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문암

Search Result 7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Composition, Ecology and Conservation of the Andong Serpentine Flora, South Korea (안동 사문암 지역의 식물상과 생태와 보전)

  • Park, Jeong Seok;Kim, Yun Ha;Nam, Hee Jung;Eom, Byeongcheol;Lee, Gyeong-Yeon;Kim, Jong Wo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5 no.4
    • /
    • pp.515-540
    • /
    • 2022
  • The ultramafic serpentine area, the small size of 3 km2, remains in Andong, South Korea. We researched the ecological flora and its structure through the 12 times field investigations from 2013 till 2018. A total of 527 taxa including the previously recorded species-list was analyzed. Among them, 331 taxa were filed up as a real flora of the serpentine area. On the vegetation land-cover map describing a characteristic aspect of species distribution, a matrix of the sparse forest by Pinus densiflora and the grassland patches were the main landscape. The study area was acknowledged as a home for the ethnobotanical species and grassland components, and clearly distinctive from the non-serpentine area. The original habitat was too deteriorated by introducing the non-site soils and exotic plants. Conclusionally a designation of a protected area and the long-term ecological monitoring were requested.

Geophysical Study on the Ultramafic Rocks of Chungnam Province, Korea: Characteristics of Seismic Velocity (충남지역 초염기성 암체의 지구물리학적 연구: 탄성파 속도 특성)

  • Suh, Man-Cheol;Woo, Young-Kyun;Song, Suck-Hwan;Tianyao, Hao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1 no.3
    • /
    • pp.349-358
    • /
    • 2000
  • Compressional and shear wave velocities (Vp and Vs) and densities have been measured for serpentinite, amphibolite, amphibole and biotite schist, and gneiss from western part of Chungnam Province at room temperature. Ranges of the density are 2.6${\sim}$2.86g/cm$^3$ for serpentinite, 2.25${\sim}$2.81g/cm$^3$ for talc, and 2.74${\sim}$3.07g/cm$^3$ for metamorphic rocks. Of these rocks, talc shows wider ranges than serpentinite and amphibolites due to its metamorphic process from serpentinite. Values of Vp and Vs are 5719${\sim}$6062m/s and 2898${\sim}$3351m/s for serpentinites, 4019${\sim}$5478m/s and 2241/${\sim}$2976m/s for talc, 5375${\sim}$6372m/s and 3042${\sim}$3625m/s for amphibolite, 5290${\sim}$5499m/s and 2968${\sim}$3137m/s for schist, and 4788m/s and 2804m/s for gneiss, respectively. Velocity of P wave increases 1.47 times faster than S wave with increase of density. The results of seismic velocity measurement show anisotropy, higher velocity across than along the schistocity of rocks, especially in metamorphic rocks. This fact indicates that there were regional metamorphism related with tectonic forces. Values of seismic velocity increase with increasing pressure from 20 MPa to 70 MPa, especially in metamorphic rocks. Overall recalculated Vp and Vs values suggest that the serpentinite indicates for upper mantle in the respects of seismic characteristics, in spite of high degree of serpentinization. In addition, those of the amphibolite do for low crust, and gneiss and schist for upper crust.

  • PDF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Fibrous Serpentine Minerals Occurred in Serpentinite in Hongseong and Gapyeong (홍성과 가평 사문암 내에서 섬유상으로 산출되는 사문석군 광물의 종류 및 특성)

