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빠른 응답

검색결과 698건 처리시간 0.029초

웹 캐싱 지역 프로토콜에서 요청에 대한 효과적인 라우팅 (Efficient Request Routing in Web Caching Neighborhood Protocol)

  • 이용찬;김성천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A)
    • /
    • pp.721-723
    • /
    • 2001
  • 월드 와이드 웹(WWW)서비스는 상당한 지연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수준까지 성장해 왔다. 이런 이유로 웹 지연시간을 줄이기 위한 기술들이 중요하게 되었다. 프록시 서버 캐시는 느린 응답시간과 네트워크 정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되었는데 이런 프록시 서버들을 계층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하지만 이런 일반적인 웹캐싱 계층 기법들은 프록시 서버들간의 통신 경로에 있어서 유연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정적 구조의 기법이다. 이런 정적인 기법에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캐싱 지역 프로토콜(Caching Neighborhood Protocol)이 제안되었고 이 CNP는 요청들을 협력적으로 처리하는 일련의 프록시 서버의 집합이 매 단일 요청에 대해서 바뀔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요청 처리 경로가 다양해 질 수 있기 때문에 정적 구조 기법과는 반대인 동적 구조 기법이다. 하지만 이러한 동적 웹 캐싱 계층 구조인 CNP에서는 각 웹서버를 대표하는 캐싱 대리인(Caching Representatives)에 대한 웹문서의 링크참조정보와 부하정보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빠른 응답시간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에 제안되었던 프록시 서버들을 동적 웹캐싱 계층으로 구성한 CNP와 새로 추가된 C-Rep의 상태정보를 이용해서 새로운 요청 라우팅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기법은 이런 C-Rep의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응답시간의 향상과 C-Rep의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었다.

  • PDF

유효 시간 범위에서의 응답성 향상을 위한 실시간 스케줄링 알고리즘 (Scheduling Algorithm for Improving Response-Time within valid time)

  • 박도현;장민우;홍지만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0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7 No.1(B)
    • /
    • pp.389-392
    • /
    • 2010
  • 실시간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시스템 같은 빠른 응답성을 요구하는 시스템이 존재 할 수 있다. 현재 EDF, RM 알고리즘의 경우 각각 마감시간, 수행 주기 시간에 의해서 우선순위가 선정되고 수행된다. 그러나 시스템 상에 실시간 프로세스 외에 다양한 프로세스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마감 시간과 프로세스의 기본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새로운 우선순위를 이용하며, 전체 프로세스들이 마감 시간내에 스케줄링 가능하고 문맥교환에 의한 오버헤드에 의해 마감시간을 넘어가지 않을 경우 각 프로세스들에게 타임 슬라이스를 할당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 알고리즘들 보다 응답성을 향상시키는 기법을 제시한다.

  • PDF

사물 인터넷 그래프 제안 및 특성 (A Suggestion and Analysis for the Internet of Things Graph and Characteristics)

  • 류신혜;김상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12-1015
    • /
    • 2018
  • 사용자의 상황을 인지하고 신속한 대처를 하기 위해서는 많은 사물 인터넷 기기의 정보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위급 상황에서 사용자의 응답이 없을 경우 주변의 다른 사용자를 탐색하여 상황이나 서비스를 대신 전달해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의 응답이 없을 때 주변 사용자 간의 친밀도와 중요도를 분석하여 다른 사용자를 탐색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사물인터넷 기기뿐만 아니라 사용자간의 친밀도를 분석하여 다른 사용자나 기관에 알림으로써 응급 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기기와 사용자 간의 친밀도를 포함하는 새로운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사용자의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인지하고 응답이 없는 사용자의 빠른 대처를 위한 다른 사용자를 탐색하여 다양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이동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방송을 이용한 캐쉬 유효화 기법 (A Broadcast Cache Validation Scheme in a Mobile Database System)

  • 임상민;강현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1)
    • /
    • pp.237-239
    • /
    • 1999
  • 이동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이동컴퓨팅 환경에서의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동 호스트 내에 캐쉬가 존재할 경우, 대역폭의 절약 및 빠른 응답시간을 제공할 수 있지만, 캐쉬 일관성을 유지해야 하는 부담이 생긴다. 한 셀 내에 존재하는 수많은 이동호스트들의 캐쉬 일관성 유지를 위해서 서버가 캐쉬 무효화 보고를 일정시간마다 주기적으로 보내는 방법은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런데, 이동호스트가 오랜시간 동안의 접속 단절로 인해 무효화 보고만으로 자신의 캐쉬 유효성 여부를 판단하지 못할 경우에는, 서버에게 캐쉬 유효성 여부에 대한 확인을 요청함으로써 캐쉬를 유효화 할 수 있다. 만일 유효성 여부 확인을 요청하는 이동호스트의 수가 많을 경우, 서버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응답을 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유효성 확인을 요청하는 이동호스트들의 수가 할당 가능한 채널 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 이를 방송을 이용하여 응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동호스트는 방송되는 내용을 계속 듣게 됨으로써, 이미 유효성 여부 확인이 이루어진 데이터에 대한 반복된 요청을 피할 수 있다.

