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k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Attempts in Korea: Exploring the Links with the Views on Suicide, Death, and Life

한국인의 자살시도의 위험 요인: 자살관(自殺觀)과 사생관(死生觀)을 중심으로

  • Kim, Jun-Hong (School of Media and Communication, Korea University) ;
  • Jung, Young-Il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1.05.12
  • Accepted : 2011.06.23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views on suicide, death, and life and lifetime suicidal attempts in the Korean context. Method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tested using data from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of 2009. We utilized the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data obtained via multistage stratified area probability sampling design from 1,599 respondents aged ${\geq}18$ years. Results: The proportion of lifetime suicidal attempts was 12.1% of entire sample in Korea. Some components of views on suicide and death influenced significantly on lifetime suicidal attempts after adjusting for demographic and health-related factors. The positive view on suicide(OR=0.76, 95% CI: 0.62-0.94), the naturalistic view on afterlife(OR=0.37, 95% CI: 0.67-0.99) and death concern(OR=0.67, 95% CI: 0.55-0.83) were risk factors of lifetime suicidal attempts. In contrast, the social responsibility view on suicide(OR=1.17, 95% CI: 1.00-1.37) and the transcendental view on afterlife(OR=1.25, 95% CI: 1.02-1.54) lowered the risk. Conclusions: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exploring policy evidences to screen high risk groups out and to reframe educational programs for suicide prevention. Strategic health messages need to be developed and transmitted for prevention of suicide.