  • Jeong, Hyewon;Kang, Serku;Roh, Yul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9 no.1
    • /
    • pp.1-11
    • /
    • 2016
  • Chrysotile is well known as a fibrous mineral in serpentinite by the previous studies in S. Korea. Previous studies in other countries showed that antigorite also occurred as asbestiform and harmful to human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fibrous serpentine minerals occurred in serpentinite in Hongseong, Chungnam and Gapyeong, Gyeonggi in S. Korea. XRD, SEM-EDS, PLM and EPMA mapping analyses were used to examine the occurrence and formation mechanism of serpentine minerals. Serpentinization partially occurred in amphibole-schist and calc-schist at two study sites, Hongseong, Chungnam and Gapyeong, Gyeonggi, respectively. Both chrysotile and antigorite occurred as a fibrous mineral at Hongseong site, but chrysotile occurred as a fibrous mineral at Gapyeong site. Based on PLM analysis with dispersion staining, the chrysotile was observed horizontally magenta and vertically blue colors. The antigorite appeared as horizontally gold to golden magenta and vertically blue magenta colors under central stop dispersion staining objective(DSO). PLM and SEM analyses showed the fibrous minerals were formed from plate form of serpentine minerals or by hydrothermal alternation of primary minerals. The EPMA mapping showed that Mg contents in chrysotile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in antigorite while Si and O contents in antigorite is higher than them in chrysotile. However, more studies are necessary to know the exact variation in chemical composition of chrysotile and antigorit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ven though asbestiform antigorite found associated with asbestos chrysotile in serpentinites, the fibrous antigorite can be distinguished from chrysotile by different dispersion staining colors.

Mineralogy of Sepiolite from the Ulsan serpentine Mine (울산 사문석광산에서 산출하는 세피오라이트의 광물학적 연구)

  • 황진연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 no.2
    • /
    • pp.108-118
    • /
    • 1991
  • 경남 울산군 농소면의 울산사문석광산에서 세피오라이트(sepiolite)가 발견되었다. 그래서 이 세피오라이트시료에 대해 X-선회절분석, 열분석, 적외선분광분석, 투과전자현미경관찰 및 화학분석을 행하여 그 결과를 기술하였다. 본 세피오라이트는 사문암과 염기성암체와의 접촉부에 발달된 열극충진상 세맥에서 산출된다. 이 세맥내에서 많은 암편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그 기질부분은 회백색을 띠며 연질이고 부드러운 가죽같은 느낌을 준다. 이 기질부분이 거의 순수한 세피오라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X-선회절분석의 결과로부터 이 광물시료가 결정도가 높은 {{{{ alpha }}-세피오라이트에 해당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세피오라이트의 화학성분은 Mg를 많이 함유하는 일반적인 세피오라이트와 유사하였다. 산상 및 광물학적 특성으로 볼 때 이 세피오라이트는 열수용액에서 직접 침전하여 형성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ext integration processing based on connectives in Aphasics (실어증 환자의 접속사 정보처리에 관한 연구)

