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고빈도

Search Result 68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Determination of representative water quality accident scenarios and appropriate analysis techniques through case study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상수관망 내 수질사고 사례분석을 통한 대표 수질사고 시나리오 및 적정해석기법 결정)

  • Yoo, Do Guen;Hong, Sungjin;Moon, Gi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28-428
    • /
    • 2021
  • 상수관망 내 수질사고는 매우 다양한 원인과 상황에서 시·공간적으로 광범위하게 발생가능하다. 일반적인 수질사고의 정성적 정의는 "정상적인 운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비정상적인 활동이나 행동에 의해 발생되는 수질문제"라고 할 수 있으나, 이는 매우 광의적이라 할 수 있으며 실제 현장에서는 발생 가능한 모든 수질사고 시나리오를 미리 예측하여 대비하기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 및 국내 지자체, 그리고 K-water 등의 자료를 확보하여, 상수도 공급계통에서 발생한 수질사고 사례 및 발생 빈도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상수도 관망 내에서 발생빈도가 잦고 피해영향이 큰 대표 수질사고 발생 시나리오 선정에 활용하였다. 과거 사례를 분석한 결과, 관망 내 대표적인 수질사고는 정상적 운영조건 (예, 정수처리문제에 의한 유출수내 고탁도 발생)뿐 만 아니라, 비정상적인 운영조건 (수계전환, 밸브조작 등에 의한 유속, 수압 변동에 의한 고탁도 발생)에서 발생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대표적 수질사고는 수리학적 조건의 변화에 따라 관망 내 수질이 변화되어 발생되므로, 수질사고의 현실적인 모의를 위해서는 합리적인 수리학적 관망해석이 수반되어야 한다. 상수관망 시스템의 수리해석 기법은 크게 수요기반해석(Demand Driven Analysis; DDA)과 수압기반해석(Pressure Driven Analysis; PDA)로 구분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정상적 운영조건은 수요기반해석의 수행이 적절하며, 비정상적 운영조건은 수압저하에 의한 수리적상태가 변동하므로 수압기반해석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 수질사고의 모의 시 필요한 적정수리해석 기법을 제안하고, 각 적정 해석기법 별 검·보정이 필요한 인자들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수리해석 기법을 적절히 활용할 경우, 관망 내 탁수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점 등을 결정하는 방법론의 정확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auses and Frequency of Recent Gas Pipelines Accidents in Major Overseas Countries (해외 주요국에서의 최근 가스배관 사고의 원인과 빈도의 비교 분석)

  • Kim, Dae-Woong;Bae, Kyung-Oh;Shin, Hyung-Seop;Kim, Woo-Si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2 no.3
    • /
    • pp.53-64
    • /
    • 2018
  • Natural gas is an explosive fluid and can cause severe human/material damage when buried high-pressure pipeline is failure, and there have been reported cases of considerable human life damage to actual buried pipeline failure. In domestic cases, the length and duration of pipeline operating are short due to rapid growth. Therefore, it is a fact that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accident data is insufficient for the cause of the accident. In order to systematically construct an accident database, the operation history of natural gas pipeline is longer than domestic, and the cause and frequency analysis of recent natural gas pipeline related accidents occurred in overseas major countries with a long pipeline network was conducted. Then, after grasping the trend of occurrence frequency by incident cause, we trie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securing the stability of the domestic high-pressure gas transport pipeline network.

항공기 사고 분석을 통한 항공기 사고예방대책

  • 박재우;김태구;김광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228-234
    • /
    • 2000
  • 하루가 달리 급속도로 발전하는 21세기 현대사회에서는 안전과 환경이라는 두 큰 명제 속에 기업을 운영하여야만 세계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 급속도로 발전해 가는 시대 속에서 항공기의 이용은 날로 늘어가는 추세이며, 항공 교통 수단의 이용이 늘어감에 따라 이에 대해 발생하는 사고빈도와 심각성에 대한 관심도 늘어가고 있다. 특히 항공기는 현대사회에서 중요하게 대두되는 교통수단 임에도 불구하고 사고에 대한 분석과 안전대책에 관한 연구는 국내에서 찾아보기 힘들다.(중략)

