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물지능통신 기술

Search Result 24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Congestion Control Mechanism in Machine Type Communication (Machine Type Communications 혼잡 제어 기술)

  • Youn, Joo-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05a
    • /
    • pp.184-186
    • /
    • 2011
  • 최근 사물지능통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사물지능통신은 인간의 개입 없이 네트워크를 통해 사물 또는 기기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으로 정의하고 있다. 사물지능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에 대한 논의가 3GPP, ISO, IETF 등에서 활발히 논의 중이다. 더불어 사물지능통신의 응용에 따라서 기반 인프라가 결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3GPP에서는 LTE 네트워크 기반의 Machine Type Communications 기술 표준 기술이 논의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물지능 통신에 사용될 인프라 기술에 대해서 장단점을 정의하고 기존 인프라 기반에서 Machine Type Communications 서비스를 제공할 시 발생할 수 있는 혼잡 상황을 정의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혼잡 제어 기술을 제안한다.

  • PDF

Study on Identifier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achine Type Communications 식별자 연구)

  • Youn, Joo-Sang;Hong, Yo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10a
    • /
    • pp.73-75
    • /
    • 2011
  • 최근 사물지능통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사물지능통신은 인간의 개입 없이 네트워크를 통해 사물 또는 기기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으로 정의하고 있다. 사물지능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에 대한 논의가 3GPP, ETSI, IETF 등에서 활발히 논의 중이다. 더불어 사물지능통신의 응용에 따라서 기반 인프라가 결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3GPP에서는 LTE 네트워크 기반의 Machine Type Communications 기술 표준 기술이 논의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물 지능 통신에 사용될 인프라 기술 중 디바이스를 위한 식별자 구조에 대한 연구 동향을 기술하고 새로운 식별자 체계 기술을 제안한다.

  • PDF

Special Theme_사물지능통신 - ICT Expert Interview 김형중 TTA사물지능통신 PG 의장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TTA Journal
    • /
    • s.134
    • /
    • pp.24-29
    • /
    • 2011
  • 지난 1990년대에는 월드와이드웹 (WWW)이 화투였고, 2000년대에는 모바일 인터넷이 화두였다면, 2010년대는 모든 사물이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Internet of Things(이하 IoT)의 세상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난 2005년에 발간된 ITU 보고서에 따르면, IoT가 식별자(부착하는 사물)와 센서 및 무선 센서 네크워크(감지하는 사물), 임베디드 시스템(생각하는 사물), 나노공학(수축하는 사물) 분야의 기술 발전을 통하여 감각뿐 아니라 지능적 형태로 전 세계의 모든 사물 및 객체가 상호 연결될 것이라 주장하며, 이에 대한 준비와 대비가 필요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또한, 본 보고서는 IoT 실현을 위한 가장 중요한 도전으로 표준화와 협력, 프라이버시, 사회 도덕적 이슈에 대한 철저한 대응이 될 것이라 직시한 바 있다. 이제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또 다른 새로운 변화에 직면하고 있는 것이다. 현재 전 세계에는 15억 대의 PC와 10억 대의 휴대폰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으며, 향후 2020년까지 약 500억 대에서 1,000억 대의 장치가 인터넷에 접속하는 IoT 세상으로 전환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더욱이, M2M 통신뿐만 아니라 객체 사이 통신까지 포함한다면 인터넷에 연결되는 잠재적 객체의 수는 100조 개에 달할 것이라고 한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사물지능통신이란 용어가 자주 회자되고 있다. 사물지능통신을 광의의 의미에서 해석하면 IoT로 일컬을 수 있을 것이며, 다만, 협의의 의미로 해석한다면, M2M 통신을 지칭하는 것이 맞는 해석이라고 생각된다. 이에 본 특집에서는 사물지능통신 기술에 대한 현황 및 정책, 앞으로의 서비스 전망, 나아가 표준화 추진 동향 등에 대해 살펴보고 앞으로 다가올 미래 디지털 ICT 사회 변화를 조명해 보고자 한다.

  • PDF

Cognitive IoT Computing Technology Trends (인지 IoT 컴퓨팅 기술동향)

  • Bae, M.N.;Lee, K.B.;Bang, H.C.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2 no.1
    • /
    • pp.54-60
    • /
    • 2017
  • 사물인터넷은 모든 사람과 사물이 인터넷을 통해 서로 소통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술이며, 정보의 확산, 연계,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연결고리이다. 인지 IoT는 이러한 사물인터넷 인프라와 함께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사물이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며, 보다 잘 연결하고 더 똑똑해지도록 하는 사물지능 실현 기술이다. 본고는 인간 두뇌의 기능을 모방하여 인식, 행동, 인지 능력을 재현해내는 대표 인지 컴퓨팅 기술인 IBM 왓슨, 딥 러닝, 뉴로모픽칩 기술을 요약하며, 또한, 사물수준 지능 실현 사례인 IBM 쿼크, CISCO DMo와 D3의 개발 현황을 소개한다.

  • PDF

디바이스별 패스워드에 기반한 사물지능통신상의 인증 패러다임

  • Lee, Jae-Seong;Choi, Pil-Joo;Kim, Dong-Kyue
    • Review of KIISC
    • /
    • v.22 no.1
    • /
    • pp.39-46
    • /
    • 2012
  • 사물지능통신은 주변의 정보를 다양한 방식의 통신 장비를 이용해 장비 스스로 수집하여 제어하는 기술로서 미래의 새로운 통신 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사물지능통신의 성장은 신뢰성 있는 네트워크 구축이 선결되어야 한다. 기존의 보안 시스템은 소유기반 인증 방식과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지식기반 인증 방식이 결합된 이중 인증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사물지능통신 환경과 같이 사용자가 직접 개입할 수 없는 환경에서는 디바이스별 패스워드 기반의 지식기반 인증 방식은 구현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디바이스별로 고유의 값이 생성되는 PUF(Physical Unclonable Function)에 기반하여 사물지능통신 상의 디바이스별로 패스워드 인증의 효과를 구현하는 새로운 지식기반 인증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한다.

A Study on Interoperation among Heterogeneous Platform for Support M2M Convergence Service (사물지능통신(M2M) 융합서비스 지원을 위한 이기종 플랫폼 간 연동방안)

  • Lee, Sung-Hyup;Jeon, Gun-Pyo;Kwon, Sun-Young;Seo, Jong-Han;Jang, Won-Gyu;Hong, Se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669-672
    • /
    • 2011
  • 최근 IT(Information Technology)와 타(他)산업 간의 융 복합이 촉진되면서 새로운 융합서비스로 사물지능 통신(M2M, Machine to Machine)이 차세대 지능형 인프라 기반의 핵심 서비스로 부각되고 있다. 사물지능 통신은 기존의 통신 인프라를 활용하여 사물정보의 수집, 가공, 처리를 통해 최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분야로 PHY, MAC, 라우팅에 대한 기술 이슈보다는 서비스 관점에서의 네트워크 아키텍처 정의와 기능, 서비스 플랫폼 간의 연동, M2M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물지능통신 융합서비스를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게 제공하기 위한 기존 플랫폼 간의 연동을 위한 요구사항과 방안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