  • Kim, Soo-Jeong;Moon, Young-Sun;Kim, Mi-Ra;Kim, Yoo-Jeong;Nam, Ki-Ch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441-446
    • /
    • 1999
  • 본 연구는 접속사를 통한 텍스트 통합 과정이 논리적 추론 종류에 따라 다른 정보처리 과정 혹은 다른 종류의 단원적 구조(modular structure in language processing)에 의해 처리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또한, 접속사를 통한 추론 과정이 실어증의 증상 종류에 따라 다른 종류의 언어정보처리 손상이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실험에 참가한 환자는 이해성 실어증환자(Wernicke aphasic), 전반성 실어증 환자(Global aphasic), 표현성 실어증 환자(Broca aphasic) 등이었다. en 종류의 과제를 이용하였다. 한 과제는 앞 뒤 문장을 논리적 관계성을 표현하는 접속사를 채워 넣는 과제였고 다른 과제는 접속사가 포함된 텍스트가 옳은지를 판단하는 정오 판단 과제였다. 실험재료 문장에 사용된 접속사는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그리고'와 대등 관계를 나타내는 '그러나' 및 인과 관계를 표현하는 '그래서' 였다. 이 세 종류의 접속사는 각기 다른 논리적 관계성을 나타낸다. 실험 결과는 실어증 환자가 전반적으로 채워 넣기 과제에서 보다는 정오 판단 과제에서 더 많은 실수를 보였으며, 표현성 실어증 환자보다는 이해성 실어증 환자가 더 많은 오류를 보였다. 또한, 세 종류의 접속사 중에 '그리고'가 표함된 텍스트에서 더 많은 실수를 보였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흥미 있는 결과는 표현성 실어증 환자는 '그러나' 접속사가 포함된 텍스트에서의 수행이 '그래서'가 포함된 경우에서보다 좋은 반면에 전반성 실어증 환자는 '그래서'를 포함하는 텍스트에서의 수행이 '그러나'를 포함하는 텍스트에서의 수행이 더 우수해서 이중해리(double dissociation)가 나타난다는 사실이다. 이 결과는 선후 문장이 어떤 종류의 논리적 관계성을 지니는가에 따라 다른 종류의 정보처리가 진행된다는 것을 암시하는 결과이다.>$\textrm{cm}^2$.。C로 비교적 양호한 초전박막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었다.(Mg+Fe)비를 갖고 전자에 비해 Al이 풍부한 환경에서 생성되었으며, 따라서 활석과 연관되지 않은 녹니석은 생성시 광체와 인접한 화강아질 편마암에 의해 주로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녹니석의 이러한 2가지 화학조성상의 경향은 녹니석과 공존하는 운모류나 각섬석류들의 화학분석결과와도 잘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는 이 지역의 활석 광상이 초염기성암 기원의 사문암이 열수변질작용을 받아 생성되었음을 명확하게 지시하며, 따라서 활석 광석내에 존재하는 녹니석은 활석의 근원 광물로서 녹니석편암 및 녹니석 편마암 매의 녹니석이 활석화되고 남은 잔존광물이 아니라, 주변암에 의해 성분상의 영향을 받은 열수와 사문암과의 변질교대작용에 의한 활석화과정 중에 주로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지역의 활석광상이 초염기성암의 사문암화 작용과 활석화 작용의 두 가지 변질작용에 의해 형성되어졌음을 알려준다.농도 증가 없이 폐 조직에 약 50배 정도의 고농도 cisplatin을 투여할 수 있었으며, 또한 분리 폐 관류 시 cisplatin에 의한 직접적 폐 독성은 발견되지 않았다이 낮았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10.0%(4/40) : 8.2%(20/244), p>0.05]. 결론: 비디오흉강경술에서 재발을 낮추기 위해 수술시 폐야 전체를 관찰하여 존재하는 폐기포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폐기포를 확인하지 못한 경우와 이차성 자연기흉에 대해서는 흉막유착술에 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디오흉강경수술은 통증이 적고, 입원기간이 짧고, 사회로의 복귀가 빠르며, 고위험군에 적용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미용상의 이점이 크다는 면에서 자연기흉에 대해 유용한 치료방법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개흉술에 비해 재발율이 높고 비용이 비싸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만큼

  • PDF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Quality in Bedrock and Tailing Dumps at the Abandoned Dalcheon Mine Area (달천 폐광산 지역에서 광미적재지와 기반암 지하수의 수질특성 연구)

  • Yang, Sung-Il;Kang, Dong-Hwan;Kim, Tae-Yeong;Chung, Sang-Yong;Kim, Min-Chul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1 no.1
    • /
    • pp.47-56
    • /
    • 2008
  • pH and Eh were measured at 25 points in the abandoned Dalcheon mine. And, major ion components $(Na^+,\;K^+,\;Ca^{2+},\;Mg^{2+},\;Cl^-,\;SO_4^{2-},\;CO_3^{2-},\;HCO_3^-)$ were analyzed through groundwater sampling at 41 points. pH and Eh were measured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serpentinite area. And, pH was between weak alkaline and intermediate values in study area. Groundwater in study area was dominated oxidation-reduction environment caused by reaction with carbonate rock. Because sulfur components contained in carbonate, serpentinite, arsenopyrite and pyrite was dissolved by groundwater, $SO_4^{2-}$ component was high in study area. And $Ca^{2+},\;Mg^{2+}$ of cations were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of ion components in tailing dumps were 0.95 between $Ca^{2+}\;and\;SO_4^{2-}$, 0.86 between $Ca^{2+}\;and\;Mg^{2+}$, 0.85 between $Mg^{2+}\;and\;SO_4^{2-}$. Correlation coefficients of ion components in bedrock were 0.86 between $Mg^{2+}\;and\;SO_4^{2-}$, 0.68 between $Ca^{2+}\;and\;SO_4^{2-}$. Concentration range of $Ca^{2+}$ in tailing dumps was $6.85{\sim}323.58mg/L,\;and\;3.18{\sim}207.20mg/L$ in bedrock. Concentration range of $SO_4^{2-}$ in tailing dumps was $21.54{\sim}1673.17mg/L,\;and\;2.04{\sim}1024.64mg/L$ in bedrock. By the result of Piper diagram analysis with aquifer material, groundwater in tailing dumps was $Ca-SO_4$ type. Groundwater quality types with bedrock material were Mg-$SO_4$ and Mg-$HCO_3$ types in serpentinite area, Ca-$HCO_3$ type in carbonate area, Na-K and $CO_3+HCO_3$ types in hornfels,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is study, groundwater in tailing dumps were dissolved $Ca^{2+},\;Mg^{2+}\;and\;SO_4^{2-}$ components with high concentration. Also, these ion components were transported into bedrock aquifer.

