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물인터넷 재난 대응

Search Result 2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evelopment of M2M-based Underground Space (subway) for Disaster Response EL Display Integrated Board (M2M기반 지하공간 재난대응 EL 디스플레이 통합 보드 개발)

  • Park, Eun-Churn;Park, Wan-Soon;Park, Mi-Yun;Na, Yong-Hyun;Lee, J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280-281
    • /
    • 2017
  •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지하철역사의 재난 전조를 조기에 발견하고 승객들에게 피난을 유도하는 지하철 재난전조 감지 시스템 개발에 있어서 재난 발생시 상황대피 유도방법과 정확한 재난 위치 알림 및 대피경로 안내는 재난 상황에 빠른 대피와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수 있는 매우 적극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피를 가장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재난대응 EL Display 통합 보드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현장 실험을 통해 실제 활용성에 대한 검토를 실험하였다. 특히, EL패널을 재난 대피유도용으로 활용한 사례가 없어 현장적용테스트를 거쳐 그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 PDF

IoT Sensor Network Platform based Life Protection Systems for Social Disaster (사회재난 대응을 위한 IoT 센서 네트워크 플랫폼)

  • Lee, Kyoung-Il;Kim, Jung-Gon;Lee, Dae-Sung;Lim, Ho-Jung;Hwang, Hak-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92-9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사회재난 대응을 위해 IoT 기술을 활용한 개방형 플랫폼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 재난 대응 시스템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적응성, 확장성, 개방성을 가진 시스템 구조를 오픈 IoT 기술인 모비우스를 통해 구현하고 복합 감지 구조를 통해 상황 판단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이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Interactive Smart Network(IoT)-based Subway Platform Disaster Response System (사물인터넷 기반 지하철 역사공간 재난대응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Park, Mi-yun;Koo, Won-yong;Park, Wan-soon;Park, Eunchurn;Moon, Byung-Gyu;Kwon, Se-g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9 no.1
    • /
    • pp.19-24
    • /
    • 2016
  •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rnet of Things-based disaster response system. We researched the method of building the network-based disaster prevention system using a client machine that the sensor network and the keeper. Also, we developed the algorithm for optimal evacuation shelter based on spanning tree algorithm. The system is tested actually in Seoul Gaepo station, and we verified the usability of the system.

Review the role of Drone in the IoT-based Disaster Relief (사물인터넷 기반에서 드론의 재난구조 역할 고찰)

  • Kim, You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6.06a
    • /
    • pp.58-59
    • /
    • 2016
  • 최근에 재난현장에는 사물인터넷기반의 다양한 장비나 장치들이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이중에서도 드론이 심심찮게 활용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산림보호활동이나 화재가 발생하는 지역에 드론을 활용하여 재난대응을 하고 있다. 특히나 작년 네팔에서 지진으로 많은 인명과 재산 손실을 보았는데 이때 지난지역을 수색하는 등, 드론의 역할이 상당히 컸던 것으로 회자되고 있다. 본 논문은 최근에 산악구조 활동으로 생존자의 탐색을 위한 드론의 도입을 준비하며 모니터링 하였던 내용을 정리하고자 한다. 드론에 대한 국내의 현황을 먼저 알아보고, 실제적으로 몇 가지 필요한 요소를 나열한다. 산악구조활동에서 드론에 대한 제약인 최소 3km 이상의 원거리 탐색과 최소 30분 이상의 비행, 영상의 선명도, 열화상 등 재난구조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결과적으로 현재의 재난구조용 드론은 국내의 기술 기반이 취약하여 비행위주이고, 응용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기술이전이 함께 이루어져야 만 드론에 대한 재난구조의 역할이 아닌가 판단한다.

  • PDF

Development of M2M-based Underground Space (subway) Disaster Response Network and EL Display Integrated Board (M2M기반 지하공간(지하철) 재난대응 네트워크 및 EL 디스플레이 통합 보드 개발)

  • Park, Miyun;Kwon, Segon;Park, EunChurn;Lee, Jeonhu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3 no.4
    • /
    • pp.422-441
    • /
    • 2017
  • Notifying emergency evacuation methods, accurate disaster location and evacuation route guidance can be very active alternatives to quickly minimize evacuation and casualties in disaster situation in the development of subway disaster prevention detection system that detects the disaster signs at the subway station early on the basis of Internet of things and leads passengers to evacuate. It's not easy to ensure perfect functioning of fire fighting facilities and equipments due to underground space structure with narrow exits. Therefore, we developed disaster provision EL Display integrated board that can induce the most efficient evacuation and the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ractical application in this study. Especially the applicability was verified by field application test because there is no case in which EL panels are used to evacuate disasters.

