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항염제

Search Result 10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Inhibitory Effects of Rosa rugosa Crude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on Adipogenic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해당화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

  • Lee, Hyunjung;Yang, Jiho;Choi, Mi-na;Jeon, Seongeun;Zhou, Xianrong;Oh, Jung Hwan;Karadeniz, Fatih;Seo, Youngwan;Kong, Chang-Suk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32 no.12
    • /
    • pp.979-988
    • /
    • 2022
  • Halophytes have been reported to possess a variety of phys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cancer, anti-oxidant, anti-diabetes, anti-inflammatory, and anti-obesity. Studies on the roots of the halophyte Rosa rugosa, in particular, have shown a variety of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are known to be effective for nursing diabetic complications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R. rugosa on adipogenesis was investigated in 3T3-L1 pre-adipocytes treated with crude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H2O, n-BuOH, 85% aq. MeOH, and n-Hex) obtained from R. rugosa roots. Treatment with extract and the solvent fractions inhibited the formation of intracellular lipid droplets in differentiated 3T3-L1 adipocytes compared to the untreated group. In particular, n-BuOH and 85% aq. MeOH fractions effectively decreased the expression of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γ (PPARγ),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 (C/EBPα), and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c (SREBP1c) in both mRNA and protein level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R. rugosa contains anti-adipogenic molecules that can be utilized as a nutraceutical against obesity. Further refining of n-BuOH and 85% aq. MeOH fractions and analysis of their action mechanisms could yield potential therapeutic agents with anti-adipogenic effects.