Keywords

References

  1. 강상경. 우울이 자살을 예측하는가?: 우울과 자살태도 관계의 성별․연령 차이. 사회복지연구 2010;41(2):67-100.
  2. 김광기. 사회는 무엇으로 사는가?: 뒤르켐 & 베버. 김영사, 2007.
  3. 김병섭. 편견과 오류 줄이기. 제2판. 법문사, 2010.
  4. 김병철. 한국 언론의 자살 보도에 관한 코퍼스 언어학적 분석: 신문과 텔레비전 방송을 중심으로.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2007;8:252-276.
  5. 김순귀, 정동빈, 박영술. SPSS를 활용한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이해와 응용. 한나래, 2009.
  6. 김연종. 자살보도 권고기준과 한국 신문의 자살보도 행태 분석. 한국언론학보 2005;49(6):140-165.
  7. 김왕배. 자살과 해체사회. 정신문화연구 2010;33(2):195-222.
  8. 김종오, 이대성. 자살과 경찰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009;36:61-89.
  9. 김지현. 노년기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죽음 대처 유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성격 2010;24(1):11-27.
  10. 김효창. 자살: 문화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조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2010;16(2):165-178.
  11. 나경수. 생사관으로 본 진도의 민속. 전남대학교 아시아문화 원형연구사업단 편. 동아시아의 생사관. 광주: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9. 쪽 273-292.
  12. 남재일. 한국신문의 자살보도의 담론적 성격: 동아일보와 한겨레신문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2010;10(3):191-224.
  13. 박재영, 문기태, 채유미, 정상혁. 인구사회적 요인, 암, 일부 정신질환 등이 자살에 미치는 영향: 성별, 연령별 분석. 예방의학회지 2008;41(1):51-60.
  14. 박형민. 자살, 차악의 선택. 이학사, 2010.
  15. 배영기. 죽음에 대한 문화적 이해. 한국학술정보, 2006.
  16. 보건복지부. 자살예방 5개년 종합대책. 보건복지부, 2005.
  17. 서동우. 자살에 의한 사망, 자살행동 및 자살생각의 현황과 변화추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1;21(1):106-125.
  18. 유정균. 노인자살률의 지역별 편차: 가족불안정성의 영향을 중심으로, 1995-2005. 한국인구학 2008;31(2):21-44.
  19. 이기원, 현명호, 이수진. 자살하지 않는 이유 척도(The Reasons for Living Inventory)의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10;15(2):227-242.
  20. 이누미야 요시유키, 한성열. 사생관 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2004;10(1): 31-82.
  21. 이명수 외 7명. 자살 고위험군에 대한 대상별 사례관리 표준 개발. 건강증진연구사업 정책 2009;09-11.
  22. 이민아, 김석호, 박재현, 심은정. 사회적 관계 내 자살경험과 가족이 자살생각 및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2010;33(2):61-84.
  23. 이옥희, 나경수. 민요를 통해서 본 한국인의 생사관. 전남대학교 아시아문화원형연구사업단 편. 동아시아의 생사관. 광주: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9. 쪽 361-399.
  24. 이은봉. 한국인의 죽음관.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25. 이혜선, 권정혜. 군 자살 예방프로그램의 효과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10;22(3):653-672.
  26. 이훈영. 이훈영교수의 연구조사방법론. 도서출판 청람, 2008.
  27. 정익중, 박재연, 김은영. 학교청소년과 학교밖 청소년의 자살 생각과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010;34(4):222-251.
  28. 진영아, 양회석. 신화에 나타난 고대 중국인의 생사관. 전남대학교 아시아문화원형연구사업단 편. 동아시아의 생사관. 광주: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9. 쪽 314-337.
  29. 최정민. 노인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에 관한 연구: 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010;24: 233-252.
  30. 최준식. 한국인의 죽음관: 내세관의 형성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아시아문화원형연구사업단 편. 동아시아의 생사관. 광주: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9;13-37.
  31. 한국자살예방협회. 노인자살 예방을 위한 실천적 정책 수립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자살예방협회, 2008.
  32. Aldrich RS, Cerel J.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message content for suicide intervention. Crisis 2009;30(4):174-179. https://doi.org/10.1027/0227-5910.30.4.174
  33. Alvarez A. The Savage God: A Study of Suicide. New York:Norton, 1990.
  34. Amery J. Hand an sich leger: Discurs über den Freitod, 2005. 김희상(옮김). 자유죽음. 서울:웅진, 2010.
  35. Chen Y 외 5명. Effects of media reporting of the suicide of a singer in Taiwan: the case of Ivy Li.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2010;45:363-369. https://doi.org/10.1007/s00127-009-0075-8
  36. Durkheim E. The Suicide. Free Press, 1984.
  37. Fu K, Chan Y, Yip PSF. Testing a theoretical model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for media influences on suicidal ideation: results from a panel study. Media Psychology 2009;12:26-49. https://doi.org/10.1080/15213260802669441
  38. Gould MS, Kramer RA. Youth suicide prevention.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2001;31:6-31. https://doi.org/10.1521/suli.31.1.5.6.24219
  39. Han C 외 5명. Validat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Korean version in the elderly population: the Ansan Geriatirc Study 2008;49:218-223.
  40. Joe S, Romer D, Jamieson PE. Suicide acceptability is related to suicide planning in U.S.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2007;37(2):165-178. https://doi.org/10.1521/suli.2007.37.2.165
  41. Joiner T. Myth About Suicid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010.
  42. Kim MH, Jung-Choi K, Jun HJ, Kawachi I.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suicidal ideation, parasuicides, and completed suicides in South Korea. Social Science & Medicine 2010;70:1254-1261.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10.01.004
  43. Hunt T. Cliff of Despair: A Journey to the Edge. Random House USA Inc, 2006.
  44. Nachmias D, Nachmias CF. Research Methods in the Social Sciences. Paperback, 2007.
  45. Niederkrotenthaler T 외 7명. The gap between suicide characteristics in the print media and in the population.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09;19(4):361-364. https://doi.org/10.1093/eurpub/ckp034
  46. Niederkrotenthaler T 외 7명. Role of media reports in completed and prevented suicide: Werther v. Papageno effects.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2010;197:234-243. https://doi.org/10.1192/bjp.bp.109.074633
  47.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0 OECD Health Data, Paris: OECD, 2010.
  48. Pfau M, Van Bockern, S. The persistence of inoculation in conferring resistance to smoking initiation among adolescents: the second year.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1994;20(3):413-430. https://doi.org/10.1111/j.1468-2958.1994.tb00329.x
  49. Pompili M. Exploring the phenomenology of suicide.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2010;40(3):234-244. https://doi.org/10.1521/suli.2010.40.3.234
  50. Wan H, Pfau M.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inoculation, bolstering, and combined approaches in crisis communication.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2004; 16(3):301-328. https://doi.org/10.1207/s1532754xjprr1603_4
  51. Wilcox HC 외 5명.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persistent suicide ideation, plans, and attempts during college.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10;127:287-294. https://doi.org/10.1016/j.jad.2010.04.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