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모투자펀드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4초

비벤치마크 기법을 활용한 펀드 성과의 측정 (Non-benchmark Approach to Measuring Fund Performance)

  • 민재형;구기동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0-183
    • /
    • 2006
  • 일반적으로 펀드는 벤치마크 대비 초과수익률 달성을 목표로 운용된다. 뮤추얼펀든, 헤지펀드, 연기금펀드, 사모투자펀드 등의 경우, 펀드의 운용 목표가 뚜렷하기 때문에 해당 펀드의 성과는 벤치마크와 목표수익률을 기준으로 측정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시장의 경우에는 펀드 내에 벤치마크운용, 사모전용, 헤지펀드기법, 절대수익 전략 등이 혼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펀드에 대하여 전통적인 벤치마크 기법을 적용하는 것은 정확한 성과측정을 위한 방법으로는 적절하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펀드의 운용전략이나 목표가 혼재된 국내시장에서 비벤치마크 기법이 펀드 평가에 유용성이 있는지를 분석한다.

  • PDF

사모투자펀드 기구를 이용한 신성장동력투자펀드 운용방식의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New Growth Engine Fund Management Ways by PEF Vehicle)

  • 정기연;이철규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538-557
    • /
    • 2010
  • 정부는 1980년대부터 다양한 형태의 기술금융을 중소기업에 지원하고 있다. 기업에게 기술금융을 지원하는 형태로는 R&D 출연보조, 융자, 출자 그리고 보증방식이 있다. 본 연구는 정부의 기술금융 지원방식 중 출자형태의 신성장동력투자펀드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업무집행사원이 자본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주기 위해 펀드 결성기한을 현행 3개월에서 6개월 이내로 늘려야 한다. 둘째, 업무집행사원의 모럴해저드 문제를 야기 시키는 정부의 우선손실충당제도 배제를 현행처럼 계속 유지해야 한다. 셋째, 글로벌 기술기업의 창출, 육성 및 투자기업 가치제고라는 정책적 목적 달성을 위해 신성장동력투자펀드에 대한 정부의 출자비율 제한을 현행 20%에서 30%까지 확대하여 자본시장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출자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업무집행사원은 수익실현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투자계획의 구체화를 통해 대형 기관투자자를 상대로 적극적인 홍보를 강화하여야 한다.

  • PDF

중국 투자협상의 합리적 구조에 관한 연구 - 절세 측면의 합작투자(JV) 방식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Best Structure of Negotiation.Investment into China - Focused on the Joint Venture in terms of Tax Efficiency -)

  • Choi, Chang-Hwan;Kim, Tae-In
    • 통상정보연구
    • /
    • 제10권2호
    • /
    • pp.373-390
    • /
    • 2008
  • 본 논문은 국내세법, 한 중 조세협약, 중국세법을 근거하여 특수목적회사(SPC), 사모펀드(PEF) 등의 간접투자 방식과 직접투자 방식에 대한 투자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최상의 투자형태 협상전략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중국내 고정사업장이 없는 경우 홍콩과 같은 조세회피지역에 특수목적회사를 설립하여 중국에 투자하는 형태가 직접투자 혹은 국내에 PEF 설립을 통한 투자보다 더 합리적이었다. 더욱이 특수목적회사는 국내의 여러 가지 규제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펀드운용과 새로운 투자추진시 국내과실 송금 처리절차를 거치지 않고 재투자가 가능하다는 점을 포함하여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었다. 중국 등의 해외투자 고려시 조세회피지역에 특수목적회사를 설립하고 이를 통해 투자를 실행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안임을 고려하여 투자방식과 JV협상을 진행하여야 할 것이다.

  • PDF

국내 벤처펀드의 투자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vestment Performance of Domestic Venture Capital Funds)

  • 여인모;박현주;김광용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5호
    • /
    • pp.63-75
    • /
    • 2023
  • 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17년까지 신규로 결성이 되어 2022년말 기준 청산이 완료된 국내 벤처펀드 205개(청산 금액 7.25조)를 대상으로 투자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사모펀드의 특성상 실증데이터를 확보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특히 코로나 이후 청산이 완료된 데이터를 구하기는 더더욱 어려운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10년 이내 가장 최신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국내 벤처펀드의 투자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는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벤처펀드의 투자 성과에 미치는 요인을 외부 환경 요인과, 내재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 하였다. 벤처펀드의 성과에 미치는 외부 환경요인으로는 '경기사이클', '주식시장', '벤처시장', '회수시장'으로 구성하여 분석하였고, 내재적 요인으로 운용사 역량을 '운용사 업력', '운용사 전문인력', '운용 규모(AUM)'로, 펀드 구조로는 '펀드 크기(Size)', '펀드 기간(Length)'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사이클을 잘 나타내는 국고 3년 금리는 펀드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둘째, 펀드 결성후(後) 코스닥 3개월 평균 지수 상승률은 펀드 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벤처펀드 청산 시점의 경쟁 강도를 나타내는 IPO_개수는 펀드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운용사의 AUM 규모가 클 수록 펀드 수익률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벤처펀드의 수익률이 결성연도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일반인들이 벤처펀드 투자를 고려 할때는 '외부 환경요인'과 '펀드 내재적 요인'과 더불어 결성연도(Vintage)를 고려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매우 유효한 투자 전략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 PDF