CHEMOPREVENTION OF COLON CANCER BY THE KOREAN FOOD STUFFS COMPONENTS

  • Kim, Dae-Joong;Shin, Dong-Hwan;Ahn, Byeong-Woo;Jang, Dong-Deuk;Hiroyuki Tsuda;Shoji Fukushim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oxicology Conference
    • /
    • 2002.05b
    • /
    • pp.106.2-132
    • /
    • 2002
  • 형질전환 (유전자 결핍; Knockout) Min 마우스를 이용하여 대장암 발생에서 배추, 양배추 주성분인 indole-3-carbinol (I3C)의 대장암 예방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험동물로는 C57BL/6J-Apc$^{min/+}$(Min 마우스)계의 5내지 6주령의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마우스 70마리와 C57BL/6J계의 동일 산자, 동일 주령의 수컷 wildtype 비형질전환 마우스 10kfl를 The Jackson Laboratory 사 (Bar harber, ME, USA)로부터 직접 구입하였다. C57BL/6J-Apc$^{min/+}$계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Min)마우스 70마리를 각 군 20내지 25마리씩 세군으로 나누었다. Group 1에는 20마리, Group 2에는 25마리, Group 3에는 25마리를 배치하고, I3C 투여 실험군 (Group 1과 2)에는 실험시작시에 AIN-76A 분말사료에 I3C가 각각 100 및 300ppm이 함유되도록 조제하여 공급하였다. 그리고 실험군(Group 3)에는 실험시작부터 종료시까지 AIN-76A 정제고형사료(Teklad사, WI, USA)를 자유로이 급이하였다. 각군간의 체중, 사료 및 음수소비량을 매 2주마다 측정하였고, 10주간 (16주령)의 실험종료시에는 최종체중과 간장, 신장, 비장 등의 장기무게를 측정하여 상대장기 무게비를 산출하였다. 대조군으로서 C57BL/6J계의 동일 산자, 동일 주령의 수컷 wildtype 비형질전환 마우스 10마리는 같은 조건의 사육실에서 AIN-76A 정제고형사료를 33주간 자유로이 급이하였다. 실험동물은 부검전에 하룻밤 동안 절식하고 이산화탄소 흡입 마취하에서 흉대동맥을 절단하여 방혈하고 각 장기(심장, 폐, 위)를 적출하여 생리심염수에 넣어 장기무게를 측정하고 포르말린에 고정하였다. 소장과 대장의 검사를 위하여 위의 식도부위와 직장을 실로 결찰하여 적출하고 생리심염수를 주입하여 팽창시켜, 십이지장, 공장, 및 회장, 그리고 대장으로 나누어 여과지에 펼친 후 포르말린에 고정하였다. 소장과 대장은 육안 및 자동 영상분석길ㄹ 이용한 분석이 끝난 후에 각 부위별로 4-6개의 절편을 작제하여 포르말린에 재고정하고, 통상적인 조직처리과정, 파리핀 포매 및 3-4$\mu$m 두께의 조직절편을 제작하여 H&E 염색을 실시하여 현미경으로 검경하였다. 약 1주일간의 포르말린 고정이 끝난 소장 및 대장을 부위별, 별 종양개수 및 분포를 자동영상분석기(Kontron Co. Ltd., Germany)로 분석하였다. 체의 변화, 장기무게, 사료소비량 및 마리당 종양의 개수에 대한 통계학적 유의성 검증을 위하여 Duncan's t-test로 통계처리 하였고, 종양 발생빈도에 대하여는 Likelihood ration Chi-square test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C57BL/6J-Apc$^{min/+}$계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마우스에 AIN-76A 정제사료만을 투여한 대조군의 대장선종의 발생률은 84%(Group 3; 21/25례)로써 I3C 100ppm 및 300ppm을 투여한 경우에 있어서는 각군 모두 60%(Group 1; 12/20 례, Group 2; 15/25 례)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장선종의 마리당 발생개수에 있어서는 C57BL/6J-Apc$^{min/+}$계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마우스에 AIN-76A 정제사료만을 투여한 대조군은 1.40$\pm$0.24(100%)에 비하여 I3C 저농도 투여 실험군(Group 1; 0.85$\pm$0.23; 61%, P<0.01), 그리고 I3C 고농도 투여 실험군(Group 2 ; 1.32$\pm$0.29 ; 94%)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선종의 크기별 종양의 발생개수의 분포에 있어서 I3C 저농도 투여 실험군에 있어서는 선종의 크기가 3mm이하의 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C57BL/6J-Apc$^{min/+}$계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마우스에 AIN-76A 정제사료만을 투여한 대조군의 부위별 소장선종의 발생수는 십이지장부위를 제외하고 각 군에서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십이지장 종양의 발생개수에서만 I3C 저농도 투여 실험군(Group 1 ; 3.11$\pm$0.85)이 대조군 (Group 3: 1.48$\pm$0.35) 및 I3C 고농도 투여 실험군(Group 2: 1.56$\pm$0.47)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P<0.05). 따라서 I3C은 소장에서는 암예방 효과가 뚜렷하지 않으나, 대장에 대한 암에방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소장 및 대장을 제외한 간장, 신장, 비장, 심장, 폐 그리고 위 등의 기타 장기에서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소장 및 대장의 종양은 선종(polyps)으로 관찰되었다. 지난 10여년간 형질전환 및 유전자 결핍 실험동물의 종류가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하여 이용되고 있다. 가족성 대장 선종성 용종증(FAP)의 대표적인 모델로 이용되고 있는 C57BL/6J-Apc$^{min/+}$계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마우스를 사용하여 배추나 양배추의 주요성분인 Indole-3-carbinol(I3C)의 대장암 예방효과가 있는지를 검색하여 본 결과 AIN-76A정제사료만을 투여한 대조군의 대장선종의 발생률 84%에 비하여 I3C 100 및 300ppm을 투여한 실험군에 있어서 각군 모두 60%로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대장선종의 마리당 발생개수에 있어서는 대조군의 1.40$\pm$1.041를 100%로 환산하였을 경우 I3C 저농도 및 고농도 투여 실험군에서는 각각 약 61%와 94%를 나타내여 감소하였다. 특히 대장선종의 크기별 분포에 있어서 선종의 크기가 3mm이하의 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저농도 I3C의 투여는 실험적 유전성 가족성 대장 선종성 용종증 모델에 있어서 어느정도 암 예방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소장 선종의 발생에는 별 영향이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본 실험에 사용된 C57BL/6J-Apc$^{min/+}$계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마우스는 실험개시 시점이 7내지 8주령이 경과하여 이미 태생기부터 소장 및 대장의 선종 발생이 진행되어 온 것을 감안하고 특히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 소염제(NSAIDS)와 같은 강력한 COX-2억제제가 아님을 고려하면, 상당한 선종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생각한다. 또한 이제까지 배추나 양배추 성분의 복합성분들에 대한 실험적 대장암 모델에서의 촉진효과 등에 대한 보고들이 있어 온 점을 고려할 때 위암(Kim 등, 1994) 간암(Kim 등, 1994), 유방암(Grubbs, 등, 1995; Bradlow 등, 1995)에 대한 예방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이러한 종양조직내에서의 COX-2 및 iNOS mRNA와 단백질의 발현정도를 분자병리학적으로 연구중에 있으며, 향후 십자화과식물 성분인 indole-3-carbinol이 마우스뿐 만 아니라 랫드의 화학발암물질에 의한 대장종양에 대한 억제효과 있는지 연구 필요가 있다. Min 마우스와 같은 형질 전환(유전자결핍;knockout) 실험동물을 이용한 새로운 중기 발암성 시험범의 확립을 통한 각종 환경 유해물질의 발암성 유무 및 COX-2 억제작용이 있는 식품인자의 암예방 후보물질을 체계적으로 검색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Fluticasone Propionate and Beclomethasone Dipropionate in Asthmatic Patients (천식환자에서 Fluticasone propionate와 Beclomethasone dipropionate의 치료효과 비교)

