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빔 형태

Search Result 36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이온소스 Cathode 형태가 이온 빔에 미치는 영향

  • Min, Gwan-Sik;Lee, Seung-Su;Yun, Ju-Yeong;Jeong, Jin-Uk;O, Eun-Sun;Hwang, Yun-Seok;Kim, Ji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145.1-145.1
    • /
    • 2014
  • 변형된 end-Hall type의 이온 소스를 사용하여 이온 소스의 형태에 따라 달라지는 이온 빔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온 소스 cathode의 wehnelt mask를 세 가지 종류로 제작하였으며, 생성된 이온 빔을 이용하여 Al이 sputter 방식으로 증착된 유리 기판을 etching 하였다. 실험 결과 wehnelt mask의 모양에 따라 focus, broad, strate의 형태로 이온 빔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Al이 증착된 유리 기판의 제작을 위하여 Al target을 사용하여 RF power로 150 W, 2분간 sputtering을 하였고, 이온 소스와 기판사이의 거리를 1 cm씩 증가시켜가며 이온 빔을 2,500 V로 3분간 유리 기판을 etching한 후, 유리 기판이 etching된 모양을 통해 이온 빔의 형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sputtering과 이온 빔 처리가 가능한 챔버를 제작하였으며, scroll pump와 turbo molecular pump를 사용하였다. Base pressure $1.5{\times}10^{-6}Torr$에서 실험이 진행되었고, 불활성 기체 Ar을 사용하였다. Ar 기체를 주입시 pressure는 $2.6{\times}10^{-3}Torr$였다.

  • PDF

Comparison Between Radiation Power and Beamforming Power of plate (평판에서의 음향 방사파워와 구면파 모델을 이용한 빔형성 파워와의 비교)

  • Kim, Young-Key;Kim, Yang-Han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6 no.6
    • /
    • pp.12-18
    • /
    • 1997
  • Beamforming method has a limited spatial resolution because of finite aperture size, so that the estimated source distributions are smoothed within the resolution. Especially for low frequency noise such as mechanical noise, this limitation often diminishes the direct use of beamforming method. In this study, the relation between smoothed beamforming and radiation power distribution of plate has been addressed. By adjustment of aperture size of array, the smoothed beamforming power shows radiation power distribution of plate. Numerical simulations are carried for simply supported plate.

  • PDF

Effect of Airgun Intervals on marine Seismic Acquisition (탄성파 탐사에서 건 간격이 미치는 영향)

  • 유해수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483-486
    • /
    • 1998
  • 한국해양연구소 온누리호에 장착된 에어건 배열에서 건 간격에 따른 빔 패턴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남극해역에서 획득된 탐사자료와 비교하였다. 컴퓨터 모의과정과 배열 이론을 이용하여 신호진폭 및 빔 폭 변화 등을 시간 및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하였다. 154 Hz에서 송이배열 (cluster array) 및 폭 배열 (wide array)의 빔 폭 변화는 배열 형태보다는 건 간격에 큰 영향을 받고 있어 배열 형태가 달라도 빔 폭은 서로 유사하게 변한다. 건 간격이 클수록 송이배열이 90$^{\circ}$의 빔 패턴에서 주엽 (mainlobe)이 최대치가 되는 것과는 달리 폭배열은 0$^{\circ}$에서 최대치를 나타내며 부엽 (sidelobe)은 건 간격과 무관하게 나타난다. 두 배열의 선형간섭이 점차 줄어드는 건 간격은 2.43 m이다. 남극해 탐사자료는 건 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주신호 진폭은 약하게 기포는 강하게 증가한다. 이러한 결과는 빔 패턴 변화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나는데 건 간격이 클수록 주엽의 빔 폭이 점차 좁아져 강한 빔 패턴을 나타냄으로서 남극 탐사자료와 서로 잘 일치한다.

  • PDF

Barium atomic beam generation and atomic velocity selection (복사가열방식 오븐에 의한 배리움 원자빔 발생과 공명 형광의 광자수 셈 방법에 의한 배리움 원자빔의 밀도 및 속도분포 측정)

  • 박상범;안경원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8a
    • /
    • pp.72-73
    • /
    • 2000
  • 단원자를 이용한 Cavity-QED 실험을 통해서 광자 수상태 및 sub-poissonian 광원 구현 및 비고 전적인 광 특성을 가지는 광원등을 구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오랫동안 공진기 안에 포획하거나, 빔의 형태로 단원자들이 일정시간 동안 공진기를 지나게 해야 한다. 본 연구는 안정한 원자빔 속도제어 실험에 관한 것으로 자체 제작한 원자빔 오븐의 특성과 원자빔 속도 선택기의 제작, 속도 선택 결과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중략)

