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지능통신의 발전과 미래 서비스 모델

  • 남동규 (한국전파진흥원 방송통신사업부 사물지능통신 팀)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최근 인간 사물 환경 등 모든 사물이 네트워크에 연결돼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디바이스로 관련 정보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사물지능통신망 서비스가 차세대 방송통신 시장의 새로운 먹거리로 전망되고 있다. 이는 기존의 방송, 통신, 인터넷 등 개별 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인간 중심의 정보수집 방법에서 이들을 융합한 인간 대(對)사물, 사물 대(對)사물로의 정보 수집 방법의 진화에 의한 것으로 그 진화의 중심에 'M2M(Machine to Machine : 사물지능통신)'이 있다. 그 예로, 미국의 타임지는 지난해 최고의 발명품으로 사물 인터넷(The Internet of Things)을 채택했으며, 국내 언론에서는 2020년 1000억대가 넘는 사물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본 고는 방송통신 인프라의 효율적인 활용을 통해 저탄소 녹색성장, 기후변화 대응, 에너지 절감, 재난 재해 방지 등 국가 정책을 뒷받침하고 미래방송 통신 융합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를 선도 하는 사물지능통신(M2M)의 발전과 및 관련 미래 서비스 모델을 살펴보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남동규, "사물통신(M2M) 서비스 현황 및 전망", KT경제경영연구소, 2009. 11
  2. 오세근, "네트워크 New 패러다임, 사물통신 네트워크"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09. 10
  3. 송정수 "사람과 사물이 소통한다.", 나라경제 9월호, 2009. 9
  4. 하원규, "Super IT Korea 2020, 만물지능화 IT 입국", DigiEco Focus, 2009. 9
  5. 김유창, "기기간 통신(M2M)의 기술동향과 전망", 전자부품 7월호, 2009. 7
  6. Atlas, "MVNO의 유망 사업분야로 부상하는 M2M 일본의 사례와 시사점", 2009. 6
  7. SK텔레콤, "사물통신(M2M) 서비스 소개", 2009. 6
  8. KT, "KT M2M 추진사례 및 사업방향", 2009. 6
  9. IDATE," The Machine-toMachine Markets, 2009-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