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뽕나무

검색결과 450건 처리시간 0.03초

뽕나무 눈 마름병 발생 생태에 관한 연구

  • 김영택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8.1-68
    • /
    • 1973
  • 1. 추기 적엽방법에서는 염병 따기가 눈 마름병 발생이 적었다. 2. 추기 벌채는 강벌채 일수록 눈 마름병 발생이많다. 3. 눈 마름병균의 뽕나무 가지 침입시기는 수원지방의 경우 8월중순부터 9월하순경이였다. 4. 추기 조상벌채후 11월이후 재벌채 하면 눈 마름병을 억제 할수 있다.

  • PDF

뽕나무 하늘소(Apriona germari Hope)로부터 Beauveria속 사상균의 분리 및 PCR에 의한 동정 (Identification of Beauveria spp. Isolated from Mulberry Longicorn Beetle (Apriona germari Hope)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 서종복;진병래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67-171
    • /
    • 1995
  • 딱정벌레목 천공성 해충인 뽕나무 하늘소(Apriona germari)의 효과적인 방제를 위하여, 뽕나무 하늘소 이병충으로 부터 곤충병원 사상균을 분리하고, 위상차 현미경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뽕나무 하늘소 이병충으로 부터 분리된 곤충병원 사상균은 현미경 관찰 결과 Beauveria속의 전형적인 형태적 특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이들의 용이한 동정을 위하여 PCR primer(5'-ACG GGC GCT C-3')를 이용한 RAPD(random amplification of polymorphic DNA) 방법으로 분석하고, B. bassiana와 B. brongniartii의 PCR 산물을 전기영동한 결과 DNA 표식자로 이용이 가능하였다. 이상의 결과로서 본 실험에서 분리·명명된 SFB-1A는 B. bassianifh, SFB-1A는 B. bassiana로, SFB-3A는 B. brongniartii로 동정되었다.

  • PDF

뽕나무(Morus alba) 및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잎의 수용성 추출물이 흰쥐 각 조직중의 지질 과산화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Soluble Extract from Leaves of Morus alba and Cudrania tricuspidata on the Lipid Peroxidation in Tissues of Rats)

  • 차재영;김현정;조영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31-536
    • /
    • 2000
  • 뽕나무 (Morus alba) 및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잎으로부터 추출한 수용성 물질을 0.5% 콜레스테롤 투여 식이에 1%(w/w) 수준으로 첨가하여 각 조직에서의 지질 과산화물 생성정도를 나타내는 TBARS 측정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검토하였다. 흰쥐의 체중 및 식이 섭취량은 실험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간장 및 뇌 조직 중량은 뽕잎 추출물군에서 증가하였다. 신장의 지질 과산화물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서 뽕잎 추출물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뇌 및 심장의 지질 과산화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뇌 및 심장의 지질 과산화물 함량은 대조군에 비교해서 꾸지뽕잎 추출물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간장 및 비장의 경우에는 각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각 조직의 microsomes 분획으 지질 과산화물은 심장과 비장에서 뽕잎 및 꾸지뽕잎 추출물군에서 감소하였으나, 다른 조직에서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한편, 각 조직의 microsomes 분획을 얻어서 Fe2+/ascorbate로 지질 과산화물을 유도하기 위하여 37$^{\circ}C$에서 한시간 반응을 시킨 결과, 뽕잎 및 꾸지뽕잎 추출물군에서 약 절반 정도 감소하였으며, 상대적 증가량은 뇌조직 microsomes에서 현저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 신장조직 및 간장 microsome막 지질 과산화물 함량은 뽕잎 및 꾸지뽕잎 수용성 추출물에 의해 감소되었으며, 뇌 및 심장조직의 지질 과산화물 함량은 꾸지뽕잎 수용성 추출물에 의해 증가됨으로써 봉잎 추출물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뽕나무 숯 처리가 Kentucky Bluegrass의 염해에 따른 생육과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lberry Charcoal Treatment o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Kentucky Bluegrass Grown under Salt Stress Condition)