Multi Strategy 운용 체계 금융 투자 사례연구: E증권사 Prop Trading을 중심으로 (Multi Strategy Management System Financial Investment Case Study: Focused on E Securities Company Prop Trading)

  • 이주한;박태현;오경주
    • 지식경영연구
    • /
    • 제22권1호
    • /
    • pp.21-3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공유되어 있지 않은 Multi Strategy 관련 금융투자 지식을 사례 연구를 통해 탐색하고 이를 국내 헤지 펀드 시장에 공유하는데 있다. 현재 국내에서 본격적인 사모 헤지펀드 시대가 열리면서 많은 펀드들이 만들어지고 있지만 전략의 다양성에 있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이준서, 2016). 초기 단순한 Equity Long/Short 전략으로 시작되어 메자닌, 대체투자 등 여러 전략들이 활용되고 있지만 Multi Strategy를 활용한 펀드는 제한적인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증권사 Prop Trading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Multi Strategy 기법을 이용해 Absolute Return을 달성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한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헤지펀드 운용전략에 대한 실증적인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헤지펀드 시장에서 Multi Strategy를 활용해 Absolutr Return을 추구하고자 하는 연구자 및 실무에서 운용하는 펀드매니저가 지식을 탐색하고 공유해서 금융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북미시장의 효율적 진출을 위한 마케팅 제시-제9차 벤처CEO포럼

  • 벤처기업협회
    • 벤처다이제스트
    • /
    • 통권54호
    • /
    • pp.24-25
    • /
    • 2004
  • 협회와 전자신문이 공동주최하는‘제9차 벤처CEO포럼’이 지난 8일 코엑스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북미진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과 전술’이라는 주제로 열렸다. 기업컨설팅 전문기업인 론치패드 레드사의 미카 리 대표가‘춘향이 마돈나 만들기’라는 주제로, 미국 팩터링 기업인 하나파이낸셜의 앤드류 조 상무는‘미국 수출금융 활용법’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또 주한 미국상공회의소 사모펀드∙벤처캐피탈 상임위원회 이정호 위원장은‘투자유치를 위한 기업가치 백배 올리기’로 주제로 발표했다.

  • PDF

벤처기업의 성장 촉진을 위한 벤처부채의 가능성과 도입방안 (The Possibility and the Way to Introduce of Venture Debt to Encourage Growth of Ventures)

  • 홍종수;나수미;박재성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4호
    • /
    • pp.17-25
    • /
    • 2020
  • 벤처부채는 벤처의 스케일업 촉진을 위한 대표적인 자금공급 수단이다. 성장 단계에서 대규모 자금 공급이 필요한 벤처기업은 지분 희석 없이 벤처부채를 지렛대로 성장을 가속화할 수 있고, 벤처캐피탈은 투자 기업의 성장이 가속화됨으로써 신속히 투자자금을 회수할 수 있다. 은행은 벤처부채의 공급을 통해 대출에 편중된 자산운용을 다양화할 수 있고 자산수익률도 제고할 수 있다. 해외 실리콘밸리은행의 사례와 같이 벤처부채 공급을 위해서는 부채자본 공급자인 은행과 지분자본을 공급하는 벤처캐피탈의 긴밀한 협력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시장 조성 방안으로 "신용위험 분담형 벤처대출"과 "벤처대출 풀링"을 제안한다. 전자는 모태펀드와 정책보증과 같은 정책금융기관이 벤처대출에 내재한 위험을 선별하거나 우선 인수함으로써 은행의 벤처투자 시장 참여를 촉진하며, 후자는 은행과 창업벤처전문 사모펀드가 공동으로 벤처대출을 증권화함으로써 은행의 개별적인 벤처대출 실행에 따른 부담을 감소시킨다.

은행 금융상품에서 프라이빗 뱅커의 전문투자형 사모펀드 추천 의사결정 (A Study on the Decision-Making of Private Banker's in Recommending Hedge Fund among Financial Goods)

  • 유환;이영재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8권4호
    • /
    • pp.333-358
    • /
    • 2019
  • Purpose The study aims to develop a data-based decision model for private bankers when recommending hedge funds to their customers in financial institutions. Design/methodology/approach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set in two groups.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first group are aggressive investors, active investors, and risk-neutral type investors. In the second group, variables considered by private bankers include customer propensity to invest, reliability, product subscription experience, professionalism, intimacy, and product understanding. A decision-making variable for a private banker is in recommending a first-rate general private fund composed of foreign and domestic FinTech products. These contain dependent variables that include target return rate(%), fund period (months), safeguard existence, underlying asset, and hedge fund name. Finding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re is a 94.4% accuracy in decision-making when the independent variables (customer rating, reliability, intimacy, product subscription experience, professionalism and product understanding) are us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order of relevant dependent variables: step 1 on safeguard existence, step 2 on target return rate, step 3 on fund period, and step 4 on hedge fund name. Next, a 93.7% accuracy is expected when decision-making uses the following order of dependent variables: step 1 on safeguard existence, step 2 on target return rate, step 3 on underlying asset, and step 4 on fund period. In conclusion, a private banker conducts a decision making stage when recommending hedge funds to their customers. When examining a private banker's recommendations of hedge funds to a customer,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ing dependent variables are intimacy, product comprehension, and product subscription experience according to a categorical regression model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analysis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