  • PDF

철도 안전관리 개선을 위한 확률론적 위험도 평가 방안의 고찰

  • 곽상록;왕종배;홍선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6 no.4
    • /
    • pp.11-18
    • /
    • 2003
  • 우리는 복잡한 현상을 하나의 수치로 표현하는 각종 지표(index)를 생활에서 많이 접하고 있다. 종합주가 지수, 불쾌지수, 소비자 물가지수, 년간 교통사고 건수, 인구 10만명당 교통사고 사망자수 등도 일종의 지표라 할 수 있다. 철도에서도 위험을 평가하는 지표로는 "년간 사고건수", "열차운행 100만-km당 사고건수"와 같이 발생빈도에 초점을 둔 경우와 "년간 사망자수", 혹은 "피해액", "운행지장"과 같이 사고피해에 초점을 둔 경우가 있다. (중략)

Traffic Accident Damage Severity of Old Age Drivers by Multilevel Analysis Model (다수준분석모형을 이용한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피해 심각성 분석)

  • Jang, Tae Yo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2
    • /
    • pp.561-571
    • /
    • 2014
  • This study analyzes traffic accident severity of old age drivers in fourteen cities and counties of Jeonbuk Province. It is assumed that traffic accident effecting factors have two staged structure by personal and driving environment and urban characteristics. Multilevel Analysis Model is used under the assumption of hierarchical characteristics to analyze factors effecting severity. As the driver's age increases after sixty-five years old, accident damages become severe. The drunk driving is likely to make traffic accident damage more severer. The number of fatal accident by old age drivers is about three time more than by no old age drivers. Old age drivers have higher number of night traffic accidents but severer ones in daytime. Old age drivers show the higher number of traffic accidents but severer ones in fine weather. Wet road surface also influences damage severity and especially old age drivers show higher serious damage and fatal than no old drivers.

Forecasting of Traffic Accident Occurrence Pattern Using LSTM (LSTM을 이용한 교통사고 발생 패턴 예측)

  • Roh, You Jin;Bae, Sang H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0 no.3
    • /
    • pp.59-73
    • /
    • 2021
  • There are many lives lost due traffic accidents, and which have not decreased despite advances in technology. In order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forecast how they will change in the future. Until now, traffic accident-frequency forecasting has not been a major research field, but has been analyzed microscopically by traditional methods, mainly based on statistics over a previous period of time. Despite the recent introduction of AI to the traffic accident field, the focus is mainly on forecasting traffic flow. This study converts into time series data the records from 1,339,587 traffic accidents that occurred in Korea from 2014 to 2019, and uses the AI algorithm to forecast the frequency of traffic accidents based on driver's age and time of day. In addition, the forecast values and the actual values were compared and verified based on changes in the traffic environment due to COVID-19. In the future, thes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lead to improvements in policies that prevent traffic accidents.

해양오염사고 시각화에 관한 연구 : 사고정보 심볼 중심으로

  • Ha, Min-Jae;Yun, Jong-Hwi;Kim, Tae-Hyeong;Jeong, Min-Gi;Lee, Mun-Jin;Lee, Eun-B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3-4
    • /
    • 2017
  • 해양오염사고를 표시하는 기존의 방법은 사고의 위치를 점으로 표시하는 방법, 사고의 빈도나 규모를 해도에 영역(Heat map)으로 표시하는 방법, 사고정보를 코드화하여 그래프로 표시하는 방법, 그리고 사고의 위험도를 평가하여 해도에 구획을 정하여 해당 구획의 위험도를 표시하는 방법 등이 해양사고 관련 연구나 분석에 주로 이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런 기존의 사고표시방법은 정보를 제한적으로만 표시할 수 있어, 종합적인 사고정보를 전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양오염사고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 및 전달하기 위해 기름유출사고를 시각화하여 압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