A Study on the Data Processing Process of Smart Dust Considering the Disaster Situation (재난상황을 고려한 스마트 더스트 데이터 처리과정 연구)

  • Min, Youn A;Jang, Mi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581-583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무인 로봇 스마트 더스트(Smart Dust)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재난, 재해 등 불확실한 상황에서 실시간 정보제공 등 기능에 대한 활용 사례를 살펴보고 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처리 프로세스를 수정 연구한다. 스마트 더스트 기술은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적용된 1mm3 이하 크기의 센서이며, 전시 및 재난 등의 위급상황에서 다양한 용도로 적용 및 전략수립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전장 및 재해 상황에서의 위기대응에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사물지능통신의 발전과 미래 서비스 모델

  • Nam, Dong-Gy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7 no.7
    • /
    • pp.3-9
    • /
    • 2010
  • 최근 인간 사물 환경 등 모든 사물이 네트워크에 연결돼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디바이스로 관련 정보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사물지능통신망 서비스가 차세대 방송통신 시장의 새로운 먹거리로 전망되고 있다. 이는 기존의 방송, 통신, 인터넷 등 개별 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인간 중심의 정보수집 방법에서 이들을 융합한 인간 대(對)사물, 사물 대(對)사물로의 정보 수집 방법의 진화에 의한 것으로 그 진화의 중심에 'M2M(Machine to Machine : 사물지능통신)'이 있다. 그 예로, 미국의 타임지는 지난해 최고의 발명품으로 사물 인터넷(The Internet of Things)을 채택했으며, 국내 언론에서는 2020년 1000억대가 넘는 사물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본 고는 방송통신 인프라의 효율적인 활용을 통해 저탄소 녹색성장, 기후변화 대응, 에너지 절감, 재난 재해 방지 등 국가 정책을 뒷받침하고 미래방송 통신 융합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를 선도 하는 사물지능통신(M2M)의 발전과 및 관련 미래 서비스 모델을 살펴보고자 한다.

Development of a Disaster Management System Using LED Based on IT Convergence (IT융합 LED기반의 재난 대응 시스템)

  • Yang, Jeongyul;Kim, Dongmin;Shin, Hyeongchul;Yu, Sehyun;Park, Jihyun;Kim, Jeong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167-168
    • /
    • 2015
  • 최근 IT융합 기술이 더욱 발전하고 있고 사물 인터넷의 활용으로 생활의 편리 및 안전과 관련된 다양한 응용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IT융합 기술을 활용해 재난상황 발생 시 초기 대응이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재난 상황을 감지하고 재난 발생 시 즉시 중앙 서버로 재난발생을 알린다. 중앙 서버에서는 건물내부에 있는 인원들에게 스마트폰을 통해 신속히 그 상황을 알리고 평소에 조명등으로 사용되는 LED를 능동적인 비상구유도등으로 활용함으로써 재난상황에 대해 신속히 대응하여 인명사고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IoT-Based Module Development for Management and Real-time Activity Recognition of Disaster Recovery Resources (사물인터넷 기반 재난복구자원 관리 및 실시간 행동인지 모듈 개발)

  • Choe, Sangyun;Park, Juhyung;Han, Sumin;Park, Jinwoo;Chang, Tai-woo;Yun, Hyeokjin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2 no.4
    • /
    • pp.103-115
    • /
    • 2017
  • Globally, frequency and scale of natural disasters are growing, also the damage is increasing. In view of the damage by natural disasters for several years, it is true that Korea is not free from such damag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process to efficiently manage recovery resources in case of disaster damage. We utilize the IoT technology to detect the resource status in real time, and configure the process so that the state and movement of the recovery resource can be grasped in real time through the resource activity recognition module. In addition, we designed the database that is necessary to actualize it, and developed and experimented resource activity recognition module using smart-phone sensors. This will contribute to building a quick and efficient disaster response system.

A Study on Safety Management of Day Care Center using disaster management system (재난관리스템을 이용한 어린이집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 Jeong, Chang-sik;Kwon, Mee-Rha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8 no.1
    • /
    • pp.29-35
    • /
    • 2018
  • Safety accidents are frequently occurring in day care centers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types of safety accidents is bumping into, falling, burning, school bus accident, insertion... etc., and the number of children who have died due to such accidents is increasing steadily every year. Therefore, it is urgent to prevent accidents at day care centers. IoT (Internet of Things) is managed by connecting various sensors and related products from the living space to the Internet in order to prevent them from being dangerous. In particular, IoT products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smart phones and sensors anytime and anywhere, thus saving energy, time, convenience and prompt accuracy. This paper proposes a research model to prevent and respond to disasters by using SK LoRa communication network and Arduino, which are Internet access networks for building disaster management in schools,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And various sensors needed for building disaster management express various safety states in the building and suggests a system that can control the residential environment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smart ph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