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료요구율

검색결과 705건 처리시간 0.029초

난각질 개선을 위한 사료영양 관리기법(III)

  • 김삼수
    • 월간피드저널
    • /
    • 제2권6호통권10호
    • /
    • pp.88-91
    • /
    • 2004
  • 산란계에 있어서 최대 산란율을 나타내기 위한 아미노산의 요구량이 난중을 최대로 하는데 필요한 요구량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산란을 위한 일일 아미노산 요구량이 일단 충족되고 나면 그 요구량 이상의 아미노산을 섭취해도 산란수는 증가하지 않는다. (중략)

  • PDF

Broiler생산에 있어 점등방법이 그 생산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ying Lighting Regimes on Broiler Performance)

  • 유창우;오세정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5-61
    • /
    • 1987
  • 본 시험은 broiler 사육에 있어 점등방법이 broiler 증체나 사료요구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판사료를 이용하여 1986년 4월3일부터 동년 3월 21일까지 49일간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broiler 감별 웅추 180수를 공시하였다. 시험구는 24시간 연속점등 방법(24L), 1시간 점등에 3시간씩 소등하는 간헐점등 방법(24L), 1시간 점증에 3시간씩 소등하는 간헐점등 방법(1L+3D), 20시간 점등에 4시간 소등하는 방법(20L+4D) 및 자연일조시간을 이용하는 방법(Natural)등 4개 처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시험기간중의 증체량은 1L+3D구가 가장 높았으며, 20L+4D구, 24L구, Natural 구 순으로 낮아졌으나 각 처리간에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2. 전기 4주간의 증체량은 1L+3D구와 20L+4D구가 Natural구와 24L구보다 현저히 높았으나 각 추리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각 구별로는 1L+3D구가 가장 증체량이 높았으며, 20L+4D구, Natural 구, 24L 구 순으로 낮아졌다. 3. 후기 3주간의 증체량은 24L구, 1L+3D구, 20L+4D구, Natural구 순으로 낮아져서 전기와는 상이한 경향을 보였으나 각 처리간에 유의차는 없었으며 증체량도 거의 차이가 없었다. 4. 전시험기간중 사료요구율은 1L+3D구가 가장 좋았으며, 20L+4D구, Natural구, 24L구 순으로 나빠졌으나 각 처리간에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사료섭취량은 각 처리가 거의 같은 수준을 나타내어 각 처리별 점등방법이 공시계가 충분히 사료는 섭취하는 데는 시간이 부족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으며, 사료 섭취후 일정시간 활동을 억제하는 것이 사료요구율 개선에 좋은 영향을 미쳤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5. 전기 4주간의 사료요구율은 1L+3D구와 20L+4D구가 Natural 구와 24L구에 비하여 현저히 좋았으나 각 처리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각 구별로는 1L+3D구가 가장 사료요구율이 좋았으며 20L+4D구, Natural구, 24L구 순으로 나빠졌다. 6. 후기 3주간의 사료요구율은 1L+3D구가 가장 좋았으며 24L구, 20L+4D구, Natural구 순으로 전기와는 상이한 경향을 보였으나 각 처리간에 유의차는 없었으며 사료섭취량도 거의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broiler에 있어 일정시간 점등과 소등을 계속하거나 일정시간 소등을 해주는 간헐점등 방법이 24시간 연속점등방법이나 자연일조시간 방법보다 증체량이나 사료요구율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산란계 사료에 대한 칼슘 공급제의 추가공급이 산란능력과 사료효율 및 난각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al Calcium Additive on Egg Production, Feed Efficiency and Egg Shell Quality in Laying Hens)