전력계통안정화 보호계전기술

  • 신대승
    • 전기의세계
    • /
    • v.43 no.4
    • /
    • pp.20-26
    • /
    • 1994
  • 전력계통은, 발전기, 변압기, 모선, 선로등을 주요소로 한 많은 설비요소로 구성되며, 이들이 일체로 되어 하나의 안정상태를 유지하면서 운용되고 있다. 전력계통 구성요소중, 특히 가공선로는 지역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으므로, 뢰, 풍우, 염분 등 자연 현상의 영향을 받아 단락, 지락등 계통사고 발생이 불가피하며, 또 다른 구성요소들도 각각 고유한 사고형태와 사고빈도를 가지고 있다. 보호방식은 이들 각종 설비에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에, 신속히 사고설비를 계통에서 제거하여, 사고 전류의 계속으로 인한 설비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그 기본목표의 하나로 하고 잇다. 그러나 사고발생은 단지 설비의 손상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하나의 안정상태를 유지하고 운용되고 있는 전력계통 전체에 대해서, 이 안정을 무너뜨리는 방아쇠로 작용하며, 사고의 계속, 또는 사고제거에 따른 계통구성의 급변등은 주파수의 저하, 계통탈조, 설비과부하등으로 파급되어 전계통 붕괴로 확대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전원의 원격화와 집중대용량화, 선로조류의 증가등으로, 계통이 복잡화함에 따라 더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보호방식의 책무는, 종전의 설비보호 위주에서 사고파급방지에 의한 계통보호(protection for power system disturbance)로 그 중점목적이 옮겨가고 있으며, 이 사고 파급방지보호장치를 계통안정화장치라고도 한다.

  • PDF

A Case Study of Two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Beliefs during Their Reflective Teaching (초등학교 수학과 반성적 교수 과정 중 교사의 사고에 대한 사례 연구)

  • Lee, Keum-Sun
    • School Mathematics
    • /
    • v.13 no.3
    • /
    • pp.385-404
    • /
    • 2011
  • Currently, reflective teaching has been actively studied in terms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relating to classroom instruction. The present study looked at, using the method of a case study, the differences between a novice and an experience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beliefs demonstrated during their reflective teach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 that at the intial stage of reflective teaching, the novice teacher identified few errors during class and was not enthusiastic about applying the results of her reflective teaching due to lack of confidence. By contrast, the experienced teacher identified more errors during class than the novice teacher and had fewer reflections due to a sense of confidence. As the teachers' engagement in reflective teaching increased with time, they both felt the need for advice from experts on mathematics teaching and directed their attention to interactions with their students away from teacher-centered instruction. Further, the novice teacher engaged in more teacher-student interactions than the experienced teacher, and the experienced teacher increased the frequency of teaching reflect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article suggests a number of implications for the cooperative reflective teaching between novice and experienced teachers and the improvement of classroom instruction.

  • PDF

Analysis of The Partial Discharge Pattern in XLPE using Statistical Distribution (분포통계를 이용한 XLPE의 부분방전 패턴해석)

  • Kim, Tag-Yong;Hong, Jin-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6.05a
    • /
    • pp.35-40
    • /
    • 2006
  • 최근 전기에너지의 사용비율은 해가 거듭될수록 증가되고 있으며, 경량화 소형화로 인한 전력기기의 스트레스가 증가되었다. 또한 고압송전으로 인해 전기적 사고는 대형사고를 유발하므로 전력기기의 수명예측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XLPE 절연체의 보이드 유무에 따른 부분방전 패턴을 K-means 분포통계함수를 이용하여 부분방전 패턴의 그룹화를 시도하였다. 또한 전하량과 방전빈도수의 분포를 비교하기 위해 위상-전하랑 및 위상-전하량-빈도수에 의한 그룹의 centroid 이동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보이드가 존재하는 경우 전하량의 높은 점에서 중심점을 형성하였고, 방전발생위상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또한 위상-전하량의 클러스터보다 위상-전하량-빈도수의 클러스터에서 객체간 편차가 더 커짐을 발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