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료 급여

Search Result 1,528,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육용오리 사료급여관리

  • Korea Duck Association
    • Monthly Duck's Village
    • /
    • s.57
    • /
    • pp.34-37
    • /
    • 2008
  • 오리 농가의 수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료비이다. 균형이 잘 이루어진 사료는 오리의 생산성을 최대로 하고, 오리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다. 오리의유지, 생산, 성장 그리고 번식을 위해서는 오리의 에너지/단백비를 충족하는 사료를 급여하여야 한다. 사료비를 낮게 유지하는것은 오리농가의 수입과 직결된다. 이를 위해서는 농장에서 직접 생산하는 양질의 조사료를 최대한 급여하고, 가능한 최소 비용으로 최적의 육용오리을 위한 사료를 급여관리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육계에서 스테비아 부산물의 사료적 가치

  • 박재홍;류명선;박성복;김상호;류경선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Poultry Science Conference
    • /
    • 2003.11a
    • /
    • pp.111-112
    • /
    • 2003
  • 스테비오사이드를 추출하고 폐기되는 스테비아 부산물의 사료적 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육계사료에 수준별로 급여하여 육계의 생산성, 혈중 콜레스테롤, 장내 미생물 및 계육의 지방산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사료내 영양소 함량은 사육 전기와 후기에 각각 CP 21.5 %, ME 3,100 kca1/kg와 CP 19 %, ME 3,100 kcal/kg 수준으로 급여하였다. 처리구는 스테비아 부산물 0, 2, 4, 8 % 수준으로 하였고, 처리구당 4반복, 반복당 16수로 총 256수를 공시하였다. 본 시험의 결과, 사육 전기 3주간의 증체량은 스테비아 부산물 8 %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후기 2주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전체 사육기간의 증체량에서도 스테비아 8 % 급여구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총 사료섭취량과 사료요구율은 스테비아 부산물 급여구와 대조구 사이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테비아 부산물의 급여가 장내 미생물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맹장의 Salmonella, E coli는 감소하고 Lactobacillus 및 Yeast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에서도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또한 스테비아 부산물을 급여하여 생산된 가슴육의 지방산 함량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 PDF

옻나무 첨가 급여수준이 돈육의 지방산화와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 Kim, Dong-Uk;Yang, Seong-Un;Gang, Seon-Mun;Kim, Yong-Seon;Lee, Seong-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4.05a
    • /
    • pp.147-151
    • /
    • 2004
  • 본 실험은 사료내 옻 급여 수준에 따른 돈육의 이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사료내 옻나무 첨가 급여 수준은 비육후기 사료에 옻 분말 2%, 4%를 첨가하여 8주 동안 급여하여 돈육의 지방산화와 지방산 조성 분석에 이용하였다. 성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T1(2% 급여), T2(4% 급여) 처리구들이 대조구보다 낮은 조지방 함량을 나타내었다. 지방산패도에서는 T1(2% 급여), T2(4% 급여) 처리구들이 대조구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지질산화에 대해 안전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일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에 비율(MUFA/SFA)과 oleic acid가 옻나무를 첨가 급여한 처리구들에서 높게 나타나 소비자의 기호성에도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Effects of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by Fermented Barley Grain Feeding in Post-fattening Hanwoo Steers (거세한우 비육후기 보리곡실 발효사료 급여에 따른 성장과 도체특성에 미치는 효과)

  • Chang, Sun-Sik;Kwon, Eun-Ki;Lee, Eun-Mi;Hwang, So-Mi;Cho, Sang-Rae;Kim, Ui-Hyoung;Chung, Ki 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39 no.4
    • /
    • pp.235-24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per feeding level and duration of fermented barley grain feed before harvesting to improve the availability of barley for feed. Trial 1 was to investigate the proper feeding amount of fermented barley grain fermented feed, and we prepared 32 heads (603.4 ± 42.7kg) of 22-month-old Hanwoo steer (603.4 ± 42.7kg) for 8 heads in 4 treatment groups. 48 heads (625.8 ± 13.1kg) for Trial 2 were used for 12heads per 4 treatments, and were reared for about 9 months until 30 months of age. Trial 1 is treated a Control group that feed 10㎏ of concentrate, replaces 10% fermented barley grain feed(FBGF) of the control by (TRT 1) and 20% (TRT 2) and 30%(TRT 3). Concentrate and FBGF fed 9, 2.1 kg, 8, 4.2 kg, 7 and 7, 6.3 kg on each treatments respectively and 1.5 kg of rice straw for forage. In Trial 2, 10% of alternative diets were judged to be appropriate, and the control of 9kg of diets and barley grain fermented feeds were use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feeding period. The treatments were 3 months before shipment (TRT 1), 6 months (TRT 2) and 9 months (TRT32). Each treatment group had 8 and 2.1 kg of concentrate and barley grain fermentation, respectively. As a feed, rice straw was fed to 1.5 kg. The daily gains per treatment were higher in TRT 1 and TRT 3 was similar to the Control. Body weight and daily gain during the test period were higher in TRT 1 fed 10% barley grain fermented feed. TRT 2 was the highest at 6.13, and TRT 3 was 6.0, which was higher than 5.63 of TRT 1 and 5.5 of Control.

