2011
  • 국토해양부에서는 건설사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건설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건설기술관리법 제15조의 2에 따라 건설공사지원통합정보체계의 구성.운영에 관한 법률을 마련하고 1998년부터 건설사업정보화(Continuous Acquisition Life-Cycle Support : CALS)를 추진중에 있다. 건설사업정보화의 일환으로 건설공사비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개인의 소유권과 관계되어 있어 민원 소지가 많은 보상자료를 관리하기 위해 용지보상시스템이 기 개발되어 운영중에 있으나 보상비 지출의 핵심과정인 지급단계가 국가재정정보시스템과 별도로 운영중에 있어 체계적인 보상자료 관리 및 보상비 지급의 이력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 지고 있지 않다. 이는 곧 부적절한 보상비 집행으로 인한 국고예산 낭비의 소지가 있고 보상비 집행에 대한 대민 신뢰도 저하로 인해 다수의 소송으로 이어질수 있다. 이에 기존의 보상비 집행업무 프로세스 개선 및 건설CALS 용지보상시스템과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의 연계를 통해 보상비 집행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민원인들에게 대민행정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 Mobile Application Plan of The Construction CALS (건설사업정보시스템의 모바일 기술 적용 방안)

  • Ok, Hyun;Kim, Young-Jin;Yang, Sung-Hoon;Kim, Jin-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7a
    • /
    • pp.415-41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ICT 기술특성을 건설 전 생애주기에 걸쳐 활용하여 미래 건설 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실시간 현장 업무를 지원할 수 있도록 건설사업정보시스템(CALS)의 하위 업무시스템인 건설사업관리시스템,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 건설인허가시스템, 용지보상시스템에 모바일 기술을 적용하는 스마트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Risk Management System Design for Public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공공부문 정보화 사업을 위한 위험관리 시스템 설계)

  • Lee, In-Pyo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292-295
    • /
    • 2008
  • 본 연구는 공공부문의 정보화사업 추진 시 발생되는 다양한 위험에 대해 발주자 입장의 의사결정자, 관리자 및 개발자 등의 세분화된 관점을 정의한다. 이를 기반으로 위험식별과 위험대응, 위험대응과 정보축적을 하나의 흐름으로 관리하여 고품질의 정보가 축적되고 정보 그 자체가 자산화 되어 재활용되는 폐루프 시스템(Closed Loop System)을 구축함으로써, 정보화 사업에 발생되는 많은 위험 요인을 효과적으로 식별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정보인프라를 구축하고 축적 및 공유하여 많은 위험요인에 대해 제한된 정보자원으로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한 정보화 사업에서의 위험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Ethereum-based deliverables management system design for public information software project (이더리움 기반 공공정보 소프트웨어 사업산출물 관리 시스템 설계)

