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물인터넷 재난 대응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33초

M2M기반 지하공간 재난대응 EL 디스플레이 통합 보드 개발 (Development of M2M-based Underground Space (subway) for Disaster Response EL Display Integrated Board)

  • 박은천;박완순;박미연;나용현;이정훈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년 정기학술대회
    • /
    • pp.280-281
    • /
    • 2017
  •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지하철역사의 재난 전조를 조기에 발견하고 승객들에게 피난을 유도하는 지하철 재난전조 감지 시스템 개발에 있어서 재난 발생시 상황대피 유도방법과 정확한 재난 위치 알림 및 대피경로 안내는 재난 상황에 빠른 대피와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수 있는 매우 적극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피를 가장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재난대응 EL Display 통합 보드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현장 실험을 통해 실제 활용성에 대한 검토를 실험하였다. 특히, EL패널을 재난 대피유도용으로 활용한 사례가 없어 현장적용테스트를 거쳐 그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 PDF

사회재난 대응을 위한 IoT 센서 네트워크 플랫폼 (IoT Sensor Network Platform based Life Protection Systems for Social Disaster)

  • 이경일;김정곤;이대성;임호정;황학인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5년 정기학술대회
    • /
    • pp.92-9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사회재난 대응을 위해 IoT 기술을 활용한 개방형 플랫폼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 재난 대응 시스템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적응성, 확장성, 개방성을 가진 시스템 구조를 오픈 IoT 기술인 모비우스를 통해 구현하고 복합 감지 구조를 통해 상황 판단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이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 PDF

사물인터넷 기반 지하철 역사공간 재난대응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Interactive Smart Network(IoT)-based Subway Platform Disaster Response System)

  • 박미연;구원용;박완순;박은천;문병규;권세곤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19-2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사물인터넷 기반 재난 대응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센서 네트워크와 키퍼라고 하는 클라이언트 머신을 이용해서 네트워크 기반의 방재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서 연구하였으며, 또한 최적 피난을 위해서 신장 트리 기반의 피난 유도 알고리즘을 개발하여서 피난에 적용하였다. 개발 시스템은 실제 서울 개포동역에 테스트베드로 설치하여 검증을 하였으며, 실제로 지하철 안전을 위해서 유용한 시스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물인터넷 기반에서 드론의 재난구조 역할 고찰 (Review the role of Drone in the IoT-based Disaster Relief)

  • 김영철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6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58-59
    • /
    • 2016
  • 최근에 재난현장에는 사물인터넷기반의 다양한 장비나 장치들이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이중에서도 드론이 심심찮게 활용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산림보호활동이나 화재가 발생하는 지역에 드론을 활용하여 재난대응을 하고 있다. 특히나 작년 네팔에서 지진으로 많은 인명과 재산 손실을 보았는데 이때 지난지역을 수색하는 등, 드론의 역할이 상당히 컸던 것으로 회자되고 있다. 본 논문은 최근에 산악구조 활동으로 생존자의 탐색을 위한 드론의 도입을 준비하며 모니터링 하였던 내용을 정리하고자 한다. 드론에 대한 국내의 현황을 먼저 알아보고, 실제적으로 몇 가지 필요한 요소를 나열한다. 산악구조활동에서 드론에 대한 제약인 최소 3km 이상의 원거리 탐색과 최소 30분 이상의 비행, 영상의 선명도, 열화상 등 재난구조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결과적으로 현재의 재난구조용 드론은 국내의 기술 기반이 취약하여 비행위주이고, 응용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기술이전이 함께 이루어져야 만 드론에 대한 재난구조의 역할이 아닌가 판단한다.

  • PDF

M2M기반 지하공간(지하철) 재난대응 네트워크 및 EL 디스플레이 통합 보드 개발 (Development of M2M-based Underground Space (subway) Disaster Response Network and EL Display Integrated Board)

  • Park, Miyun;Kwon, Segon;Park, EunChurn;Lee, Jeonhu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422-441
    • /
    • 2017
  •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지하철역사의 재난 전조를 조기에 발견하고 승객들에게 피난을 유도하는 지하철 재난전조 감지 시스템 개발에 있어서 재난 발생시 상황대피 유도방법과 정확한 재난 위치 알림 및 대피경로 안내는 재난 상황에 빠른 대피와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수 있는 매우 적극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좁은 출구밖에 없는 지하공간 구조상 소방 시설 및 장비들의 완벽한 작동을 담보하기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피를 가장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재난대응 EL Display 통합 보드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현장 실험을 통해 실제 활용성에 대한 검토를 실험하였다. 특히, EL패널을 재난 대피유도용으로 활용한 사례가 없어 현장적용테스트를 거쳐 그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재난상황을 고려한 스마트 더스트 데이터 처리과정 연구 (A Study on the Data Processing Process of Smart Dust Considering the Disaster Situation)