비육돈에 대한 옻의 급여가 돈육 품질에 미치는 영향

  • Kim, Dong-Uk;Yang, Seong-Un;Gang, Seon-Mun;Kim, Yong-Seon;Lee, Seong-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4.10a
    • /
    • pp.169-173
    • /
    • 2004
  • 본 실험은 비육돈에 대한 옻의 급여가 돈육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사료내 옻나무 첨가 급여 수준은 비육후기 사료에 옻 분말 2%, 4%를 첨가하여 5주 동안 급여 하여 돈육의 육질 분석에 이용하였다. 옻 사료 급여수준(0%, 2%, 4%)에 따라 5주간 급여한 돈육의 육질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명도($L^{\ast}$값), 적색도($a^{\ast}$값), 황색도($b^{\ast}$값)값에 있어서 4% 급여구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지질의 산패도(TBARS)는 급여수준과 관계없이 모두대조구의 TBARS값이 가장 높게 나타나 다른 처리구에 비해 산패가 빨리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보수력은 4%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조직감에서는 경도와 씹힘성에서 옻 급여구들이 대조구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p<0.05). 융점은 4% 급여구가 대조구와 2% 급여구보다 낮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Feeding Time and Frequency on the Performances of Broiler Breeder Hens (사료의 급여시간 및 급여회수가 육용종계의 산란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이규호;이상진;이종선;정선부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15 no.2
    • /
    • pp.73-79
    • /
    • 1988
  • In order to study the effects of feeding time (08:00 and 14:00 hours) and frequency (once a day, twice a day and once every other day) on the performances of broiler breeder hens,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1, 248 hens of Maniker strain during 24-2 weeks (Experiment 1) and 42-60 weeks (Experiment 2) of age.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hen-day egg production and feed conversion rate between feeding times or among feeding frequencies through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2. Mean egg weight during the age of 24-42 week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feeding in the afternoon (p<0.01).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feeding time or frequency during 42-60 weeks of age. 3. Fertility and hatchability of eggs at 36 weeks and 60 weeks of ag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4. By feeding in the afternoon egg breaking strength at 60 weeks of age was significantly improved (p<0.05), but not at 36 weeks of age. 5. In diurnal distribution of egg production, hens fed in the afternoon produced more eggs in the afternoon than hens fed during the morning (p<0.01).

  • PDF

옻나무 첨가 사료의 급여에 따른 한우육 및 돈육의 저장 중 산소 함량의 변화

  • U, Seong-Ho;Hong, Seok-Min;Park, Yong-Guk;Gwon, Il-Gyeong;Kim, Geo-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05a
    • /
    • pp.266-269
    • /
    • 2005
  • 옻나무 첨가 사료를 급여하여 사육한 한우육과 돈육의 위생학적 품질을 시험하기 위하여 Pseudomonas aeruginosa를 각 한우육과 돈육에 접종하여 저장 중 헤드스페이스의 산소함량의 변화에 미치는 옻 급여효과를 조사하였다. 옻나무 첨가 사료의 급여가 한우육의 $5^{\circ}C$저장 중 헤드스페이스의 산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은 저장기간 동안 옻나무 첨가 비율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4%의 옻나무를 3, 4, 5, 6개월 급여한 경우, 3, 4개월 급여한 처리구보다 5,6개월 급여한 구가 높은 잔존 산소함량을 나타내었다. 옻나무 첨가 사료의 급여가 돈육의 저장 중 헤드스페이스의 산소 함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저장온도 $0^{\circ}C$의 경우 산소 함량의 변화가 미미하여 시험구에 따른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온도 $5^{\circ}C$의 경우, 저장 14일째 옻나무 4% 첨가구가 2% 첨가구에 비하여 높은 잔존 산소 함량을 나타내었다.

