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관

검색결과 492건 처리시간 0.031초

3차원 수치모의를 통한 저층수 배사관 내 유입된 사석의 배제 한계조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xclusion Threshold Condition of the Riprap in the Bypass Pipe by 3D Numerical Simulation)

  • 박선빈;정석일;이승오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132-132
    • /
    • 2017
  • 큰 하상계수를 가지는 국내 중소하천의 특성상 농업용수 등의 수자원 이용을 위해 국내에는 약 10,000개 정도의 하천 횡단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느려진 유속으로 인하여 횡단구조물 상류에 유사가 퇴적될 확률이 높아지며, 이러한 유사는 부착된 오염물에 의한 수질 및 하상오염, 좁아진 유수단면적에 의한 통수능 저하로 발생하는 홍수위 증가 등 많은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 중의 하나로 저층수 배사관(bypass pipe)을 활용하여 쌓여진 유사를 하류로 흘려보내는 방법이 있다. 저층수 배사관은 횡단구조물 상류와 하류의 하상을 연결하는 관으로써 상류와 하류의 수두차에 의해 흐름 특성이 결정된다. 하지만 배사관 내 사석이 유입되어 배제되지 않는 경우 배사관의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FLOW-3D를 이용하여 배사관내 사석이 유입되었을 때, 어떠한 조건에서 배제되고 배제되지 않는지를 명확히 하고자 한다. 하상이 평탄한 수로$(13.0(L){\times}5.0(B){\times}1.0(H)m)$를 재현하였으며, 배출관의 직경은 10cm로 결정하였다. 사석의 종류는 4가지(3cm, 5cm, 7cm, 9cm)로써 이를 고려하여 격자크기를 0.5cm로 결정하였다. 이는 사석의 구형형상이 충분히 잘 재현될 수 있는 격자크기이다. 모의 수행은 하류의 수위를 변화시켜가며 수행하였다. 저층수 배사관 내 유동 특성이 상류와 하류의 수두차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모의의 효율성을 위해 상류의 수위는 일정한 값으로 진행하였다. 모의 결과 수위차가 클수록 배제가 잘되는 경향을 보였다. 입자의 크기와 상하류 수위차를 무차원화 한 변수를 결정하였다. 분석결과 이 변수가 일정 값을 넘어서는 경우 배제가 되며, 반대로 이 값을 넘어서지 못한 경우 배제가 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다양한 관의 형상에 대해서도 배사관 내 한계조건을 도출하여, 저층수 배사관의 설계 및 시공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MMPI 와 생리적 특성간의 상관성 분석

  • 박세권;정연수;김동수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11-116
    • /
    • 2004
  • 스트레스 수준이 논을 것으로 예상되는 공군사관학교 수험생의 신체검사 결과로부터 신체건강 지표인 혈액 내 생화학적 요인들과 정신건강 지표인 다면 인성검사 점수를 추출하여 통계적 상관성 및 유의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사관생도들 중 $10\%$의 표본을 추출하여 사관생도와 수험생 집단간의 특성 비교를 위한 비교집단으로 이용하였다. 수험생과 사관생도 집단 간의 특성 요인 비교는 Mann-whitney U 검정과 Kruskal-Wallis 검정을 이용하였다. 수험생 집단 내에서 혈중 요인 및 정신건강 지표인 MMPI 점수는 정상범주에 있었고 두 요인 간 상관성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사관생도와 수험생 집단 간의 특성 요인들에 대한 유의성 검정 결과, 특히 2학년생도들의 혈액 내 혈구 수 및 활동성 또는 적극성과 관련된 MMPI 하위척도에서 수험생 집단과 매운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특이한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고 이에 대한 해석을 언급하였다.

  • PDF

육군 3사관학교 생도선발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selection of cadets 3 Army Military Academies)

  • 정재극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87-92
    • /
    • 2019
  • 육군 3사관학교는 국가가 인가한 편입학 사관학교이다. 장교양성교육기관으로 2년간의 교육을 마치면 대학졸업과 동시 육군소위로 임관하게 된다. 대한민국 장교가 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기관을 통하여 양성되고 있는데 미래 육군의 중추가 될 육군 3사관학교 사관생도 모집에 관하여 고찰해보고자 한다.

