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계절

Search Result 14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수자원의 합리적 관리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10 no.8 s.99
    • /
    • pp.40-42
    • /
    • 1977
  • 우리는 산높고 물맑은 복된 땅에서 살고 있음을 얼마만큼 고맙게 여기고 있는가? 한국을 다녀가는 외국인은 이구동성으로 우리 고장의 기후, 특히 쾌청한 하늘을 부러워하고 맑은 그 고루 갖춘 사계절을 탐내고 떠나는 것을 본다. 니러나 이같은 환경이 언제까지나 보존될 것이며 물의 수급균형은 유지될 것인가? 늘어나는 서울의 인구와 이에따른 대기의 오염 급수난 우리의 자연을 다시한번 생각해 보자 자유재로 경시되던 물 "맑은물"이미 기원전 6세기에 그리이스 철인 타래스는 만물은 물로서 된다고 했다 물은 생명의 근원인가? 물의 값이 인정되는 오늘날 물을 아끼자 . 적절히 이용하자 목마른 사슴이 시내물을 사모하듯 그 고마움을 알자<다음글은 "자원정보"에서 옮긴 것임>

  • PDF

Characteristics of Air Pollution Related to Occurrence of Inversion Layer in Ulsan Area (울산지역 역전층 발생에 따른 대기오염 특성분석)

  • 임윤규;김유근;조윤미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15-116
    • /
    • 2003
  • 역전층 현상은 주로 맑은 날 야간 복사냉각에 의해 종종 나타나는 현상으로 사계절 모두 빈번히 존재한다. 하지만 역전층의 발달 정도와 강도 등은 그 날의 일기상태에 의해 크게 좌우되며, 또한 그 지역의 기후 및 지리적인 환경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 대상지역인 울산지역은 산업화에 따른 고도성장을 이룬 도시 중 하나로 우리나라 최대공업도시로 잘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도시의 야간 역전층 생성 및 발달과정에 있어서 토시 내 인공열의 효과 역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 할 수 있다. (중략)

  • PDF

Aerosol Composition Change due to Yellow Dust: Springtime Measurement Data between 1993 and 1996 at Kosan (황사/비황사의 입자 조성 변화: 1993-1996년 봄철 고산 측정자료)

  • 박민하;김용표;강창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121-122
    • /
    • 2001
  • 황사의 발생과 이동은 대기미량물질의 장거리이동 현상 가운데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것일 것이다. 우리나라는 동북아시아의 동쪽에 위치한 지역으로, 사계절 중 여름을 제외한 때의 주풍향이 서풍인 지역이다. 특히, 봄철에는 편서풍의 영향이 크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봄에 몽골이나 중국북부의 사막이나 황토지대에서 불어오는 황사의 영향을 불가피하게 받게 된다. (중략)

  • PDF

봄철 육계 사양관리 -환기관리로 유독가스 제거에 노력-

  • Yeon, Je-Yeong
    • KOREAN POULTRY JOURNAL
    • /
    • v.38 no.3 s.437
    • /
    • pp.76-78
    • /
    • 2006
  • 우리나라의 환경조건은 봄가을철에는 18~22℃ 정도이고 겨울은 매우춥고 건조하며 여름은 고열다습한 매우 뚜렷한 사계절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인위적인 계사의 온도조절이 필수라 하겠다. 그러나 그에 앞서 어느 계절에나 필수이자 의무인 3요소가 있으니 ①우수한 초생추 병아리의 구입이 최우선 되어야 하며 ②농장에서의 적절한 육계사양관리가 필요하고, ③성장을 충분히 받쳐주는 양질의 사료가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3요소만 충족시킨다면 대부분의 경우 우수한 성적으로 육계를 키울수 있다고 믿는다. 이중 농장에서 직접할 수 있는 육계의 사양관리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 PDF

혹서기에는 한낮의 사료급이 가급적 피해야

  • 연제영
    • KOREAN POULTRY JOURNAL
    • /
    • v.36 no.6 s.416
    • /
    • pp.96-99
    • /
    • 2004
  • 사계절이 뚜렷한 국내에서는 여름철 혹서기 사양관리를 하는 방법에 따라 산란율이나 폐사계의 발생빈도가 확연히 차이가 날 수 있다. 이러한 까닭에 기존계사에 비해 단열 및 환기문제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무창계사라는 현대식 계사가 최근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전체 계사의 과반수 이상이 단열이 엉성하고, 완전 자연환기에 의존하는 계사는 물론 적절한 지붕단열, 일부 기계식 환기를 도입한 절충형 계사에서 사육되고 있으므로 이번 여름을 맞이하여 나름대로 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 특히 지구 온난화 등의 환경적 요인 등을 고려할 때 해가 거듭될수록 여름은 과거 못지않은 수준일 것이라 예상되기 때문이다.

  • PDF

COLUMN - 전문가들의 오리예찬

  • 한국오리협회
    • Monthly Duck's Village
    • /
    • s.132
    • /
    • pp.28-33
    • /
    • 2014
  • 오리고기 소비의 계절인 여름이 찾아왔다. 다양한 효능을 갖고 있는 오리는 사계절 내내 먹기에 손색이 없지만 여름에는 특히 원기회복식과 보양식 수요가 많은 계절이기 때문에 3대 보양식 중 하나로 꼽히는 오리를 찾는 사람들이 많다. 조선 명의 허준이 지은 동의보감에는 '오리고기가 오장육부를 모두 편하게 하는 몇 안 되는 음식 중에 하나'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중국 명나라 의서인 본초강목에도 '오리는 해독작용을 하고 혈액순환을 돕는다'고 적혀 있다. 과거 오래전부터 입증된 오리의 효능은 현재까지도 의사, 교수, 요리연구가 등 전문가들에 의해 여러 차례 소개되고 있다. 전문가들이 말하는 오리예찬 내용을 살펴보고, 무더위를 대비한 체력보강 차원에서 오리고기를 든든히 섭취할 것을 제안해본다.