  • PDF

KSTAR 중성입자빔 소송라인 해석

  • 임기학;권경훈;조승연;김진춘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37-37
    • /
    • 1999
  • KSTAR(Korea Superconducting Tokamak Advanced Research) 핵융합 토카막 실험 장치의 플라즈마 가열을 위한 수소 중성입자빔 수송라인 내에 설치되는 collimator에 가해지는 열속 및 플라즈마에 전달되는 빔의 통과율을 해석하였다. 43cm$\times$12cm 크기의 이온원으로부터 방출되는 이온빔의 공간적 분산은 기본적으로는 Gaussian 분산(수직바향으로 1.2$^{\circ}$, 수평방향으로 0.5$^{\circ}$)의 형태를 가지지만 이온 가속 전장의 공간적 불균일로 인해 Gaussian 분산에서 다소 벗어나는 형태를 띠게 되는데, 이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을 정립하였다. 해석에 고려된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이온원을 수많은 점원의 집합으로 가정하여 각각의 점원으로부터 주어진 공간적 분산을 가지는 이온들이 방출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방출된 이온은 중성화 과정을 거쳐 40%의 이온만이 중성입자화되며, 중성화되지 않은 60%의 이온들은 bending magnet에서 ion dump로 유도되어 사라지며, 나머지 중성입자들은 직진 운동을 하게 된다. 빔 진행 도중 빔 중앙에서 크게 벗어나는 일부 중성입자들은 여러 겹으로 존재하는 빔 collimator에 의해 단계적으로 제거되며, 일부 중성입자들은 잔류 수소기체에 의한 재이온화 과정을 거치기도 한다. 여기서는 정립된 수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이들 collimator에서 제거되는 양 및 재이온화 손실들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플라즈마에 입사되는 중성입자 빔을 계산하였다. 한편, 빔 수송라인 설치시에 발생할 수 있는 설치 오차를 이온원 설치시의 오차와 빔 collimator 설치상의 오차로 구분하여 이들의 의한 영향도 계산하였다. Gaussian 분산을 가정하였을 경우, 이온원에 가장 근접하여 설치되는 collimator에 가해지는 수직성분의 열속은 9.7kW/cm2로 계산되었다. 이 열속을 제어 가능한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서 collimator는 빔 라인과 거의 나란하게 설치될 것이다. 빔의 통과율은 약 33%로서 하나의 이온원에서 방출된 7.8MW 중 2.5 MW만이 플라즈마에 전달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Non-Gaussian 분산의 경우, 최대 열속은 9.1kW/cm2로 다소 낮아졌으나, 빔통과율은 28%정도로 더욱 낮아졌다. 설치상의 오차에 의한 영향을 살펴보면, 이온원이 1$^{\circ}$ 정도 기울어지게 설치된다면 collimaor에 가해지는 최대 열속 및 빔통과율은 약 15kW/cm2, 16.6% 정도로 나타나 매우 심각한 결과를 초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해 collimator 설치상의 오차의 영향은 이보다 훨씬 작아 5mm 오차가 발생했을 경우에도 최대 열속은 12kW/cm2까지 증가했으나, 빔 통과율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 PDF

Bearing Ambiguity Solution of Towed Array Sensor System By Nonlinear Array MUSIC Beamforming (비선형 배열 MUSIC 빔형성에 의한 선배열 센서 시스템의 표적 좌우 분리 기법)

  • 김윤수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151-154
    • /
    • 1998
  • 이 논문에서 비선형 배열 MUSIC 빔형성 기법을 이용하여 예인형 선배열 센서 시스템의 표적 좌우 방위 분리 방법을 기술하였다. 이 기법은 배열 운동모델 Water-Pully 모델과 방향센서의 정보를 이용하는 칼만필터를 설계하여 예인함 기동에 따른 배열형상을 추정하고 표적의 좌우방위를 분리하기 위하여 추정된 배열형상에서 MUSIC 빔형성 기법으로 신호처리를 수행하였다. 또한 예인주기와 예인진폭과 같은 예인함 기동형태의 전형적인 빔형성 기법과 MUSIC 빔형성 기법으로 표적의 좌우 방위 분리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Dot Sight with Prism Beam Splitter (빔분리프리즘 도트사이트 장치의 개발)