  • 배은지;정성우;박남창;이광수;신현철;허무룡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2-117
    • /
    • 2011
  • 본 시험은 뽕나무 숯이 염해의 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지형 잔디인 Kentucky bluegrass를 공시하여 수행하였다. 잔디의 생체중과 건물중 등의 생육은 NaCl 400 mM의 처리에 의해 크게 억제되었으며 NaCl처리에 의해 엽록소 농도의 저하와 전해질의 누출상승 등 생리적 장해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생육의 억제와 생리적 장해는 뽕나무 숯의 전처리에 의해 크게 경감될 수 있었다. 뽕나무 숯의 전처리는 K이온의 흡수를 도와 Na이온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시험의 결과 뽕나무 숯의 처리는 염해에 약한 잔디류의 간척지 및 염류가 높은 토양에서 식생조성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뽕나무가지 썩음증상 분리한 빙핵활성세균의 동정, 생물검정 및 그 분석 (Identification and Bioassay of Nucleation Active Bacteria from Branch Rot of Mulberry and Their Population)

  • 김형주;김용택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2-68
    • /
    • 1994
  • 뽕나무 추기벌채 후 피해가 큰 가지썩음 증상에서 빙핵활성세균의 분리, 생물검정 및 동정과 밀도를 조사하여 본 결과 1. 총 36개의 분리세균 중 -1$0^{\circ}C$ 이상 온도에서 동결이 되는 세균은 12개였으며, -5$^{\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2개균주였다. 2. 공시세균의 생물검정에 있어서 토마토와 옥수수에서는 -1$0^{\circ}C$ 이상의 동결균주에서는 일정한 경향을 볼 수 없었으나 뽕나무에서는 -5$^{\circ}C$ 이상에서 동결이 되는 세균에서만 육안으로 확실한 동상해피해를 볼 수 있었다. 3. 뽕나무, 옥수수, 토마토유묘에 피해를 주며 -5$^{\circ}C$ 이상에서 영핵활성이 있는 균주 SE9316, SE9338을 동정해 본 결과 gram음성, 간상형, 운동성이 있고 극모를 가지고 호기성균인 Pseudomonas syringae로 동정되었다. 4. 5cm, 10cm 이병뽕나무가지에서 Pseudomonas 속 영핵활성세균의 밀도는 2월과 4월이 가장 높았고, 5월에는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병반에서 멀어질수록 밀도는 감소하였다. 또한 그 밀도는 105cfu/g 이상으로서 동상해를 유발시키기에 충분한 밀도였다.

  • PDF

Listeria monocytogenes의 증식을 억제하는 식용 가능한 식물 추출물의 검색 (Antimicrobial Effects on Listeria monocytogenes by Some Edible Plant Extracts)

  • 한지숙;신동화;윤세억;김문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45-551
    • /
    • 1994
  • 식용 가능성이 있는 식물 49종의 열매, 줄기, 잎, 껍질 혹은 뿌리를 75% ethanol을 용매로 추출물을 얻고 이를 Listeria monocytogenes ATCC 19111, L. monocytogenes ATCC 19112, L. monocytogenes ATCC 19113, L. monocytogenes ATCC 19114 및 L. monocytogenes ATCC 15313을 대상으로 증식저해 정도를 disk method로 검색하고 효과가 있는 것은 액체 배지에 농도별로 첨가,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 L. monocytogenes ATCC 19111에 비교적 높을 항균성을 보인 식물의 ethanol 추출물은 털진득찰, 뽕나무이고 L. monocytogenes ATCC 19112와 ATCC 19114에는 뽕나무, ATCC 19113에는 고삼, 뽕나무, ATCC 15313에는 뽕나무, 꿀풀, 회향 등 이었다 이들 식물 추출물중 광범위하게 항균성을 나타내는 뽕나무껍질 추출물은 실험한 L. monocytogenes 5종 모두에 대하여 500ppm 첨가 수준에서 대부분 완전 증식억제 현상을 보였다.

  • PDF

PCR-SSCP 분석법에 의한 뽕나무 오갈병 파이토플라스마의 유전변이 검출기법 (Detection method of Genetic Variation of Mulberry Dwarf Phytoplasma by PCR-SSCP Analysis)