  • PDF

Effect of Diet Supplemented with L-Tryptophan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 Breeder (부로일러종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L-트립토판 첨가사료의 영향)

  • 고태송;최호연;조영석;유종희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17 no.4
    • /
    • pp.303-309
    • /
    • 1990
  • In order to study the effect of diet supplemented with 0.015% (150ppm) of L-tryptophan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 breeder, the performance of parent stock of 1768 breeder(Hubbard) fed on the diet supplemented with L tryptophan was compared with those of 1105 breeders fed on the basal (control) diet Henday egg and settable egg production, fertility, hatchability and number of quality chicks per settable egg were recorded during 133 days(34-52 week-old) of experimental feeding period. Also during 28 days of after experimental feeding period(53-56 week-old) the henday egg and settable egg production were recorded. The henday egg production of breeder fed L-tryptophan was similar with that fed the control diet during 7 weeks of the peak laying period(34-41 week-old) after beginning of the experimental feeding but which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during 84 days of the post peak laying period(41-52 week-old) and 28 days of after experimental feeding period(53-56 week-old) than those of control And birds fed the L-tryptophan layed significantly (P<0.01) higher numbers of the sellable eggs than those fed control diet during the post peak laying and after experimental feeding periods. While the coefficient of variance for the henday egg and settable egg production were shown lower values in birds fed the diet supplemented with L-tryptophan compared with those fed the control diet Also the diet containing L-tryptophan did not affect fertility and hatchability of settable egg though the number of quality chicks per sellable egg was higher significantly(P<0.05) in birds fed the L-tryptophan than that fed the control diet.

  • PDF

산란계에서 스테비아 부산물의 사료적 가치

  • 박재홍;류명선;박성복;상병돈;김상호;신원집;박강희;류경선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Poultry Science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9-110
    • /
    • 2003
  • 본 시험은 스테비아 부산물의 사료적 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산란계 사료에 첨가하여 산란계의 생산성, 난 품질, 계란의 지방산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공시계는 78주령 하이라인 360수로 강제환우후 5% 산란시기에 시행하여 총 20주 동안 사양시험을 시행하였다. 스테비아 부산물을 산란계 사료에 0, 2, 4, 8 %를 첨가하여 동일한 에너지(2,800 kcal/kg)와 단백질(16 %) 수준으로 급여하였으며, 처리구당 5반복, 반복당 18수씩 총 360수를 공시하였다. 시험기간 20주 동안, 총 산란율, 난중, 산란량, 사료요구율은 스테비아 부산물 급여구와 대조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스테비아 부산물의 급여가 계란의 난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난각강도, 난각두께, 난백고 및 Haugh Unit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지만, 난황색도는 스테비아 부산물의 급여수준이 증가할수록 높은 수치를 보여 스테비아 4 %와 8 % 급여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계란의 당 전이도 시험에서는 스테비아 부산물을 급여하여 생산된 계란과 대조구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계란의 지방산 함량은 스테비아 부산물 2 %와 4 % 급여구가 포화지방산은 감소하였고, 단가 불포화지방산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 산란계 사료에서 스테비아 부산물은 원료사료로서 8 %까지 가능하였다.

  • PDF

Effect of Diets Containing Ground Charcoal Powder, Wood Vinegar and Fermented Acetic Acid on the Egg Production in White Leghorn Strain Layer (백색 산란계의 산란성적에 미치는 성형 목탄가루, 목초액 및 양조식초 첨가사료의 영향)

  • 최윤석;고태송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18 no.1
    • /
    • pp.33-42
    • /
    • 1991
  • In order to study effects of the 9round charcoal and organic acid on the egg production, White Leghorn strain(Hyline) layer of 113 week-old were fed control diet during a week of previous feeding and subsquent experimental diets during 12 weeks of experimental feeding . The experimental diets were the basal (control) diet composed of mainly corn-soybean meal, diet (CPB) substituted 0.5% of ground charcoal with the defatted rice bran of the control, diet (PWV) added 0.1 mM(based on the acetic acid) of wood vinegar in the CPD and diet(PFA) added 0.1 mM (based on the acetic acid) of fermented acetic acid in the CPD. During experimental feeding period, birds (ed control, CPD and PWV diets showed similar feed intake which was shown a decreasing tendency in birds fed PFA diet as the passage of experimental feeding period. Birds fed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ground charcoal were tended to increase egg weight (g/egg) , while which of birds fed CPD was higher(P<0.05) than that fed control diet. Chicks fed the control, CPD and PWV diets produced 75.9, 75.0 and 75. 9% of egg,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than those of birds fed PFA. Daily egg mass(g/bird) were reached to 48.6, 49.9 and 49.5g i,1 layer fed the control, CPD and PWV diets, respectively, showing an increasing tendency in layer fed CPD and PWV compared with those of birds fed control, which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of birds fed PFA . Although the effect of experimental diets on the feed efficiency (egg/feed) was not found, which was shown an increasing tendency in layer fed CPD compared with those in control diet. Compared with the incidence of cracked or shelless eggs in birds fed control diet, which were lowered to 37% in birds fed CPD diet and 70% in PWV-fed birds and increased to two times in birds fed PFA . The contents of cholesterol in egg was not affected by experimental diets, while birds fed CPD diet increased significantly(P<0.05) the daily biosynthesis of egg protein and showed a trend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eggshell and eggshell contents per egg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diet-fed bird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round charcoal powder improved the performance of lay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