  • 나상원;이우진;이규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7-72
    • /
    • 2005
  • 관행적인 산란계 사료와 관행적 산란계 사료에서 칼슘 공급제를 배제한 저 칼슘사료의 2가지 배합사료를 급여하면서 각각 오후 3$\~$4시에 일반적인 관행사료의 칼슘 공급제 배합량의 1$\~$3배의 칼슘 공급제(석회석)를 추가로 공급할 경우 산란능력과 사료섭취량, 사료효율 및 난각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480수의 갈색산란계를 공시하여 10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한 결과 산란율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평균난중은 처리간에 유의성은 인정되었으나(P<0.05)처리 간에 일정한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칼슘공급제가 들어있지 않은 배합사료의 1일 1수당 섭취량은 2가지 배합사료에서 모두 칼슘공급제의 추가공급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P<0.05), 칼슘공급제를 포함한 사료의 섭취량은 칼슘공급제의 추가공급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칼슘공급제가 들어있지 않은 배합사료의 산란 kg당 요구율은 2가지 배합사료에서 모두 칼슘공급제의 추가공급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칼슘공급제를 포함한 사료의 산란 kg당 요구율은 칼슘공급제의 추가공급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계란의 비중은2가지 배합사료에서 모두 칼슘공급제의 추가공급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P<0.05), 난각 파괴강도와 난각 후도는 모두 처리간에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나 칼슘 공급제 추가공급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고칼슘의 관행산란계사료를 계속 급여하는 대신 관행산란계 사료에서 칼슘 공급제를 배제한 저칼슘의 사료를 급여하면서 칼슘 요구량이 증가하는 오후 3$\~$4시 이후에 충분한 칼슘 공급제를 추가 공급하면 사료섭취 량과 사료요구율을 감소시키고 난각질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육계의 사육환경에 따른 출하성적 분석 (Analysis of Marketing Performances according to Raising Environment in Broilers)

  • 김계웅;김지혁;김학연;김봉기;박희복;최주희;김준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5-30
    • /
    • 2019
  • 본 연구는 2014년 12월부터 2015년 11월까지 충남, 충북, 전남, 전북, 경북 지역에 위치하는 53개 육계 농가를 대상으로 사육환경에 따라 출하일령, 생존율, 출하체중, 사료요구율, 출하회전수 등을 조사 분석하여 육계농장의 최적 환경 시스템을 찾게하여 경영관리에 필요한 기초적 자료를 얻고자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균 출하일령은 32일이었으며, 계사형태에 따라 무창계사는 31.96일령과 유창 계사는 32.03일령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계사규모별 출하일령은 유의한 차이가 없이 소규모 농가가 31.95일령과 대규모 농가가 32.01일령으로 비슷하였다. 계절간 출하일령은 통계적으로 고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P<0.001), 봄, 여름, 가을 등 3계절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겨울에는 32.86일령으로 가장 긴 출하일령을 보였다. 생존율의 전체 평균은 96.25%이었고, 계사 형태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계사규모별로는 소규모 농가와 대규모 농가간에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계절별 생존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P<0.05), 가을이 97.39%로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나, 여름철은 95.36%로 가장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 2. 평균 출하체중은 1.62 kg으로 나타났으며. 계사형태별과계사 규모별로는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계절별 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P<0.05), 겨울이 1.65 kg으로 가장 컸으나, 여름철은 1.58 kg으로 가장 가벼운 체중을 보였다. 사료요구율 평균은 1.62로 나타났으며, 계사형태별 그리고 계사규모별로는 각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계절별로는 고도로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는데(P<0.001), 가을이 1.59로 가장 양호하였으나, 봄과 여름이 각각 1.61과 1.62로 비슷하였다. 3. 평균 출하회전수는 5.70으로 조사되었으며, 계사형태별로는 유의한 차이 없이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농장규모별 출하회전수는 소규모 농가와 대규모 농가가 각각 5.8회와 5.3회로 소규모 농가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4. 출하일령은 출하체중(r=0.684)과 사료요구율(r=0.439)과는 각각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출하체중은 사료요구율(r=0.309)과 생존율(r=0.337)과는 중등수준의 정(+)의 상관, 그리고 사료요구율과 생존율 간에는 -0.614로 높은 부(-)의 상관계수가 추정되었다. 5.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여름에는 생존율과 출하 체중, 그리고 겨울철은 출하일령과 사료요구율에서 각각 비교적 불량한 결과를 보였다. 육계의 능력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현재보다 개선된 계사의 단열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적정 온도관리 시스템이 개발되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브로일러의 육계개선 -지방축적 억제에 관한 시험-