혼합형 온톨로지 구축방법론을 이용한 국방온톨로지 구축 (National Defense Domain Ontology Development Using Mixed Ontology Building Methodology (MOBM))

  • 나민영;유동희;노성천;신진희;한창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79-28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혼합형 온톨로지 구축방법론을 이용하여 ATCIS 체계에 활용 가능한 국방온톨로지의 구축 과정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실제 ATCIS의 데이터베이스 정보들을 활용하였고 해당 방법론이 ATCIS 체계에 적용될 때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함께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보다 실용적인 국방온톨로지 구축을 위한 기반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사이버공격 데이터베이스 구축방안 연구 (A Study on Building a Cyber Attack Database using Open Source Intelligence (OSINT))

  • 신규용;유진철;한창희;김경민;강성록;문미남;이종관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13-121
    • /
    • 2019
  • 인터넷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매일 대량의 공개출처정보(Open Source Intelligence, OSINT)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전체 정보의 95%가 공개출처정보에서 나온다고 할 정도로 공개출처의 활용도가 높아졌다. 이러한 공개출처정보는 잘 정제되어 활용된다면 매우 효과적인 고가치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일례로 ISVG나 START 프로그램은 테러나 범죄와 관련된 공개출처정보를 수집해 테러리스트 색출이나 범죄예방에 활용해 많은 효과를 거두고 있다. 하지만 사이버공격과 관련된 공개출처정보는 기존의 테러나 범죄와 관련된 공개출처정보와는 달리 공격자, 공격목적, 피해범위 등을 명확히 식별하기 어렵고, 자료 자체가 상대적으로 정형화되지 않았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해 사이버공격에 대한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를 구축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방식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접근방식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해 사이버공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향후 활용방안에 대해 토의하고자 한다.

함정의 다기능레이더(MFR) 자원할당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source Allocations of Multi Function Radar in a Warship)

  • 박영만;이진호;조현진;박경주;김하철;임요준;김해근;이호철;정석문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67-79
    • /
    • 2019
  • 다기능레이더(MFR)를 장착한 함정의 작전수행은 적의 위협에 대한 징후를 바탕으로 위협의 정도를 판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MFR 자원을 위협별로 할당하는 것으로 작전을 시작한다. 본 연구는 MFR 탐지체계를 가진 함정의 임무 시작 시 필요한 위협별 MFR 자원할당 문제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기법과 Greedy 기법을 이용한 MFR 자원할당 방안을 제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시 자원할당에 따른 탐지확률 함수가 선형인 경우와 지수형인 경우를 고려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시뮬레이션 기법과 Greedy기법의 결과는 서로 비슷한 자원할당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Greedy 기법은 시뮬레이션 기법에 비하여 그 수행시간이 아주 짧아 실제 임무 수행 시에 이용 가능한 기법으로 판단된다. 여러 가지 위협의 정도에 대해 Greedy 기법을 이용하여 MFR 자원할당 결과를 분석하였다.

사관생도의 SNS이용 동기와 생도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탐색을 통한 제언 (Suggestions through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dets' Motivation to use SNS and Life Satisfaction)

  • 석혜선;임소정;안동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407-412
    • /
    • 2023
  • 우리는 군 내 장병들의 휴대폰 사용이 전면 허용된 오늘날 상황에서 장병들의 휴대폰의 사용, 특히 SNS 의 사용의 현 실태를 확인하고 군 생활에 기능적인 SNS 사용을 위한 합의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SNS 이용 동기에 주목해 각 하위변인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를 탐색하여 군 관리자로 하여금 장병들의 SNS 사용에 대해 올바르게 지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육군3사관학교 생도 189명을 대상으로 SNS 이용 동기와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였고 SNS 이용 동기의 각 하위변인과 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생도들의 SNS 이용 동기는 정보 추구가 가장 높았으며, 지위 추구가 가장 작았다. 다음으로 SNS 이용 동기 중 정보 추구는 만족도의 하위요인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지위 추구는 오히려 만족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따라서 정보 혹은 아이디어 탐색을 위한 SNS 사용을 장려해야 한다. 또한, 사관생도들의 이러한 연구결과는 SNS의 허용이 장병의 만족도를 높여줄 것이라는 막연한 믿음이 합리적이지 않음을 증명하며, 그러므로 군 내 기능적인 SNS 활용을 위한 신중한 접근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초기방류, 퇴사배제 및 생태통로를 위한 댐 저부 복합 배사관 설계 (Design of multi flush gate at lower part of dam body for initial discharge, deposited sediment emission and ecological tunnel)