  • Yang, Dong-Kyu;Kim, Young-Sam;Ahn, Chul-Min;Ko, Won-Ki;Chang, Joon;Kim, Sung-Kyu;Lee, Won-Youn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47 no.5
    • /
    • pp.629-641
    • /
    • 1999
  • Background: Corticosteroid is most potent and effective anti-inflammatory medication currently available and inhaled form has been used in the long-tenn control of asthma. Fluticasone propionate(Flixotide/Flovent: FP) is highly potent and topically active inhaled corticosteroid and has at least twice the potency of beclomethasone dipropionate(BDP) in the control of asthm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icacy of FP and BDP in several aspects. Method: Fifty patients with asthma were treated in a randomized, parallel group study of 4 weeks duration. During 2-week run-in period $\beta_2$-agonist was administered. After run-in period, FP $500{\mu}g/day$ was administered via Diskhaler or BDP $800{\mu}g/day$ via reservoir dry-power device. During the run-in and treatment period, morning and evening peak expiratory flow rate(PEFR) were measured daily. Daytime and nighttime asthma symptoms, daytime and night-time rescue bronchodilator use were checked daily. $FEV_{1.0}$ and FVC were measured biweekly in both groups. Results: Three patients treated with FP and seven patient treated with BDP were dropped out. Therefore forty patients completed the study. Morning and evening PEFR was increased and diurnal variation of PEFR de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FEV_{1.0}$ increased significantly in FP treatment group but not in BDP group. There were also improvements in daytime and night-time asthma symptoms, daytime and night-time rescue bronchodilator use in both groups after treatm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any of the efficacy parameters. Therapeutic effects were demonstrated earlier in patient treated with FP than BDP. Conclusion: In this study, $500{\mu}g/day$ fluticasone propionate was as effective as $800{\mu}g/day$ beclomethasone dipropionate in the control of asthma. Therapeutic effects were demonstrated earlier in patient treated with FP than BDP without adverse effect.

  • PDF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Extracts (발효 천마 추출물의 생리 활성)