  • PDF

환절기 호흡기 질병 차단을 위한 대책

  • Kim, Tae-Ju
    • Feed Journal
    • /
    • v.4 no.9 s.37
    • /
    • pp.140-144
    • /
    • 2006
  • 요즘 이상 기온이나 변화무쌍한 기후 조건으로 말미암아 사계절이 무색할 정도의 일교차나 온도차가 심해지고 여러 가지 난해한 돼지 질병들이 늘어나다보니 기본적으로 발생하는 호흡기 질병에는 의외로 무관심해지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다시 말해 막연한 소모성질환 운운 하다보니 오히려 쉽게 포기하려거나 관심 밖의 일로 치부한채 속수무책인 농장들이 많아진 것 같다. 항시 새로운 것만 추구하려거나 한꺼번에 해결하려하지 말고 기존의 문제점이나 쉬운 것부터 한가지씩 해결해 나가는, 그야말고 '가지치기'식으로 접근하길 바란다. 같은 내용이라도 반복된 교육이 필요하고, 알면서도 실행이 잘 안되는 타성 또한 극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호흡기 질병이 발생하거나 PMWS 증상이 있을 때 그 구간에서만 해결하려 하지말고, 농장내 전박적인 문제점을 다시 한번 짚어보아야 한다.

  • PDF

A Study on the Flood and Drought During 50 year in Hyesan City of North Korea (북한 혜산시 50년간 가뭄과 홍수변화)

  • Jin, Shizhu;Lee, Min-Boo;Kim, Nam-Sin;Kim, Aifen;Zhu, Zh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6 no.3
    • /
    • pp.216-223
    • /
    • 2010
  • The study deals with classification of drought-flood intensity using Z index based on the precipitation data in Hyesan of the past 50 years(1957~2006). The frequencies of years and four seasons of flood drought and their change features have also been analyzed based on tendency analysis and MESA and wavelet methods. Results show that the annual and seasonal frequencies of flood-drought exceed 24% in Hyesan and flood-drought disasters have been high frequency. Inter-decadal variability seems to be clear in autumn but those of inter-annual variability are obvious in other three seasons and years. Recently the probability of drought disaster become higher in autumn. The flood disaster in other three seasons and years are estimated to become higher in the future.

  • PDF

Seasonal Variation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남해 연안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 Moon, Seong-Yong;Oh, Hyun-Ju;Soh, Ho-Young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v.32 no.4
    • /
    • pp.411-426
    • /
    • 2010
  • The seasonal variations in the zooplankton community of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were investigated seasonally in May, August, November 2005, and February 2006. A total of 74 taxa were sampled, with an average abundance ranging from 2,426~23,793 indiv./$m^3$, among which Noctiluca scintillans predominated. Noctiluca scintillans, Acartia omorii, Acartia erythraea, Paracalanus parvus s. l., Centropages abdominalis, Tortanus forcipatus, and Pseudevadne tergestina were the most abundant species detected. Zooplankton diversity was high around the inner regions during the summer, but it was relatively low in the stations located in the outer regions in the autumn.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D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ructures of the zooplankton community among the three region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seasonal variations in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were attributable to seasonal changes in temperature, salinity,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and N. scintillans blooms; additionally, this particularly study area might have been specifically influenced by the appearance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Seasonal Dietary Survey of Woman's College Students Living in a Dormitory in Korea (한국여자대학(韓國女子大學) 기숙사생(寄宿舍生)의 계절별(季節別) 영양실태(營養實態) 조사(調査))

  • Hyun, Soon-Yung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2 no.2
    • /
    • pp.91-98
    • /
    • 1969
  • This is the mass study in Human Nutrition which deals with the dietary servey of 360 woman's college students who lived in the dormitory from September 1967 to June 1968. Only those subjects in apparent good health were included and food intake for 7 day was studied at each season respectively. Ages of the subjects ranged from 17 to 24 years old. Of all the subjects, 70 percent were found among the students 19, 20 and 21 years of age. The caloric intake of subjects was generally low at each respective season. Among them the highest level of caloric intake occured in the spring. The other season, in order of caloric intake were summer, automn and with the lowest number of calories, Winter. The amount of nutrients for each season indicated the same seasonal rank-spring, summer, automn and winter-as was found for the caloric intakes. The protein level was near the recommended dietary allowences given by the Nutrition Committee of the F. A. O. in Korea. About one third to half of the proteins came from animal sources. The intake of calcium and of vitamin A in winter was distinctly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seasons. Vitamin C and niacin were comparatively higher than the recommended allowences. With the exception of winter, the intake of vitamin $B_1\;and\;B_2$ was reasonable. The major reason for the different amount of food intake at each season especially during winter, related directly to the quality of foods available and the possibilitie for a varied menu. Another reason for the differences was the fact that some of the subjects occasionally had their meals or snacks outside of the dormitory because they did not have enough food at meal time. However, another reason for this fact was that the majority of the subjects prefered to change their routine once in a while and have a meal or snack outside the institu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