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빔 영상시스템

Search Result 13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전자총 평가 시스템에서 영상처리기법

  • Han, Cheol-Su;Jo, Bok-Rae;Jeong, Jong-Man;Kim, Ji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5.08a
    • /
    • pp.229.2-229.2
    • /
    • 2015
  • 전자현미경은 전자빔을 이용하여 나노 수준의 분해능으로 초미세 구조물을 관찰할 수 있는 측정 장치이다. 이러한 전자를 소스로 사용하는 현미경에서 전자총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전자현미경의 광학계를 설계하거나 그 성능을 평가할 때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작한 전자총 평가 시스템은 전자총의 특성인 각전류밀도와 가상 전자원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정확하게 도출하기 위해서는 우선 가상 전자원의 위치를 알아야 한다. 전자총 평가 시스템은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형광 스크린에 조사하여 전자빔을 가시광선으로 변환하고, 형광 스크린 반대편에서 광학 현미경 렌즈가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빛으로 변환된 전자빔을 촬영하여 영상으로 획득 할 수 있다. 본 발표는 이렇게 획득한 영상에서 MathWorks(R)사의 MATLAB(R)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물리적인 거리를 도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영상처리기법을 소개한다. 사용한 영상처리는 픽셀을 기반으로 계산하였으며, 취득 영상의 잡음을 제거하는 방법, 형광 스크린에서 획득한 전자빔에서 전자빔의 중심점 찾는 방법 및 이동한 전자빔의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 등이 있다.

  • PDF

Image Processing Technique for Laser Beam Recognition in Shooting Simulation System (모의 사격 시스템에서 레이저 빔 인식을 위한 영상처리 기법)

  • Oh, Se-Chang;Han, Dong-I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3 no.3
    • /
    • pp.594-601
    • /
    • 2009
  • Shooting simulation systems not only reduce a great amount of expense and time for military exercises but also prevent accidents. In particular, the shooting simulation systems using laser beam have an advantage which is very similar to the shooting exercise that uses real bullets. However, real time technique for laser beam recognition in a target image is necessary. The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takes a difference image from two adjacent image frames. Then a thresholding is applied on this difference image to discriminate laser beam from background. To decide the threshold value the intensity distribution of background points is modeled assuming normal distribution. Then a noise reduction and a region segmentation are applied on the binary image to find the position of a laser beam. The time complexity of this process depends on the size of an image multiplied by the size of a mask used in the noise reduction process. The experimental result showed that the accuracy of the system was 93.3%. Even in the inaccurate cases the beam was always found in the resultant region.

Beam projector calibration System based on Zigbee (지그비 기반 빔 프로젝터 자동 영상 교정 시스템)

  • Chun, Sung-Chul;Koo, In-Soo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1 no.2
    • /
    • pp.13-19
    • /
    • 2011
  • By using beam-projectors, we can easily configure a big image system.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beam-projectors, however manual steps are essentially needed to perform a calibration such that distortions can be minimized. In order to automatically perform the correction of distor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auto-calibration method for beam-projector, which is based on Zigbee and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simple hardware and software. In the proposed scheme, we recognize the required image project area by using Zigbee-based sensor module, and then we can obtain the best beam projection even in the case that the screen is badly twisted.

Study of a Brain Tumor and Blood Vessel Detection System Using Multiple Fluorescence Imaging by a Surgical Microscope (수술현미경에서의 다중형광영상을 이용한 뇌종양과 혈관영상 검출 시스템 연구)

  • Lee, Hyun Min;Kim, Hong Rae;Yoon, Woong Bae;Kim, Young Jae;Kim, Kwang Gi;Kim, Seok Ki;Yoo, Heon;Lee, Seung Hoon;Shin, Min Sun;Kwon, Ki Chul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26 no.1
    • /
    • pp.23-29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icroscope system for detecting both a tumor and blood vessels in brain tumor surgery as fluorescence images by using multiple light sources and a beam-splitter module. The proposed method displays fluorescent images of the tumor and blood vessels on the same display device and also provides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m to the operator. To acquire a fluorescence image, we utilized 5-ALA (5-aminolevulinic acid) for the tumor and ICG (Indocyanine green) for blood vessels, and we used a beam-splitter module combined with a microscope for simultaneous detection of both. The beam-splitter module showed the best performance at 600 nm for 5-ALA and above 800 nm for ICG. The beam-splitter is flexible to enable diverse objective setups and designed to mount a filter easily, so beam-splitter and filter can be changed as needed, and other fluorescent dyes besides 5-ALA and ICG are available. The fluorescent images of the tumor and the blood vessels can be displayed on the same monitor through the beam-splitter module with a CCD camera. For ICG, a CCD that can detect the near-infrared region is needed. This system provides the acquired fluorescent image to an operator in real time, matching it to the original image through a similarity transform.

Micrometer Spatial Resolution Imaging System Using Synchrotron X-ray (Synchrotron X-선을 이용한 Micrometer 공간 분해능 영상시스템)

  • 홍진오;정해조;정하규;제정호;김은경;유형식;김희중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2 no.2
    • /
    • pp.165-169
    • /
    • 2001
  • 최근 포항 방사광 가속기 연구소에 미세구조 X-선 영상 실험을 위한 5C1 방사광(Synchrtoron Radiation) 빔라인이 건설되었다. 광대역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가진 방사광 X-선이 물체를 투과한 후 CdWO$_{4}$ scintillator에 의해 가시광선으로 바뀌고, 그 빛을 CCD 카메라로 받아들여 영상을 획득하게 된다. 방사광 X-선은 일반 의료진단용 X-선에 비하여 위상이 일치하고, 평행하며, 그 양이 풍부한 특성들을 갖고 있다. 방사광 영상시스템과 X-선 유방촬영 시스템에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특성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고-분해능 X-선 시험 패턴(20 line pairs mm$^{-1}$), 유방촬영 팬텀, 파라핀에 고정한 인체 유방암조직과 포르말린에 고정한 인체 유방암조직, 그리고 capillary tube내 micro-bubbles등의 방사광 영상은 기존의 X-선 유방촬영시스템에서 얻은 영상보다 분해능이 뛰어나고 영상질도 우수하였다. 방사광 X-선 영상시스템은 micrometer 공간 분해능 영상을 획득할 수 있어 많은 기초분야의 영상연구와 의료영상분야에서도 활발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one-Beam Microtomography and Its Application (원추형 빔 마이크로 단층촬영기술 및 그 응용)