  • Park, An Na;Ku, Tae Kyu;Kim, Kyung Sun;Lee, Dong Won;Kim, Sang Jin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2 no.4
    • /
    • pp.702-711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using Gastrodia elata Blume as a cosmetic raw material by investigating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its extracts, varying the concentration, solvent, and fermentation method (non-fermentation and fermentation using lactic acid bacteria and effective microorganisms). Of the extracts in three different solvents-water, EtOH, and 70% EtOH-at four different concentrations (0.725, 1.25, 2.5, and 5 mg/mL), the EtOH extracts demonstrated the highest contents of antioxidants (flavonoids, polyphenols,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ers).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the EtOH extracts of EM-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increased from $27.08{\pm}0.5%$ at 1.25 mg/mL to $35.89{\pm}0.8%$ at 2.5 mg/mL.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test was performed to measure skin-whitening capacity and revealed the LB-fermented EtOH extracts to be the most efficacious ($39.1{\pm}0.4%$ at 0.725 mg/mL, $62.8{\pm}1.5%$ at 2.5 mg/mL). Viability was found to exceed 85% in RAW 264.7 cells treated with all extracts (water, EtOH, 70% EtOH at 10, 25, $50{\mu}L$, fermented and non-fermented), thus proving that Gastrodia elata Blume extracts do not cause inflammation. When RAW 264.7 cells were stimulated with lipopolysaccharide as positive controls under the same conditions to determine the antioxidant activity in the presence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EM-fermentation was found to impart excellent antioxidant capacity. This study verified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extracts that are best suited for cosmetic ingredients, such as antioxidants, tyrosinase inhibitors and anti-inflammatory agents.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from Terminalia chebula Retz., Lavandula spica L., and Dalbergia odorifera T. in RAW 264.7 Cells (가자, 라벤더, 강향의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 검색)

  • Chae, In-Gyeong;Yu, Mi-Hee;Kim, Hyuk-Il;Lee, In-Seo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1 no.4
    • /
    • pp.561-567
    • /
    • 201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 from natural products.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by MTT assay. The production of NO and TNF-${\alpha}$ were measured by Griess assay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In order to effectively screen for anti-inflammatory agents, we first examined the inhibitory effects of 24 natural products on the production of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nitric oxide (NO) in RAW 264.7 cells. Three extracts of Terminalia chebula Retz., Lavandula spica L., and Dalbergia odorifera T. significantly inhibited NO production. The three extracts significantly decreased production of NO in a dose-dependent manner. Terminalia chebula Retz. decreased TNF-${\alpha}$ production. Antioxidative effects of the three extracts were measured based on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say. The three extracts showed high polyphenol contents as well as strong DPPH scavenging activities. In particular, Terminalia chebula Retz. contained the highest polyphenol and flavonoid levels of 616 and $96\;{\mu}g/mg$, respectively, compared to Lavandula spica L. and Dalbergia odorifera T. As DPPH radical scavensing activities, RC50 values of Terminalia chebula Retz. were $2.09\;{\mu}g/ml$.