  • PDF

모바일 진료예약을 위한 Web 2.0 기술 연구 (A study on Web 2.0 Technology for Mobile Medical Online Appointment)

  • 노일순;최희정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29-135
    • /
    • 2009
  • 국내 병원들은 u-Hospital 서비스 구현을 위한 진료예약시스템을 구축, 운영하고 있고, 운영되고 있는 시스템의 대부분은 웹 기반의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최근 등장하고 있는 Web 2.0 기술은 웹 방식에 있어서 편리한 UI 구조 제공, 빠른 응답서비스 등의 장점을 가지고 웹 영역의 많은 부분을 변화시켜 나가고 있다. 이 기술은 웹 영역을 넘어 모바일 영역에서 일부 응용이 시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Web 2.0 기술을 적용하여 모바일 진료예약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 시스템은 기존의 모바일 및 웹 기술에 비해 적은 페이지 뷰와 빠른 로딩속도로 인해 사용자의 편리성 및 응답속도를 개선하였고 성능실험을 통해 이를 증명하였다.

  • PDF

방향성 필터 뱅크를 이용한 지문 기반 개인 인증 (Fingerprint-Based Personal Authentication Using Directional Filter Bank)

  • 박철현;오상근;김범수;원종운;송영철;이재준;박길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0권4호
    • /
    • pp.256-265
    • /
    • 2003
  • 지문을 기반으로 하는 생체 인식 시스템이 보다 실용적이고 높은 신뢰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입력지문의 회전에 강인해야 할뿐만 아니라 검증이나 인식에 소요되는 응답 시간이 짧아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회전에 강인할 뿐만 아니라 처리속도가 빠른 방향성 필터 뱅크 기반의 지문 특징 추출 및 정합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영상을 방향별 대역 영상으로 효과적으로 분해해 주는 방향성 필터 뱅크를 이용하여 지문 패턴의 특징을 빠른 속도로 추출할 뿐만 아니라 특징 벡터 간 유클리드 거리에 기반하여 정합을 수행하기 때문에 전체 응답 속도가 매우 빠르다. 회전에 대해 강인한 특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방향성 필터 뱅크에 의해 분해된 대역 영상에서 다양한 회전을 고려한 특징 백터 집합을 구성한 다음 등록된 단일템플릿 특징 백터와 정합을 수행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방법 중 선두적인 방법 중의 하나인 Gabor 필터 뱅크 기반 방법에 상응하는 정확도를 가지면서 훨씬 빠른 속도로 검증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회전에 강인한 특성을 가짐을 보여 주었다.

성능 주도의 UI-Mashup 아키텍처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Performance Driven UI-Mashup Architecture)

  • 조동일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45-53
    • /
    • 2014
  • UI-Mashup은 웹 응용프로그램 개발의 최신 경향 중 하나로 인터넷 상에 분산된 다양한 콘텐츠를 조합하여 가치를 추가해 서비스하는 방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UI-Mashup 관련 연구는 동적 서비스 조합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급변하는 웹 표준에 적응하지 못하여 최종 사용자 입장에서 UI-Mashup은 느리고 불편하며 보안에 취약한 서비스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UI-Mashup의 성능 향상을 위한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제안한 아키텍처는 빠른 서비스 제공과 보안 강화를 위해 UI조각을 서버에서 병렬로 수집하고 매쉬업된 UI의 레이아웃과 UI조각들을 별도의 전송 채널을 통해 클라이언트로 전송하여 빠른 반응시간과 응답시간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한 아키텍처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구현하였으며 성능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성능테스트 결과 제안한 아키텍처는 기존 UI-Mashup 기법에 비해 2 ~ 3배 빠른 응답시간을 기록하였고, 4배이상의 처리량을 보였다.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해쉬 테이블을 이용한 데이터큐브의 생성 기법 (Data Cube Generation Method Using Hash Table in Spatial Data Warehouse)