  • Kim Ho-K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22 no.3 s.168
    • /
    • pp.7-14
    • /
    • 2005
  • 본 논고에서는 microfocus X 선 발생장치와 평판형 영상센서를 이용한 micro-CT 시스템의 개발과 그 응용에 대해 소개하였다. 개발과 관련하여서는 영상센서 및 시스템의 동작원리뿐만 아니라 성능평가 결과에 대해서도 간단히 언급하였는데, 이와 같은 성능평가는 추후 개선된 혹은 새로운 설계 및 제작을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할 부분이다. 개발된 micro-CT 시스템의 응용분야 소개와 관련하여서는 몇 가지 획득 영상을 토대로 바이오 영상과 산업용 영상에 관하여 언급하였다. 바이오 영상분야에서는 현재 세계적으로 유수 의료기기업체에서 이미 제작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대부분 X선 영상증배관 혹은 CCD(charge-coupled device)를 X 선 영상획득 센서로 사용한 반면, 본 논고에서 소개한 시스템은 평판형 영상센서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Micro-CT 시스템의 산업용 영상분야로의 적용은 이제 시작 단계이며, 기존 라미노그라피 시스템을 대체하거나 혹은 새로운 응용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Human Motion Measurement with One Color Camera (한 대의 칼라카메라를 이용한 인체 운동량 측정)

  • 안정호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2 no.1
    • /
    • pp.41-47
    • /
    • 2001
  • 본 연구는 한 대의 칼라 카메라와 광학장치를 이용하여 인체의 운동량을 측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광학을 이용하여 인체의 운동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두 대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으로 측정물체에 대한 좌표를 구하는 입체화상법을 사용한다. 제시한 시스템은 서로 다른 색의 칼라필터와 거울을 통과한 두 개의 광경로를 빔스플리터로 중첩시켜서 한 대의 칼라카메라로 영상을 획득하여 분석하는 것으로, 한 대의 칼라카메라가 두 대의 단색 가상카메라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단색 가상카메라는 적색, 녹색과 청색의 세 가지로 본 실험에서는 적색의 밝기가 가장 낮아서 녹색과 청색 가상카메라를 사용하였다. 광학장치를 이용하여 칼라카메라로 획득된 적색, 녹색과 청색별로 8bit인 24bit 디지털영상에서 녹색과 청색 영상은 각각 녹색과 청색의 가상카메라로 획득한 영상이다. 이 영상들을 이진화하여 측정물체를 배경으로부터 분리하고, 이진영상에서 일정한 면적을 지닌 영역의 중심을 측정물체가 영상면에 투영된 좌표로 본다. 녹색과 청색 영상에서 동일한 측정물체에 대한 영상선을 구하고 이들의 교차점을 측정물체의 공간좌표로 하였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직립 및 신전자세에서 척추의 형상을 측정하였으며 향후 시스템의 추가적인 개발과 적응분야에 대하여도 살펴보았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ireless Low-Cost Real-Time Data Transfer System for VGA Video Data (저비용 실시간 VGA 비디오 영상 무선 전송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Hong, Dong-Pyo;Cha, Sung-Hyun;Yi,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b
    • /
    • pp.357-36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VGA 해상도의 컴퓨터 영상을 무선으로 전송하여 빔프로젝터로 전달하는 저비용 실시간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시스템의 기능은, 컴퓨터영상 정보의 획득, 영상정보의 압축, 압축된 정보의 실시간 송수신, 압축해제 및 영상 정보복원, 영상데이터의 외부출력으로 구성된다. 영상 전송의 속도를 최대로 높이기 위하여 무선 전송은 IEEE 802.11g를 사용하고, 전송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표준 정지영상 압축 정보의 생성과 정보 표시 형식을 변형하여 사용한다. 변형된 정지영상 압축방식을 사용한 결과 압축을 하지 않고 전송한 경우에 비해서 약 4배가 빨라졌으며, 한 프레임의 영상을 전송하는데 평균 600ms가량 소요되었다. 이는 일반적 강의에서 사용하는 화면전환 속도로 합리적이라고 볼 수 있다.

  • PDF

Implementation of an Optimal Many-core Processor for Beamforming Algorithm of Mobile Ultrasound Image Signals (모바일 초음파 영상신호의 빔포밍 기법을 위한 최적의 매니코어 프로세서 구현)

  • Choi, Byong-Kook;Kim, Jong-My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6 no.8
    • /
    • pp.119-128
    • /
    • 2011
  • This paper introduces design space exploration of many-core processors that meet high performance and low power required by the beamforming algorithm of image signals of mobile ultrasound. For the design space exploration of the many-core processor, we mapped different number of ultrasound image data to each processing element of many-core, and then determined an optimal many-core processor architecture in terms of execution time, energy efficiency and area efficiency.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PE=4096 and 1024 provide the highest energy efficiency and area efficiency, respectively. In addition, PE=4096 achieves 46x and 10x better than TI DSP C6416, which is widely used for ultrasound image devices, in terms of energy efficiency and area efficiency,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