홍삼 유래 성분들의 면역조절 효능

  • Jo, Jae-Yeol
    •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 /
    • v.8 no.2
    • /
    • pp.6-12
    • /
    • 2009
  •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원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자 하는 주요항상성 유지기전의 하나이다. 이들 반응은 골수에서 생성되고 비장, 흉선 및 임파절 등에서 성숙되는 면역세포들에 의해 매개된다. 보통 태어나면서부터 얻어진 선천성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등과, 오랜기간 동안 감염된 다양한 면역원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얻어진 획득성 면역을 담당하는 T 임파구 등이 대표적인 면역세포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면역질환이 최근 주요 사망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암, 당뇨 및 뇌혈관질환 등이 생체에서 발생되는 급 만성염증에 의해 발생된다고 보고됨에 따라 면역세포 매개성 염증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또한 암환자의 급격한 증가는 암발생의 주요 방어기전인 면역력 증강에 대한 요구들을 가중시키고 있다. 예로부터 사용되어 오던 고려인삼과 홍삼은 기를 보호하고 원기를 회복하는 명약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우리나라 천연생약이다. 특별히, 홍삼은 단백질과 핵산의 합성을 촉진시키고, 조혈작용, 간기능 회복, 혈당강하, 운동수행 능력증대, 기억력 개선, 항피로작용 및 면역력 증대에 매우 효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홍삼에 관한 많은 연구에 비해, 현재까지 홍삼이 면역력 증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자적 수준에서의 연구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어져 있다. 홍삼의 투여는 NK 세포나 대식세포의 활성이 증가하고 항암제의 암세포 사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졌다. 현재까지 알려진 주요 면역증강 성분은 산성다당류로 보고되었다. 또 한편으로 일부 진세노사이드류에서 항염증 효능이 확인되어졌으며, 이를 통해 피부염증 반응과 관절염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본 연구는 KT&G 연구출연금 (2009-2010)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기에 이에 감사드린다].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물질의 침입으로 유도된 질병환경을 제거하고 수복하는 중요한 생체적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이들 과정은 체내로 유입된 미생물이나 미세화학물질들과 같은 독성물질을 소거하거나 파괴하는 것을 주요 역할로 한다. 외부로 부터 인체에 들어온 이물질에 대한 방어기전은 현재 두 가지 종류의 면역반응으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즉, 선천성 면역 반응 (innate immunity)과 후천성 면역 반응 (adaptive immunity)이 그것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은 1) 피부나 점막의 표면과 같은 해부학적인 보호벽 구조와 2) 체온과 낮은 pH 및 chemical mediator (리소자임, collectin류) 등과 같은 생리적 방어구조, 3) phagocyte류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및 호중구 등)에 의한 phagocytic/endocytic 방어, 그리고 4) 마지막으로 염증반응을 통한 감염에 저항하는 면역반응 등으로 구분된다. 후천성 면역반응은 획득성면역이라고도 불리고 특이성, 다양성, 기억 및 자기/비자기의 인식이라는 네 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외부 유입물질을 제거하는 반응에 따라 체액성 면역 반응 (humoral immune response)과 세포성 면역반응 (cell-mediated immune response)으로 구분된다. 체액성 면역은 침입한 항원의 구조 특이적으로 생성된 B cell 유래 항체와의 반응과 간이나 대식세포 등에서 합성되어 분비된 혈청내 보체 등에 의해 매개되는 반응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성 면역반응은 T helper cell (CD4+), cytotoxic T cell (CD8+), B cell 및antigen presenting cell 중개를 통한 세포간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면역반응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의 하나인 염증은 우리 몸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예를 들면 감기에 걸렸을 경우, 환자의 편도선내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류는 감염된 바이러스 단독 혹은 동시에 감염된 박테리아를 상대로 다양한 염증성 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처가 생겼을 경우에도 감염원을 통해 유입된 병원성 세균과 주위조직내 선천성 면역담당 세포들 간의 면역학적 전투가 발생되게 된다. 이들 과정을 통해, 주위 세포나 조직이 손상되면, 즉각적으로 이들 면역세포들 (주로 phagocytes류)은 신속하게 손상을 극소화하고 더 나가서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염증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이들 반응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발적 (redness), 부종 (swelling), 발열 (heat), 통증 (pain)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손상된 부위 주변에 존재하는 모세혈관에 흐르는 혈류의 양이 증가하면서 혈관의 직경이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한 조직의 홍반과, 부어 오른 혈관에 의해 발열과 부종이 초래되는 것이다. 