  • 오세정
    • 월간양계
    • /
    • 제20권12호통권230호
    • /
    • pp.63-67
    • /
    • 1988
  • (1) 3$\~$9주령시의 증체중은 CP와 ME가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는 경향을 인정하였으나 7$\~$9주령시 CP 18$\%$구의 증체중은 타구와 비교하여 크게 떨어졌다. (2) 3$\~$9주령시 사료섭취는 CP와 ME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3) 사료요구율은 CP와 ME의 증가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7$\~$9주령시에 있어서 18$\%$구의 증체량이 낮아짐에 따라 사료요구율도 나빴다. (4) 경제성에 대하여는 증체 1kg에 요하는 사료비를 산출한 바 16$\%$-3,050kcal구 다음이 16$\%$-3,250kcal구가 좋으나 복강내지방축적율과는 정의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산이현축산시험장 조조씨 외 3명의 논문을 소개한 것은 브로일러 산업에서 품질좋은 대형육계(2.5kg이상)을 생산함에 있어 사료비를 적게 들이고 보다 유리한 경영이 되게끔 하기 위한 의도에서 원고를 쓰게 되었다.

  • PDF

Protease의 수준별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혈액의 성상, 장기 무게 및 단백질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 박재흥;류명선;나종삼;김종승;류경선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22-123
    • /
    • 2002
  • 본 연구는 육계사료에 protease를 수준별로 첨가하여 급여시에 육계의 성장, 혈액의 성상, 기관의 무게, 단백질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행하였다. 256수의 cobb 1일령 수컷병아리를 4개 처리구 4반복으로 5주간 배치하였다. Protease 사료내 수준은 0, 40, 80, 160U가 되도록 하였다. 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은 주간별로 측정하였으며, 혈액의 성상, 기관의 무게는 실험종료시에 측정하였다. 단백질 소화율은 사양실험 종료후 처리구별로 개체 수용하여 1주간 실행하였다. 기초사료는 전기3주와 후기 2주간에 각각 단백질 21.5, 19.0%, 대사에너지 3,100, 3,200kcal/kg 수준으로 급여하였다. 증체량은 사료내 protease 80U 처리구에서 사육전기에 다른 처리구보다 현저하게 높았다(p〈0.05). 사료요구율은 protease 첨가수준이 증대됨에 따라서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protease 80과 160unit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개선되었다(p〈0.05). 혈청 단백질은 Protease 처리구에서 낮은 경 향을 보였다. HDL은 protease 160U 처리구에서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protease 첨가는 기관무게, 단백질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이 없었다. 본 실험의 결과 육계용 사료에 protease 첨가로 사료요구율이 개선되었다.

  • PDF

Cysteamine hydrochloride (CSH)의 첨가 급여가 육용계의 생산성과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ysteamine Hydrochloride (CSH) on Growth Performance and Digestibility Characteristic in Broiler Chicks)

  • 서강민;천주란;김기현;남기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09-516
    • /
    • 2021
  • 본 연구는 Cysteamine hydrochloride (CSH)의 사료 내 첨가 급여가 육용계의 생산성 및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1 일령의 Ross broiler 수컷 180 수를 공시하여 3 개의 실험그룹에 각각 3 반복으로 반복 당 20 수씩 배치하였다. 실험설계는 Control (Basal diets), CSH-1 (Basal diets+250 mg CSH/kg feed), CSH-2 (Basal diets+500 mg CSH/kg feed)으로 디자인하였다. 육성 초기 동안의 일당 사료섭취량, 체중, 일당 증체량, 사료요구율, 육성률은 모든 실험그룹들 사이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육성 후기와 전체 실험기간 동안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경우, CSH-1과 CSH-2 그룹은 Control 그룹과 비교하여 사료요구율이 유의하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한편, CSH의 사료 내 첨가는 육용계에 있어서 도체율과 정육률(가슴근육, 다리근육)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물의 소화율은 CSH-2 그룹이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p<0.1). 본 연구의 결과는 사료 내 250-500 mg/kg의 CSH 첨가 급여는 육용계의 사료요구율 및 유기물소화율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