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생관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7초

사생관 척도의 개발 (A Study on Development of a View of Life and Death Scale)

  • 이누미야 요시유키;한성열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0권1호
    • /
    • pp.31-8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청년기 사생관의 전체적 구조를 밝히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즉, 자살, 임신중절, 장기기증 등의 청년기와 관련이 깊은 생명윤리문제에 대한 태도는 죽음에 대한 태도와 그 배경에 있는 내세관의 영향을 받아 형성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이들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밝혀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종합적인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우선 선행 연구들에 대한 검토 결과를 토대로 하여 종합적인 새로운 사생관 척도 제작을 시도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내세관 특성(내세지향성, 현세회귀성), 죽음의 의미(해방, 자연, 집대성, 좌절, 충격, 허무), 죽음불안, 죽음관여도(죽음수용, 죽음관심), 생명존중의지(자살억제의지, 중절억제의지, 장기기증의도) 등의 개념적 정의 및 조작적 정의를 재정립하였다. 이로써 개인이 가지고 있는 사생관을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으며 사생관의 내부구조를 밝힐 수 있는 도구가 마련된 것이다. 또한 그 동안 일부 요소(예컨대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등)와의 관계만이 연구가 가능했던 정신건강이나 심리적 적응 및 심리 사회적 발달과 죽음에 대한 태도의 관계를 사생관 전반에 걸쳐서 보다 체계적으로 검토할 수 있게 되었다.

  • PDF

한국인의 사생관에 대한 실증적 조사 연구 (Koreans' Views of Life and Death: Results from National Representative Sample Survey)

  • 박재현;김석호;이민아;심은정;정혜주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2권3호
    • /
    • pp.95-121
    • /
    • 2011
  • 본 연구는 한국인이 가지고 있는 사생관의 정도를 실증적으로 탐색하고, 사생관의 주요 차원들인 내세관,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자살억제의지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제시하며, 사생관의 각 차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18세 이상의 남녀를 대상으로 수집된 2009년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여성이 남성보다 내세지향성과 죽음관여도가 높았다. 둘째, 연령은 현세회귀성,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자살억제의지 등 내세지향성을 제외한 모든 사생관 항목에 영향을 미쳤다. 즉 연령이 높아질수록 현세회귀성과 죽음불안은 낮아지는 반면, 죽음관여도와 자살억제의지는 높아진다. 셋째, 한국인의 사생관의 형성과 가장 밀접히 관련이 있는 요인은 종교이다. 불교를 믿는 사람은 현세회귀성이 높고 개신교를 믿는 사람은 현세회귀성이 낮았다. 내세지향성과 관련해, 종교를 가진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은 내세지향성을 보였다. 특히 개신교를 믿는 사람들의 내세지향성이 두드러진다. 또한 개신교를 믿는 사람들은 높은 죽음불안 수준도 가지고 있었다. 넷째, 행복감과 사회적 관계는 죽음관여도와 자살억제의지에만 영향을 미쳤다. 즉 행복하다고 자주 느끼고 풍부한 사회적 연결망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일수록 죽음에 대해 덜 생각하고 자살의 위험에 덜 노출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마지막으로 향후 죽음이라는 개인적이면서 동시에 사회적인 현상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생관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접근과 타당화된 도구의 개발을 통해 사생관차원간의 인과적인 관계를 밝혀낼 수 있는 연구설계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 PDF