확장된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는 체액과 세포들이 혈관에서 조직으로 이동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이를 통해 축적된 삼출물들은 단백질의 농도를 높여, 최종적으로 혈관에 존재하는 체액들이 조직으로 더 많이 이동되도록 유도하여 부종을 형성시킨다. 마지막으로 혈관 내 존재하는 면역세포들은 혈판 내벽에 점착되고 (margination), 혈관벽의 간극을 넓히는 역할을 하는 히스타민 (histamine)이나 일산화질소(nitric oxide : NO), 프로스타그린딘 (prostagladins : PGE2) 및 류코트리엔 (leukotriens) 등과 같은 chemical mediator의 도움으로 인해 혈관벽 사이로 삼출하게 되어 (extravasation), 손상된 부위로 이동하여 직접적인 외부 침입 물질의 파괴나 다른 면역세포들을 모으기 위한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1, IL-6 등) 혹은 chemokine (MIP-l, IL-8, MCP-l등)의 분비 등을 수행함으로써 염증반응을 매개하게 된다. 염증과정시 발생되는 여러 mediator 중 PGE2나 NO 및 TNF-$\alpha$ 등은 실험적 평가가 용이하여 이들 mediator 자체나 생성관련효소 (cyclooxygenase [COX] 및 nitric oxide synthase [NOS] 등)들은 현재항염증 치료제의 개발 연구시 주요 표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염증 반응은 지속기간에 따라 크게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으로 나뉘며, 삼출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장액성, 섬유소성, 화농성 및 출혈성 염증 등으로 구분된다. 급성 염증 (acute inflammation)반응은 수일 내지 수주간 지속되는 일반적인 염증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국소반응은 기본징후인 발열과 발적, 부종, 통증 및 기능 상실이 특징적이며, 현미경적 소견으로는 혈관성 변화와 삼출물 형성이 주 작용이므로 일명 삼출성 염증이라고 한다. 만성 염증 (chronic inflammation)은, 급성 염증으로부터 이행되거나 만성으로 시작된다. 염증지속 기간은 보통 4주 이상 장기화 된다. 보통 염증의 경우에는 염증 생성 cytokine인 Th1 cytokine (IL-2, interferone [IFN]-$\gamma$ 및 TNF-$\alpha$ 등)의 생성 후, 거의 즉각적으로 항 염증성 cytokine인 Th2 cytokine(IL-4, IL-6, IL-10 및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 등)이 생성되어 정상반응으로 회복된다. 그러나, 어떤 원인에서든 면역세포에 의한 염증원 제거 반응이 문제가 되면, 만성염증으로 진행된다. 이 반응에 주로 작용을 하는 염증세포로는 단핵구와 대식세포, 림프구, 형질세포 등이 있다. 암은 전세계적으로 사망률 1위의 원인이 되는 면역질환의 하나이다. 산화적 스트레스나 자외선 조사 혹은 암유발 물질들에 의해 염색체내 protooncogene, tumor-suppressor gene 혹은 DNA repairing gene의 일부 DNA의 돌연변이 혹은 결손 등이 발행되면 정상세포는 암화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양성세포 수준에서 약 5에서 10여년 후 악성수준의 암세포가 생성되게 되면 이들 세포는 새로운 환경을 찾아 전이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암환자들은 다양한 장기에 동인 오리진의 암세포들이 생성한 종양들을 가지게 된다. 이들 종양세포는 정상 장기의 기능을 손상시켜며 결국 생명을 잃게 만든다. 이들 염색체 수준에서의 돌연변이 유래 암세포는 거의 대부분이 체내 면역시스템에 의해 사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스트레스나 암유발 물질의 노출은 체내 면역체계를 파괴하면서 최후의 방어선을 무너뜨리면서 암발생에 무방비 상태를 만들게 된다. 이런 이유로 체내 면역시스템의 정상적 가동 및 증강을 유도하게 하는 전략이 암예방시 매우 중요한 표적으로 인식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면역증강 물질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인삼은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써, 오랜동안 한방 및 민간에서 원기를 회복시키고, 각종 질병을 치료할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전통생약이다. 예로부터 불로(不老), 장생(長生), 익기(益氣), 경신(經身)의 명약으로 구전되어졌는데, 이는 약 2천년 전 중국의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인삼은 오장(五腸)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고, 혼백을 고정하며 경계를 멈추게 하고,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병사를 제거하여주며, 눈을 밝게 하고 마음을 열어 더욱 지혜롭게 하고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한다" 라고 기술되어있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고려인삼 (Panax ginseng)이 효능 면에서 가장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별이 고려인삼으로부터 제조된 고려홍삼은 전세계적으로도 그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대부분의 홍삼 약효는 dammarane계열의 triterpenoid인 ginsenosides라고 불리는 인삼 saponin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화합물군의 기본 골격에 따라, protopanaxadiol (PD)계 (22종) 및 protopanaxatriol (PT)계 (10종)으로 구분되고 있다 (표 1). 실험적 접근을 통해 인삼의 약리작용 이해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경주되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충분히 이해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구된 인삼의 약리작용 관련 연구들은 심혈관, 당뇨, 항암 및 항스트레스 등과 같은 분야에서 인삼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면역조절 및 염증현상과 관련된 최근 연구결과들은 많지 않으나, 향후 다양하게 연구될 효능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 PDF