  • 최병규;한정식;강태호;최경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870-1874
    • /
    • 2009
  • 96년, '98년, '99년 3차례에 걸쳐 임진강 유역과 경기북부 지역의 집중호우로 이 지역의 막대한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대책으로 한탄강홍수조절용 댐을 계획하였다. 한탄강 홍수조절댐은 초기방류를 목적으로 상용여수로를 월류부를 통한 방류가 아닌 댐 제체에 방류관(EL.55.0m)을 설치하여 방류하므로 댐지점에 퇴사되는 토사를 효율적으로 배제시켜주어야 한다. 또한 댐 상 하류의 생태단절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댐체 저부에 생태통로가 계획, 홍수시 이를 통하여 배사가 원활하도록 배사관을 겸용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모형실험을 통하여 배사관으로 퇴사되는 토사가 원활하게 배출이 되는지를 검토하였으며, 배사실험을 위한 상류부 경계조건으로는 HEC-6모형 이용 댐상류 12km지점에서 댐지점까지의 퇴사량 및 댐지점 2km상류지역은SED-2D모형을 통하여 퇴사량을 산정하여 이를 비교하여 댐 직상류의 퇴사고와 퇴사량을 결정하여 적용하였다. 실험사례는 연평균 유하량, 200년 빈도 홍수량, 댐수위 EL.55.0m이하 방류시로 하였으며, 이에 따른 배사효과를 분석 배사관 설계의 적정성을 확보하였다.

  • PDF

가우시안 혼합모델 기반 탄종별 K2 소화기의 약실압력 모델링 (Gaussian Mixture based K2 Rifle Chamber Pressure Modeling of M193 and K100 Bullets)

  • 김종환;이병학;김경민;신규용;이원우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7-34
    • /
    • 2019
  • This paper presents a chamber pressure model development of K2 rifle by applying Gaussian mixture model. In order to materialize a real recoil force of a virtual reality shooting rifle in military combat training, the chamber pressure which is one of major components of the recoil force needs to be investigated and modeled. Over 200,000 data of the chamber pressure were collected by implementing live fire experiments with both K100 and M193 of 5.56 mm bullets. Gaussian mixture method was also applied to create a mathematical model that satisfies nonlinear, asymmetry, and deviations of the chamber pressure which is caused by irregular characteristics of propellant combustion. In addition, Polynomial and Fourier Regression were used for comparison of results, and the sum of squared errors,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and root-mean-square errors were analyzed for performance measurement.

사격지휘체계의 인공지능 적용 방안 (A Methodology for Applying A.I. to Fire Command & Control System)

  • 한창희;이종관;신규용;최성훈;문상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6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2호
    • /
    • pp.5-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기반 정보 고도화를 통해, 사격전술지휘 의사결정체계의 Assisted Decision-Maker인 AI 부전포대장을 구현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전포대장은 지휘결심의 말단에 있는 지휘관으로서, 최종적인 의사결정자이다. 이들의 지휘결심이 보다 견고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전쟁 승패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화력체계를 언급하는 경우 JMEM 탄약효과가 자주 언급되고 한국형 구축 사업이 아직 진행 중이기도 하지만, 완료되더라도 임의의 지형과 전술상황 각각에 대한 유용성까지를 입증하는 데에는 또 다른 기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본고에서는 AI 플랫폼 구축의 실제 사례가 전무한 상황에서 AI 부전포대장 구축을 위해 필요한 연구의 범위와 그 대상을 살펴보고, 지능형 사격지휘체계의 구축 방안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