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생활보호

Search Result 18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o Protect the Client's Location Self Privacy Protection Range (클라이언트의 위치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자기 사생활 보호 영역)

  • Song, Doohee;Park, Kwa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758-760
    • /
    • 2013
  • 위치기반 서비스에 관련된 기술 연구가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가 위치기반 앱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위치기반 앱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정보가 노출될 확률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는 개인의 위치 정보를 보호하면서도 서버의 작업 부하를 줄일 수 있는 self-Privacy Protection Range (self-PR)을 제안한다. Self-PR은 클라이언트의 조건(ex. 배터리 상태, 모바일 기기의 성능 등)에 따라 보호 영역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상적인 질의처리가 가능하다. 반면에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self-PR이 증가할수록 서버는 데이터 탐색 경로가 짧아지기 때문에 작업부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self-PR 확인하고 질의 결과를 전송하기 때문에 정확한 질의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Implement Image Logging Server for Web Forensics (웹 포렌식을 위한 이미지 로깅 서버 구현)

  • Seung-hee Yoo;Dong-sub C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1138-1141
    • /
    • 2008
  • 현재 컴퓨터와 인터넷, 정보기술의 발전은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가져다 주었으나, 사이버 범죄라는 새로운 역기능을 가지게 되었다. 결국 이는 특정 목적을 가진 범죄자를 낳게되고 정보화 사회의 발전을 저해하는 커다란 걸림돌로 작용하게 되었으며, 이에 대응하는 정보보호기술은 개인의 사생활 보호와 국가 경쟁력을 판단하는 척도로 자리잡게 되었고, 현대에는 정보보호 기술 자체가 국가 간 정보전 형태를 띠면서 그 중요성은 매우 커지고 있다. 이러한 정보보호 기술은 방화벽과 침입탐지 시스템의 꾸준한 개발로 이어졌으나, 아직 컴퓨터 범죄를 다루는 피해 시스템의 증거수집, 복구 및 분석을 하는 컴퓨터 포렌식 기술은 아직 활발히 연구되지는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로그파일이 기록되는 시간의 웹 URL 페이지 이미지를 저장하여 이미지 로그파일을 만드는 멀티 쓰레드 TCP 서버를 구현하여 컴퓨터 사이버범죄에 대한 증거자료로서 디지털 포렌식인 이미지 로그파일을 제안하여 보았다.

Improvement Proposals for Biometric Information Protection Guideline based on the Analysis of Global Bio Information Privacy Issues (글로벌 바이오정보 프라이버시 논점 분석을 기반으로 한 바이오정보 보호 가이드라인 개선 방안)

  • Jung, Boo-geum;Kwon, Hun-yeong;Park, Hea-sook;Lim, Jong-in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8 no.3
    • /
    • pp.87-94
    • /
    • 2018
  • Privacy means the right not to interfere with the private life of an individual. Bio data is the most private personal information about the person itself, and according to advancement of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analyze and judge individual as well as identify individual.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s based on global privacy principles, but the legislation for the protection of bio information has yet to be enacted. Therefore, it is time to protect biometric data as more sensitive information than general personal information. We will review the global privacy discussions for protect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propose additional privacy principles and measures for utilization that should be defined in the biometric information protection guideline.

  • PDF

A study on a curriculum for information protection specialty manpower training (정보보호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모델에 관한 연구)

  • Lee, Moon-Ku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Industry Society
    • /
    • v.5 no.8
    • /
    • pp.811-818
    • /
    • 2004
  • The spreading of internet, combined with the computerization of industry and the life whole has created an incereased demand on the private life protection and information portection, but due to the lack of specialty manpower on the information protection industry fiel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Therefore, in this paper a curriculum for an information protection specialty manpower training is proposed. The proposed curriculum indispensability 1,2 and classified with a selection 1,2 and classified with a selection 1,2. The information protection application field into 9 segments of domains, and to carry out the curriculum in a ring structure. The curriculum based on the information security field's 9 domains and related field practical business, and the course offered after graduation to deepen the specialty, need to be carried out by each domain in order to continuously carry out the information security deepening process.

  • PDF

Information Security Policy in Ubiquitous-Ecological City (u-Eco City에서의 정보보호 정책)

  • Jang, Hee-Seon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2 no.1
    • /
    • pp.43-48
    • /
    • 2012
  • In this paper, the requirements for information security are presented in the ubiquitous ecological(u-Eco) city. The various definition of ubiquitous city is analyzed first, the concept of the u-Eco City, services and major projects are then presented. The framework of the integrated operating center for u-Eco city is proposed, the privacy, data security and network facility protection in the center are analyzed. Unlike to previously proposed security algorithms, the light-weight encoding algorithms(such as block/stream encoding, pseudo-random generator, hash function, and public key encoding) in the u-Eco city center are required to communicate the information in the ubiquitous sensor network. Furthermore, the principal policies guaranteeing the secrecy and authentication for the private information are also presented.