  • Lee, Dong-Hee;Jung, Bo-Seon;Park, Seung-Hwan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8 no.4
    • /
    • pp.519-524
    • /
    • 2013
  • Purpose: This study relates to the development of dot-sight device, whose length is reduced, with a prism beam splitter. Methods: We developed a new dot-sight device whose length was reduced by eliminating the optical axis tilt of the doublet reflector to reduce the occurrence of the parallax and by redesigning the doublet reflector to use a prism beam splitter. Results: We could develop the new type dot-sight device having a prism beam splitter and the dot reticle generator and the doublet reflector, of which optical axises showed a T-letter type with the optical axis of the observer's eye.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designed and developed a new type dot sight employing a prism beam splitter that could be able to further enhance the accuracy of the fire in comparison with the traditional dot sight,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optical length of system. The new designed dot sight was able to be reduced 2.2 times on the overall optical length, and could be improved more than three times on the accuracy of shoo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n the traditional dot sight.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and Propagation of Relativistic Electron Beam and Pulsed Plasma at Sub-Torr Pressure

  • 고재준;최은하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241-241
    • /
    • 1999
  • 본 연구는 상대론적 전자빔(300kV, 20KA, 60ns)과 펄스플라즈마의 발생 및 전파특성에 관한 것으로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Sub-Torr로 유지되는 다이오드에서 상대론적 전자빔의 발생이 이루어질 때 전자빔의 펄스너비 및 전류 상승시간을 다이오드 압력을 변인으로 하여 연구하였다. 펄스너비와 압력과의 관계식을 실험적으로 유도하였으며 다이오드 내에서 전자빔과 중성기체와의 충돌에 의한 기체이온화 모델로 설명하였다. 또한 Sub-Torr 도파관에서 상대론적 전자빔의 수송 특성을 연구하였으며 전자빔의 propagation window와 고압에서의 수송효율의 저하 원인을 밝혔다. 그리고 이 영역에서 매우 짧은 펄스 플라즈마의 형태로 형성되는 빔 유도 플라즈마채널의 이온밀도 및 conductivity를 진단하는 새로운 실험적 방법을 확립하였다. 한편 빔 수송효율 증대를 위한 한 방법으로 진공영역에서 지역화된 중성기체를 빔 선두부분에 위치시켜 지역적인 공간전하 중성화를 꾀하는 기법도 시험되었다. 마지막으로 중 출력(1kV, 10kA, 1ms) 규모의 자기플라즈마 동력학 장치를 제작하여 펄스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제작된 자기플라즈마 동력학 장치는 현재 기초과학 지원 연구소의 "한빛" 장치에 부착되어 초기 플라즈마 발생용으로 활용되고 있다.로 활용되고 있다.

  • PDF

The Effects on Escherichia coli and Plasmid DNA Using Ultrasoft X-ray (Ultrasoft X-ray의 Escherichia coli균과 plasmid DNA에 대한 영향)

  • ;;;;;Seiya Chiba;Atsuo Kimura
    • KSBB Journal
    • /
    • v.15 no.1
    • /
    • pp.84-87
    • /
    • 2000
  • We studied the effect of ultrasoft X-ray obtained from the Pohang Light Source (PLS), on the mutation of E. coli and the damage of plasmid. After irradiation, the supercoiled plasmid DNA converted to the relaxed-form, and then to the linear-form. We transformed the irradiated plasmid DNA and isolated $\beta$-galactosidase mutants. We also isolated $\beta$-galactosidase mutants from the directly irradiated cells. There were preferred mutational sites on DNA induced by ultrasoft X-ray.

  • PDF

The optimization of the beam pattern design considering the mutual coupling effects in planar arrays (소자간 상호 간섭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평면 배열 빔 설계 기법의 최적화)

  • Song Joon-il;Jun Byung-Doo;Lim Jun-seok;Sung Koeng-Mo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99-102
    • /
    • 1999
  • 평면 배열에서 원하는 빔패턴을 얻고자 할 때 각각의 소자들의 자체 방사특성 에 의해 다른 소자가 영향을 받게된다. 보통 이러한 영향은 빔패턴의 변화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소자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러한 간섭을 줄이기 위해서 배열 형태를 바꾸는 등의 구조적인 개선은 많이 시도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개선을 통하여 영향을 줄일 수는 있으나 보다 더 정확하게 원하는 사양의 빔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최적화 기법을 통하여 이러한 영향을 보상해 주어 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빔을 설계할 때 상호 간섭 영향을 포함시킨 빔설계 알고리듬을 소개한다. 이 알고리듬은 선형 최소자승법의 해를 기반으로 최적화를 수행하고 상호 간섭의 영향은 coupling coefficients matrix를 도입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빔을 설계하게 되면 소자의 위치 등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원하는 사양의 빔을 설계 할 수 있게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