  • Lee, Eun Ju;Kim, Jin 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337-340
    • /
    • 2021
  • 공공정보 소프트웨어(SW) 사업에서 프로젝트관리 방법론의 요구 산출물과 개발 산출물이 일치하지 않아 산출물의 누락이 발생하며, 대금 지급을 위한 별도의 프로세스를 진행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더리움의 스마트 콘트랙트를 활용하여 이더리움 기반 공공정보 소프트웨어 사업산출물 관리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발주사의 요청에 따라 수행사가 등록한 산출물을 해시값으로 관리하여 산출물의 누락을 최소화하고, 요청된 모든 산출물이 승인되면 자동으로 수행사에 대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Applications Using Smartphone Study of the Levee Inquiry System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제방조회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 Kang, Kyung-Seok;Park, Ki-C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22-626
    • /
    • 2012
  • 우리나라의 물관련 정보와 관련된 시스템은 국토해양부 및 관련 기관에서 다양하고 폭넓게 고유의 업무성격에 맞춰 구축 및 운영, 개발 중에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들은 치수, 이수, 환경 및 생태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치수적 측면에서 제방관리를 위한 다양하고 구체적인 정보취득이 어렵고 기구축된 시스템의 DB간 상호 연계가 어려운 실정이다. 현재 IT 산업의 급격한 발전으로 다양한 분야에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수자원분야의 정보화 환경에 도움을 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방관리를 위한 도구로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고자 한다. 국내에서 수행하고 있는 사업인 하천일람의 "하천이력관리체계", 유역조사사업의 "WAMIS", 하천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RIMGIS"의 관련자료를 분석함으로서 제방제원 및 관리정보의 DB를 구축하고 어플리케이션에 활용한다. 제방 명칭, 행정구역별, 하천별, 수자원단위지도별 조회가 가능하도록 하여 국가홍수관리시스템 구축 및 대국민정보제공 활용 및 관리기술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Project Management System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 Park, Koo-Rac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1
    • /
    • pp.305-311
    • /
    • 2015
  • Nowadays, because IT market expansion and complexity has been progressing and competition has intensified, there is a growth of information system building industries having difficulty through traditional business management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site personnel (Project Manager PM and Project Participants) to generate an institutional framework to efficiently manage this and project management process support. Through this, the importance of element technology and fragility of software development project management must be understood and an improvement of the element technology must be generated. By using this, a very relevant result that presented a logical basis was obtained in the decision making of the importance of project management and the role of overall project manager and core project management fields.

A study on R&D project evaluation system for enhanching work effectiveness (업무효율 향상을 위한 연구개발사업 평가관리시스템 구현)

  • Ryu, Jee-woong;Song, Jong-chul;Moon, Byung-joo;Jung, Hoe-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2.10a
    • /
    • pp.515-517
    • /
    • 2012
  • The importance of R&D project to enhanc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continuously increase. So, it is the most important point that is evaluating the outcome and the utilizability of the project. And we need the system that can manage the evaluation of the project. In this paper, I want to discuss about the way of process management that is the evaluation of the R&D project using a system.

  • PDF

차세대 VTS 클라우드 통합운영 관리 시스템 개발

  • 유경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36-38
    • /
    • 2022
  • 차세대 VTS 통합 플랫폼 개발 연구사업은 클라우드 기반의 플랫폼 구축을 통해 해상교통관제센터에서 수집한 관제정보를 중앙에서 통합하여 관제 및 유관 기관에 선박교통 안전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연구에 구축될 IaaS 클라우드 플랫폼을 쉽고 효율적이며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통합운영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며 연구과제 특성 및 요구사항 분석을 통해 최적화된 통합운영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Design of Activity Based Costing Management System in Home Care (가정간호사업의 활동기준원가관리시스템 설계)

  • 이수정;임정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427-429
    • /
    • 2004
  • 진료 및 간호서비스는 다른 제조업과는 달리 무형의 서비스에 대한 간접비의 비율이 두드러지는 특성을 지니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의료기관의 전략적 계획수립, 수익성 분석, 경제성 분석, 의료서비스 제공의 질 관리 등의 의사결정에 적극 활용되어야 하는 원가 분석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전문 간호 분야인 가정간호는 1회 방문 시에 다양한 활동들이 모여서 가정간호서비스가 수행되므로 가정간호의 원가분석에는 각 행위들이 모인 활동에 대한 분석에 근거한 정확한 원가 정보가 요구되고 있다. 활동기준원가의 기본 요소는 자원, 활동, 자원 동인, 활동 동인, 원가 대상이며 이에 따라 가정간호사업에서 활동기준원가의 각 요소를 정의하고 전통적 원가 계산이 아닌 활동을 중심으로 가정간호사업의 업무 알고리즘을 분석하여 활동기준원가관리시스템을 설계한다. 가정간호사업의 활동기준원가관리시스템은 가정간호의 효율적 운영과 의료기관의 경영 개선과 항께 실질적 원가계산을 통해 정부가 건강 보험 수가를 결정하고, 보험 수가의 적절성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