The Role of Uteroglobin in the Immunomodulation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비소세포 폐암세포에서 Uteroglobin의 면역 조절 기능에 대한 연구)

  • Yoon, Jung Min;Lim, Jae-Jun;Yoo, Chul-Gyu;Lee, Choon-Taek;Han, Sung Koo;Shim, Young-Soo;Kim, Young Wha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57 no.4
    • /
    • pp.336-344
    • /
    • 2004
  • Background : Immunotherapy for cancer has not been successful because of several obstacles in tumor and its environment. Inappropriate secretions of cytokines and growth factors by tumors cause substantial changes in the immune responses against tumors, affording the tumors some degree of protection from immune attack. Uteroglobin (UG, Clara cell secretory protein) has been known to have anti-inflammatory, immunomodulatory and anti-cancer activities. However, in lung cancer cells, UG expression is decreas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UG in the immunomodulation of lung cancer. Methods : The UG protein was overexpressed by Adenovirus(Ad)-UG transduction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 lines. The concentration of Prostaglandin $E_2$ ($PGE_2$) was measured by Enzyme Immunoassay (EIA).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 from whole blood were prepared with Ficoll. PBMC were cultured in RPMI 1640, supernatant of A549, or A549 with UG or NS-398. Concentration of Th 1 type and Th 2 type cytokines from PBMC were measured by ELISA. Results : UG suppressed $PGE_2$, Cyclooxygenase-2 (COX-2) product. Both Th1 type such as Interleukin-2 (IL-2), Interferon-${\gamma}$ (IFN-${\gamma}$)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nd Th2 type cytokines such as IL-10 and Tumor growth factor-${\beta}$ (TGF-${\beta}$) were increased when PBMC were cultured with supernatant of non small lung cancer cells. UG and COX-2 inhibitor, NS-398 induced normal immune response of PBMC. Although Th 1 type cytokines were increased, Th 2 type cytokines were reduced by UG. Conclusion : UG suppressed PGE2, COX-2 product. Supernatant of NSCLC induced imbalance of immune response of PBMC. However, UG reversed this imbal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UG may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immunotherapy for lung cancer.

Suppressive Effects of Defatted Green Tea Seed Ethanol Extract on Cancer Cell Proliferation in HepG2 Cells (HepG2 Cell에서 녹차씨박 에탄올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 Noh, Kyung-Hee;Min, Kwan-Hee;Seo, Bo-Young;Kim, Hye-Ok;Kim, So-Hee;Song, Young-S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0 no.6
    • /
    • pp.767-774
    • /
    • 2011
  • Defatted green tea seed was extracted with 100% ethanol for 4 hr and then fractionated with petroleum ether, ethyl acetate and butanol. The ethanol and butanol extracts showed greater increases in antiproliferation potential against liver cancer cells than petroleum ether, ethyl acetate, $H_2O$, and hot water extracts did. Thu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proliferative actions of defatted green tea seed ethanol extract (DGTSE) in HepG2 cancer cells. The DGTSE contained catechins including EGC ($1039.1{\pm}15.2\;g/g$), tannic acid ($683.5{\pm}17.61\;{\mu}g/g$), EC ($62.4{\pm}5.00\;{\mu}g/g$), ECG ($24.4{\pm}7.81\;{\mu}g/g$), EGCG ($20.9{\pm}0.96\;{\mu}g/g$) and gallic acid ($2.4{\pm}0.68\;{\mu}g/g$), but caffeic acid was not detected when analyzed by HPLC. The anti-proliferation effect of DGTSE toward HepG2 cells was 83.13% when treated at $10\;{\mu}g$/mL, of DGTSE, offering an $IC_{50}$ of $6.58\;{\mu}g$/mL. DGTSE decreased CYP1A1 and CYP1A2 protein expressions in a dose-dependent manner. Quinone reductase and antioxidant response element (ARE)-luciferase activities were increased about 2.6 and 1.94-fold at a concentration of $20\;{\mu}g$/mL compared to a control group, respectively. Enhancement of phase II enzyme activity by DGTSE was shown to be mediated via interaction with ARE sequences in genes encoding the phase enzymes. DGTSE significantly (p<0.05) suppressed prostaglandin $E_2$ level,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protein expressions, and NF${\kappa}$B translocation, but did not affected nitric oxide production.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DGTSE may ameliorate tumor and inflammatory reactions through the elevation of phase II enzyme activities and suppression of NF${\kappa}$B translocation and TNF-${\alpha}$ protein expressions, which support the cancer cell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DGTSE in HepG2 cells.