  • 민연아;장민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581-583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무인 로봇 스마트 더스트(Smart Dust)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재난, 재해 등 불확실한 상황에서 실시간 정보제공 등 기능에 대한 활용 사례를 살펴보고 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처리 프로세스를 수정 연구한다. 스마트 더스트 기술은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적용된 1mm3 이하 크기의 센서이며, 전시 및 재난 등의 위급상황에서 다양한 용도로 적용 및 전략수립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전장 및 재해 상황에서의 위기대응에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사물지능통신의 발전과 미래 서비스 모델

  • 남동규
    • 정보와 통신
    • /
    • 제27권7호
    • /
    • pp.3-9
    • /
    • 2010
  • 최근 인간 사물 환경 등 모든 사물이 네트워크에 연결돼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디바이스로 관련 정보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사물지능통신망 서비스가 차세대 방송통신 시장의 새로운 먹거리로 전망되고 있다. 이는 기존의 방송, 통신, 인터넷 등 개별 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인간 중심의 정보수집 방법에서 이들을 융합한 인간 대(對)사물, 사물 대(對)사물로의 정보 수집 방법의 진화에 의한 것으로 그 진화의 중심에 'M2M(Machine to Machine : 사물지능통신)'이 있다. 그 예로, 미국의 타임지는 지난해 최고의 발명품으로 사물 인터넷(The Internet of Things)을 채택했으며, 국내 언론에서는 2020년 1000억대가 넘는 사물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본 고는 방송통신 인프라의 효율적인 활용을 통해 저탄소 녹색성장, 기후변화 대응, 에너지 절감, 재난 재해 방지 등 국가 정책을 뒷받침하고 미래방송 통신 융합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를 선도 하는 사물지능통신(M2M)의 발전과 및 관련 미래 서비스 모델을 살펴보고자 한다.

IT융합 LED기반의 재난 대응 시스템 (Development of a Disaster Management System Using LED Based on IT Convergence)

  • 양정율;김동민;신형철;유세현;박지현;김정창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67-168
    • /
    • 2015
  • 최근 IT융합 기술이 더욱 발전하고 있고 사물 인터넷의 활용으로 생활의 편리 및 안전과 관련된 다양한 응용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IT융합 기술을 활용해 재난상황 발생 시 초기 대응이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재난 상황을 감지하고 재난 발생 시 즉시 중앙 서버로 재난발생을 알린다. 중앙 서버에서는 건물내부에 있는 인원들에게 스마트폰을 통해 신속히 그 상황을 알리고 평소에 조명등으로 사용되는 LED를 능동적인 비상구유도등으로 활용함으로써 재난상황에 대해 신속히 대응하여 인명사고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사물인터넷 기반 재난복구자원 관리 및 실시간 행동인지 모듈 개발 (IoT-Based Module Development for Management and Real-time Activity Recognition of Disaster Recovery Resources)

  • 최상윤;박주형;한수민;박진우;장태우;윤혁진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03-115
    • /
    • 2017
  • 세계적으로 자연재해의 빈도와 그 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피해도 늘어나고 있다. 몇 년 간 자연 재난 피해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도 그러한 피해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 피해가 발생하였을 때, 복구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사물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자원 현황을 파악하고, 자원행동인지 모듈을 통하여 복구자원의 상태 및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를 구성하였다. 또한 이를 실제로 구현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스마트폰 센서들을 이용한 자원행동인지 모듈을 개발하고 실험하였다. 이를 통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재난대응시스템 구축에 기여하고자 한다.

재난관리스템을 이용한 어린이집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fety Management of Day Care Center using disaster management system)

  • 정창식;권미란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29-35
    • /
    • 2018
  • 최근 어린이집에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유형별로는 부딪힘, 넘어짐, 끼임, 화상, 떨어짐, 통학버스 교통사고, 이물질 삽입... 등이 있으며, 이러한 안전사고 즉, 재난으로 인해 사망까지 이르는 영유아들이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안전사고, 즉 재난에 대한 예방이 시급한 실정이다. IoT(Internet of Things)는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서 다양한 센서와 관련제품들이 생활공간에서 인터넷으로 연결해 관리되고 있다. 특허 IoT 제품은 언제 어디서든 스마트폰이나 센서 등으로 자동 제어하기 때문에 에너지와 시간을 아끼고, 편리하고 신속 정확하게 지킬 수 있다. 이 논문은 학습현장 즉, 학교나 유치원 및 어린이집과 같은 곳에서 건물재난관리를 위한 사물인터넷 전용망인 SK LoRa 통신망과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재난에 대응하고 예방할 수 있는 연구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리고 건물재난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센서로 건물 내 다양한 안전 상태를 표현하고 데이터는 스마트폰으로 송수신하여 주거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 모델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