청양금산금-은광상의 생성 환경

  • 유봉철;이현구;김상중;최선규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311-314
    • /
    • 2003
  • 청양금산광상(군량맥)의 주변지질은 선캠브리아기의 변성퇴적암류, 중생대의 대동누층군 퇴적암류 및 소규모의 화성암과 맥암류가 분포된다. 선캠브리아기의 변성퇴적암류는 호상편마암, 각섬암질 편암, 사문암, 화강편마암, 미그마타이트질 편마암, 결정질석회암 및 석회규산염암으로 구성된다. 쥬라기 대동누층군 퇴적암류인 조계리층, 백운사층 및 성주리층은 광산의 동쪽에 북북동방향으로 분포되며 함장석각력사암, 사암, 역암, 셰일 및 이암으로 구성된다. (중략)

  • PDF

Beneficiation Experiment by High Gradient Magnetic Separation (HGMS) for the Talc Ores from the Yesan-Gonfju-Cheongyang Area (예산-공주-청양 지역에서 산출되는 활석 광석에 대한 고구배자력 분리를 이용한 정제 실험)

  • 김건영;김수진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7 no.2
    • /
    • pp.128-137
    • /
    • 1994
  • 예산-공주-청양 지역에는 여러 큰 규모의 활석 광상이 분포한다. 이 지역에서 산출되는 활석 광석은 초염기성암 기원의 사문암이 열수변질작용을 받아서 주로 생성된 것으로알려져 있으며 녹니석, 운모, 각섬석 등의 규산염 광물들은 불순물로 다량 함유하고 있다. 활성 광석에 포함되어 있는 이들 함철규산염 광물들을 분리해 내고 활석 광석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구려배자력분리방법을 실험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활석 광석의 정제법을 강구하고자 하였다. 활석광석을 구성하고 있는 광물들의 자기적, 광물학적 특성을 토대로 하여 인공 혼합 표준 시료와 활석 광석 시료를 준비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각각 실험하였다. 정제 실험 결과 고구배자력분리기를 통과한 정광의 경우 활석의 양이 증가하였고 다른 불순광물들의 양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활석 광석의 백색도에 있어서는 대흥광산의 원광석의 경우 60.6에서 65.5로, 평안광산의 경우 61.6에서 65.0으로, 신양광산의 경우 71.2에서 74.5로 향상되었다.

  • PDF

Conservation Treatment and Scientific Analysis of the Jade Excavated from the First Buried Place of King Jung-jo (정조(正祖) 초장지(初葬地) 출토 옥의 과학적 분석 및 보존처리)

  • Lee, Tae-jong;Oh, Jung-hyeon;Kim, Sa-dug;Lee, Jung-mi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6 no.4
    • /
    • pp.160-173
    • /
    • 2013
  •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precise character of relics based on literature search and material analysis of the jade excavated from the first buried place of King Jung-jo, and to assess the level of damage through non-destructive diagnosis. Furthermore, scientific conservation treatment was used to restore the original shape of the excavated jade. According to literature search, the excavated jade is known to be jasper, but material analysis showed that it was as a serpentine with the mineral composition of antigorite. Infrared thermography analysis to assess deterioration showed that the internal damage is the result of the interstices developed along the boundary surface of the obtained jade. For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damaged area on the surface, the jade was filled with a mixture of plaster and glue, and covered with a mixture of acrylic paint and gloss medium for protection, and color was adju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