Functional Properties of Walnut in Cosmetics (호두의 화장품 기능성)

  • Kim, Mee-Kyung;Kim, Jin-Sung;Jo, Bun-Sung;Kim, Jeung-Hoan;Lee, In-Cheol;Lee, Myung-Sup;Cho, Young-Je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1 no.6
    • /
    • pp.858-864
    • /
    • 2011
  • The phenolic compounds of walnut extracts by various solvents were shown to be 24.3 mg/g in hot water, 34.4 mg/g in ethanol, 32.5 mg/g in methanol and 15.1 mg/g in acetone. In a comparis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hot water and different concentrations of ethanol, which are harmless, 60% ethanol extract and hot water extract were 34.7 mg/g, 24.6 mg/g.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of walnut extracts in hot water and 60% ethanol were 78.1% and 80.6%. According to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for antioxidant activity, hot water and 60% ethanol extract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ies of 98.1% and 98.3%.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PF) were $1.1{\pm}0.2$ PF and $1.1{\pm}0.4$ PF in hot water and 60% ethanol extract. In TBARs inhibitory activity, each extract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ies at 60% and 75%. Anti-inflammation effects of walnut extract were tested, and inhibition of NO was 50% in 100 ${\mu}g/ml$ phenolics. Inhibitory activity against iNOS and COX-2 were shown, through Western blot, to be 10% in 100 ${\mu}g/ml$ phenolics. Tyrosine inhibitory activity of 60% ethanol extract was 43%, and astringent effect of 60% ethanol extract was 55%. These results suggest that walnut extracts are suitable for functional cosmetics requiring skin-whitening and anti-wrinkle activity.

Ulmus macrocarpa Hance Water Extract Improved Splenocytes Survival and NK Cell Cytotoxicity (왕느릅나무 추출물에 의한 비장세포 생존률 및 NK cell 세포독성 증가)

  • Lee, Sung Do;Kim, Deok Won;Lee, Inhwan;Lee, Jong-Hwan;Hyun, Sook Kyung;Kang, Kyung-Hwa;Hwang, HyeJin;Kim, CheolMin;Kim, Byoung Woo;Chung, Kyung Tae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6 no.1
    • /
    • pp.109-116
    • /
    • 2016
  • Ulmi cortex is the elm bark or root bark of Ulmus macrocarpa Hance and has been used as an ingredient of traditional medicine for anti-inflammatory, analgesic, anti-cancer and wound healing on both the East and the West.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Ulmus macrocarpa Hance Water extract (UMWE) has the in vivo and in vitro immune activating effect. Animals were orally administrated for 14 days as follows: no treat group with distilled water, cyclophosphamide (CY) group with 120 mg/kg of CY, UMWE 100+CY group with 100 mg/kg of UMWE and 120 mg/kg of CY, UMWE 200+CY group with 200 mg/kg of UMWE and 120 mg/kg of CY, UMWE 100 group with 100 mg/kg of UMWE and UMWE 200 group with 200 mg/kg of UMWE. The immunosuppressive drug CY was intraperitoneally injected to induce immune suppression. Spleen indices showed small changes in CY injected groups but splenocyte indices showed greater decrease in the same groups. However, UMWE appeared to relieve CY’s immunosuppression. UMWE also delayed in vitro splenocyte death increasing its longevity. These data obtained by MTT assay and 7-amino-actinomycin D which stains preferentially dead than live cells. UMWE alone did not show cytotoxicity based on its apoptototic effect on splenocytes in vitro and in vivo. Splenic NK cell activity was maintained by UMWE under the presence of CY in vitro. The data indicated that UMWE protects splenocytes from the immunosuppressive drug CY under in vitro and in vivo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