  • 한상섭;차병진;성규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6호
    • /
    • pp.631-635
    • /
    • 2006
  • 파이토플라스마 증폭 primer, R16F2n/R2를 이용하여 뽕나무 오갈병 파이토플라스마와 대추나무 빗자루병 파이토플라스마에 대하여 SSCP분석법을 이용하여 염기변이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뽕나무 및 대추나무 파이토플라스마는 약 1.2 kb PCR 산물을 이용하더라도 뚜렷한 밴드차이를 나타내었다. 유사한 SSCP밴드 패턴을 보이는 두 시료 간의 밴드형태를 뚜렷하게 구별하는 방법을 찾기 위하여 뽕나무 오갈병 파이토플라스마와 대추나무 빗자루병 파이토플라스마의 PCR산물을 혼합한 후 SSCP분석 결과, 전기영동상에서 대추나무 파이토플라스마와 뽕나무 파이토플라스마의 SSCP 밴드패턴 모두를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기존에 약 600bp 크기로 한정된 것으로 알려진 SSCP 분석을 PCR 산물 1.2 kb을 이용하여 유사한 SSCP 밴드패턴을 보이는 두 시료간의 밴드형태를 두 시료의 PCR 산물을 혼합하여 SSCP분석함으로써 뚜렷하게 구별할 수 있었다.

뽕나무버섯균의 생리적 특성 및 부후특성 (Physiological and degradational characteristics of Armillaria mellea)

  • 채정기;김윤수;이광호;김현주;김현석;최영우;김종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4-30
    • /
    • 2005
  • 뽕나무버섯균의 배양적 특징 및 부후특성을 구명하고자 최적 (액체, 한천)배지 선발, 최적 온도 선정, 최적 pH 선정, 최적 톱밥배지를 선발하고, 세포벽 부후 특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최적온도는 $20{\sim}27^{\circ}C$, 최적 pH는 고체 배지에서는 pH 5.0~6.5의 약산성에서 균사생장이 양호하였다. 최적 고체배지로는 ME와 PDA로 선발되었고, 최적 액체배지로는 glucose peptone이 선발되었다. 첨가제로는 탄소원인 lactose, mannitol, 질소원인 glutamic acid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뽕나무버섯균의 최적 톱밥배지 선발에 있어서 잣나무,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소나무에서 균사생육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삼나무에서 생장이 저조하였다. 뽕나무버섯균에 의해 부후된 침엽수재와 활엽수재 모두 전형적인 백색부후의 부후 형태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삼나무와 아카시나무의 부후는 상대적으로 미약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소나무류(Pinus sp.)의 톱밥이 뽕나무 버섯균의 재배기질로 적합함을 보여주며 일반적으로 흔히 구할 수 있는 저가의 제재부산물인 경송류의 톱밥을 재배 기질로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 PDF

뽕나무 줄기마름병(동고병) 약제방제에 대하여 (The comparable test of the chemicals on control effects of mulberry die-back disease.)

  • 김영택;정봉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0권
    • /
    • pp.53-55
    • /
    • 1969
  • 1. 본시험은 1967년 가을부터 1968년 가을까지 살균제 루베롱(EMP), PMF, 석회유황합제, 쿠론(PCP제), PMA 5종을 공시하여 뽕나무 줄기마름병에 대한 그 효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2. 뽕나무 줄기 마름병에 대한 약효에 있어서는 루베롱, PMF는 그 효과가 우수 하였으며, 다른 약제 및 무처리와는 고도의 유의성이 있었고 다른약제는 무처리에 비하여 별로 그 효과를 인정할 수 없었다. 3. 본병 방제를 위하여 루베롱(EMP) 1500배액을 9월과 10월에 걸쳐 2회정도 10a당 150$\ell$를 가지기부에 충분히 살포하면 가장 효과적이고 다음은 PMF가 효과가 좋았다.

  • PDF

누에 인공사료의 Cellulose원 개발에 관한 연구(I) (Study on the Extracted Cellulose Powder from Natural Resources for Artificial Diet of Silkworm, Bombyx mori (I))

  • 김주읍;박광의;성수일;유재복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7
    • /
    • 1977
  • 누에인공사료의 조성중 필수적인 cellulose성분을 천연의 자원에서 개발하기 위해 뽕나무가지, 미류나무가지, 리기다소나무와 이태리포프라의 펄프분말, 왕겨, 톱밥, 볏짚등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뽕나무가지와 리기다소나무펄프가 인공사료의 cellulose대치 가능 자원임이 밝혀졌다. 특히 뽕나무가지의 화학적인 처리방법에 의하여 누에성장발육에 보다 유용한 제품을 얻을 수 있었고, 나아가서 장차 인공사료개발에 cellulose원으로서의 역활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