불교의 사생관과 생명윤리 - 사신(捨身)과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 윤종갑
    • 철학연구
    • /
    • 제105권
    • /
    • pp.27-47
    • /
    • 2008
  • 불살생계를 제1계율로 내세우는 불교는 기본적으로 생명을 해치는 그 어떠한 행위도 용납하지 않는다. 따라서 원칙적인 입장에서는 사신(捨身) 행위에 해당하는 뇌사와 장기이식 등에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한다. 그러나 현실적인 측면[적용의 융통주의]을 고려하면서도 본질적인 측면[원칙주의]을 간과하지 않는 불교의 자비와 중도주의적인 입장에 따른다면, 특수한 경우에 한해서 뇌사와 장기이식을 고려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불교는 뇌사와 장기이식을 기본적으로 인정하지는 않지만, 자비의 원칙에 따라 어떤 상황에서는 엄격한 규제를 통한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뇌사와 장기이식을 허용할 수도 있다는 중도적인 입장을 취한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인의 자살시도의 위험 요인: 자살관(自殺觀)과 사생관(死生觀)을 중심으로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Attempts in Korea: Exploring the Links with the Views on Suicide, Death, and Life)

  • 김준홍;정영일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09-123
    • /
    • 201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views on suicide, death, and life and lifetime suicidal attempts in the Korean context. Method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tested using data from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of 2009. We utilized the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data obtained via multistage stratified area probability sampling design from 1,599 respondents aged ${\geq}18$ years. Results: The proportion of lifetime suicidal attempts was 12.1% of entire sample in Korea. Some components of views on suicide and death influenced significantly on lifetime suicidal attempts after adjusting for demographic and health-related factors. The positive view on suicide(OR=0.76, 95% CI: 0.62-0.94), the naturalistic view on afterlife(OR=0.37, 95% CI: 0.67-0.99) and death concern(OR=0.67, 95% CI: 0.55-0.83) were risk factors of lifetime suicidal attempts. In contrast, the social responsibility view on suicide(OR=1.17, 95% CI: 1.00-1.37) and the transcendental view on afterlife(OR=1.25, 95% CI: 1.02-1.54) lowered the risk. Conclusions: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exploring policy evidences to screen high risk groups out and to reframe educational programs for suicide prevention. Strategic health messages need to be developed and transmitted for prevention of suicide.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의미,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및 생명존중의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Death, Death Anxiety, Death Concern and Respect for Life)

  • 강정화;한숙정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6권2호
    • /
    • pp.80-89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의미,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및 생명존중의지에 대해 조사하여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인식확립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수도권 소재 10개 종합병원 중환자실 근무 간호사 중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서면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2009년 11월부터 2010년 2월까지 3개월간 자료를 수집하여 최종 23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Inumiya(2002)가 개발한 사생관척도 중 죽음의미,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생명존중의 4개요인 총 6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ANOVA, Pearson's 상관계수를 확인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죽음의미 이해 정도는 7점 만점에 평균 4.27점이었고, 죽음의 긍정적 의미(평균 4.18점)보다 부정적 의미(평균 4.38점)에 대한 이해가 더 높았다. 죽음불안은 평균 4.43점, 죽음관여도는 평균 4.12점, 생명존중의지는 평균 4.18점이었다. 죽음의미는 죽음불안, 죽음관여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죽음의 긍정적 의미와 부정적 의미, 생명존중의지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죽음불안은 죽음관여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생명존중의지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죽음관여도는 생명존중의지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 중환자실 신규간호사는 경력간호사에 비해 죽음의미 이해 정도가 낮고, 죽음불안과 죽음관여도가 높으며 생명존중의지가 낮으므로, 죽음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정립하여 임종환자 및 가족을 간호하는 역할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기숙사 관리 자동화를 위한 무선 관리 시스템 (Wireless Processing System for Automatic Management of Dormitory)

  • 박선호;신헌수;오정훈;이현관;엄기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B
    • /
    • pp.842-845
    • /
    • 2008
  • 본 논문은 RFID 시스템을 이용하여 기숙사 사생의 인적 정보 관리, 출입관리, 식당 이용 관리 등의 기능을 가지는 기숙사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숙사 관리 시스템은 RFID 하드웨어 시스템과 미들웨어, 응용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RFID 하드웨어 시스템은 근접 거리에 적합한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미들웨어는 RFID 하드웨어 시스템의 입력 값을 RS-232c 통신방식으로 받아들여 응용프로그램을 전달하며, 응용프로그램은 RFID의 고유한 태그 값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처리한다. 제안하는 기숙사 관리 시스템을 설계 제작하여 대덕대학 생활관에 설치하여 실험한 결과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 PDF