Applied to Privacy Information Access Control Mechanism in Ubiquitous Environments (유비쿼터스 환경내의 개인정보 접근통제 메커니즘 작용 방안)

  • Hong Seng-Phil;Jang Hyun-M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6.06a
    • /
    • pp.627-630
    • /
    • 2006
  • 정보사회에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IT관련 기술의 빠른 증가와 더불어 유비쿼터스 환경의 연구 또한 점점 가시화 되어 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웹 기반의 분산 컴퓨팅 환경 내에서 관련 정보들의 수집, 보관, 공유, 이동이 활발해지면서, 개인정보의 불법적 유출, 남용에 따른 사생활 침해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 내에서의 신뢰할 수 있는 개인정보 아키텍처를 구현하기 위한 3단계의 개인정보 보호 메커니즘/통합사용자 인증 메커니즘 CAM(Consolidated Authentication Mechanism), 개인정보정책 메커니즘 PPM(Privacy Policy Mechanism), 개인정보 통제 메커니즘 OCM(Output Control Mechanism)을 제시하였다. 또한 사용자에게 개인정보 사용시 정보의 중요도에 따른 "알림(Notice)" 기능을 웹 브라우저 내 개인정보 적용 기술(P3P)과 연동하여 제공하고, 접근 제어하는 기술적 적용 방안을 소개함으로써 개인 정보의 연동시 오 남용 방지 방안과 시스템 환경 내 실용 가능성(feasibility)을 소개하였다.

  • PDF

Information Security Strategy for Secure u-Korea – "Security Belt" (안전한 u-Korea 실현을 위한 정보화 역기능 방지 대책 – "Security Belt")

  • Cho, B.C.;Kim, K.S.;Seo, D.I.;Jang, J.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0 no.2 s.92
    • /
    • pp.93-102
    • /
    • 2005
  • 유비쿼터스 코리아(u-Korea) 기본전략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정치. 사회. 문화. 의료. 복지. 교육. 노동. 외교 등 사회 전반에 걸친 생활문화 혁명이 실현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시점에서 정보보호는 u-Korea 실현의 중요한 핵심 엔진 기술로써u-Korea 전략 추진의 주요한 장애 요인으로 예상되는 사생활 문제와 지역 간. 계층간 정보격차 문제 등의 정보화 역기능을 해소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본 고에서는 정통부가 추진하고자 하는 u-Korea 기본 전략에 대해서 살펴보고, 안전한 u-Korea 실현을 위해서 구체적인 정보화 역기능 방지 대책을 제안한다. 특히, BcN 인프라 보호 기술, RFID/USN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WiBro 및 DMB 등에서 사용되는 복합단말기용 통합 인증. 인가 기술, 안전한 사용자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사용의 익명성과 서비스 관리의 실명성이 제공되는 보안위임서비스 기술 등으로 형성되는 “Security Belt” 정보화 역기능 방지 대책에 대해서 소개한다.

A Study on the Design Model of the Key Escrow System (키 위탁 시스템 설계 모델에 관한 연구)

  • 채승철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10 no.1
    • /
    • pp.99-110
    • /
    • 2000
  • 암호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정보는 키 정보이다. 키가 손상되거나 유실되면 모든정보가 유실되기 때문이다. 키 위탁 시스템이란 유사시의 상황에 대비해서 키를 특정한 위탁기관에 위탁함으로써 정보를 암호의 오용이나 키의 분실로부터 보호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키 위탁 시스템은 유사시에 확실하게 키를 복원할 수 있어야 하며, 동시에 복구 정보의 안전한 보관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위탁 시스템으로 인해 사생활이 침해되지 않는 것 또한 중요하다. 이러한 요구사항들은 서로 상충되는 점이 있기 때문에 모든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키 위탁 시스템을 설계하기는 매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키 위탁 시스템 설계시에 고려해야 할 요소를 도출하고, 키 위탁 시스템 설계 및 분석을 위한 모델을 제안한다. 이 모델은 정의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키 복구 시스템을 설계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미 제안된 키 복구 시스템을 분석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Analysis of Security Threats and Security Requirements of the Wallpad (월패드 보안 위협 및 보안 요구사항 분석)

  • Lee, Junkwon;Sim, Siyeon;Lee, Jaehyuk;Lee, Kyungro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255-256
    • /
    • 2022
  •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하여, 스마트홈과 같은 IT 기술이 융합된 시스템이 등장하였지만, 이러한 시스템으로 인한 사생활 침해와 같은 보안사고가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보안사고에 대응하기 위하여, 스마트홈을 구성하는 다양한 기기에 대한 보안위협을 분석하고, 이러한 보안위협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보안 요구사항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홈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기기 중 하나인 월패드를 대상으로, 기술적 및 정책적인 측면에서의 보안 위협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는 보안 요구사항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결과를 통하여, 제안한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안전성이 향상된 월패드를 설계하여 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onymity Personal Information Secure Method in Big Data environment (빅데이터 환경에서 개인정보 익명화를 통한 보호 방안)

  • Hong, Sunghyuck;Park, Sang-Hee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8 no.1
    • /
    • pp.179-185
    • /
    • 2018
  • Big Data is strictly positioning one of method to deal with problems faced with mankind, not an icon of revolution in future anymore. Application of Big Data and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have contradictoriness. When we weight more to usage of Big Data, someone's privacy is necessarily invaded. otherwise, we care more about keeping safe of individual information, only low-level of research using Big Data can be used to accomplish public purpose.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 to anonymize Big Data colle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and utilize Big Data and protect personal. This will solve the problem of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as well as utilizing Big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