  • 이연;김형선;유병섭;이재동;배해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381-1394
    • /
    • 2006
  •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빠른 응답을 제공하기 위하여 데이터큐브 생성기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대표적으로 다차원 배열을 사용한 기법과 hyper-tree를 기반으로 하는 H-cubing 기법이 연구되었다. 하지만 전자는 다차원 집계 연산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배열로 저장하여 데이터의 양이 많아질수록 메모리 사용이 증가하였으며 후자는 hyper-tree를 기반으로 모든 튜플을 트리로 구축하여 트리 구축비용이 증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해쉬 테이블을 이용한 효율적인 데이터큐브 생성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데이터큐브 생성 시 가중치 맵핑 테이블과 레코드 해쉬 테이블을 사용하여 다차원 데이터의 저장될 레코드 순서를 빠르게 찾아 저장한다. 따라서 데이터큐브의 생성속도가 향상되며 해쉬 테이블 만을 유지하여 메모리 사용량이 감소한다. 이는 성능평가를 통해 기존 기법보다 데이터의 빠른 검색과 데이터큐브 생성 요청에 빠른 응답을 보였다.

  • PDF

망막 ON형 쌍극세포의 광응답에 따른 다중성분의 전달물질 방출에 관한 해석 (Analysis on Multi-Components of Neurotransmitter Release in Response to Light of Retinal ON-Type Bipolar Cells)

  • 정남채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22-230
    • /
    • 2013
  • 망막 쌍극세포는 광자극에 대하여 완만한 전위응답을 하며, 막전위에 의존하여 전달물질(glutamine 산)을 방출한다. 본 논문에서는 ON형 쌍극세포의 시냅스 앞단에서 전달물질 방출 기구에 관한 여러 가지의 생리학적 정보를 수식적 모델로 통합하였다. 전달물질 방출의 빠른 성분과 느린 성분의 공급원을 병렬로 배치한 본 모델은 전달물질 방출의 막전위 및 세포 내 $Ca^{2+}$ 농도 의존성을 충실하게 재현할 수가 있었다. 또한 전달물질의 빠른 방출 성분은 사다리꼴 모양의 막전위 의존성을 나타내는 데에 반하여, 느린 방출 성분은 종모양의 막전위 의존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세포 내의 $Ca^{2+}$ 농도 상승을 $Ca^{2+}$ 완충제로 억제하여 느린 방출 성분이 감소되고, 전달 물질 방출의 막전위 의존성이 사다리꼴 모양의 특성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ON 형 쌍극세포의 광응답에서 일시적 성분과 지속적 성분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달물질 방출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광응답의 시작은 전달물질을 빠르게 방출하게 하였으며, 광응답의 일시적 성분과 초기의 지속적 성분은 전달물질을 느리게 방출하도록 하였다. 또한 광응답의 후기 지속적 성분은 저장 pool로부터 보충된 시냅스 소포에 의하여 지속적인 방출이 발생하기 때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근사 공분산 행렬을 이용한 빠른 입사각 추정 알고리듬 (Fast DOA Estimation Algorithm using Pseudo Covariance Matrix)

  • 김정태;문성훈;한동석;조명제;김정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0권1호
    • /
    • pp.15-23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입사 신호의 근사 공분산 행렬을 이용하여 신호의 입사각을 빠르게 추정하는 입사각 추정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MUSIC(MUltiple Signal Classification) 알고리듬과 같은 기존의 부분공간 입사각 추정 알고리듬은 입력 공분산 행렬을 구하기 위해서 다수의 표본 신호를 필요로 하며, 입력 공분산 행렬을 획득하기 위한 표본 신호의 수신시간 동안 입사각 추정이 수행될 수 없으므로 빠른 신호처리가 불가능하다. 또한 코히어런트 신호가 입사하는 경우에 코히어런트 신호간의 간섭으로 신호의 입사각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없다. 제안한 입사각 추정 알고리듬은 빔 형성기를 이용하여 매 표본 신호의 공간적인 빔 형성을 먼저 수행하여 신호간의 간섭을 제거한 후에 센서의 출력 값을 이용하여 방위각 응답(bearing response)과 방향 스펙트럼(directional spectrum)을 구한다. 방위각 응답으로 대략적인 신호의 입사각을 추정한 후에 방향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정착하게 신호의 입사각을 추정한다. 제안 입사각 추정 알고리듬은 공분산 행렬을 구하기 위하여 그 순간의 각 어레이 소자에 입사되는 표본 신호만을 사용하고 방위각 응답을 구하기 위해서 몇 순간 동안의 표본 신호만 필요로 하므로 기존 입사각 추정 알고리듬에 비하여 크게 향상된 입사각 추정 속도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