농촌지역 대사증후군 위험집단의 질병에 대한 지식, 인지도 및 생활습관 관련 건강 행위 (Knowledge, Perception and Health Behavior about Metabolic Syndrome for an at Risk Group in a Rural Community Area)

  • 오의금;방소연;현사생;추상희;전용관;강명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790-800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knowledge, perception and health behavior about metabolic syndrome for an at risk group in a rural community area. Method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used. A total of 575 adults with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dyslipidemia, and/or abdominal obesity were recruited from 11 rural community health care center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Anthropometric measures were measured and blood data was reviewed from the health record. Results: Knowledge about the metabolic syndrome was low as evidenced by only a 47% correct answer rate. Only 9% of the subjects ever heard about the disease, and 87% answered they do not know the disease at all. 87% of the subjects were not performing regular exercise, 31% drank alcohol more than once a month, 12.5% were current smokers, and 33.6% are did not have a regular health check-up. Conclusion: Development of systematic public health care programs are needed to prevent future increases in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and to decrease health care costs. These might include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primary health care provider and an at risk group, a therapeutic lifestyle modification program, and a health screening program to identify potential groups.

표암 강세황의 묵란화 연구 (A Study on the Gang Sehwang's Ink Orchid Painting)

  • 강영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1호
    • /
    • pp.102-123
    • /
    • 2013
  • 표암 강세황(1713~1791)은 그림이나 글씨 시 제발 인장뿐만 아니라 탁월한 서화감식과 비평으로 조선 후기 회화의 큰 흐름을 주도했던 대표적인 문인서화가이다. 그는 79세의 장수를 누리며 다양한 화목(畵目)의 작품을 제작했는데 특히 말년에 천착했던 문인화류의 사군자화는 조선 말기 묵란화 유행의 바탕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그는 조선시대 화가 중 처음으로 사군자화를 갖추어 그렸는데, 작품량이 많고 회화사적 연구 가치가 있는 '묵란화(墨蘭畵)'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이 논문은 강세황의 묵란화에 대한 기록과 작품 연구를 통해 그의 묵란화 인식과 지향을 살피고자 시도되었다. 먼저 강세황의 묵란화 기록에는 사생(寫生)과 고화(古畵)의 연습, 화보(畵譜)의 임방을 고루 중시했던 그의 작화태도가 나타나 주목된다. 18세기 예림의 종장 강세황은 고인(古人)의 뜻과 정신이 집약된 고화의 임방(臨倣)을 중시했으며 그림을 '우의(寓意)'와 '재도(載道)' 등의 수단으로 인식했다. 즉 그의 지속적인 화보임방의 작화방식에서 수기적(修己的) 가치관과 회화관을 읽을 수 있다. 다음으로 그의 이런 회화관이 녹아 있는 묵란화는 양식적 분석을 통해 30~40대의 전반기와 절필기를 끝내고 군자화에 몰두했던 60대~79세인 후반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는 전반기에 "개자원화전"을 주로 학습하였고, 후반기에는 "십죽재서화보"나 "매죽난국사보" 등의 화보를 학화(學畵)하였다. 때문에 전체적으로 그의 묵란화는 전시기(全時期) 화보 의탁이 농후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묵란화를 다작했던 70대는 화보의 의고와 임방을 주지하면서도, 그것을 능숙하게 소화해 고아하고 단아한 '표암난'을 완성하여 조선 후기 묵란화 발전에 일조하였다. 마지막으로 강세황의 묵란화풍과 관련 있는 당시(當時) 화가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서화합벽첩을 만들며 서화로 교유했던 심사정이나 최북의 묵란화풍에서 강세황의 영향이 감지되어 앞서 언급한 문인들의 상찬과 아울러 18세기 조선 화단에서의 강세황 묵란화에 대한 위상을 짐작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