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트 동기화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38초

바이올레이션 비트 검출을 통한 13.56MHz RFID PJM 태그의 비트 동기화 기법 (Bit Synchronization Using Violation Bit Detection in 13.56MHz RFID PJM Tag)

  • 윤재혁;양훈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481-487
    • /
    • 2013
  • 리더의 실제 명령인 payload 데이터의 시작지점을 찾아내는 비트 동기화를 위해 RFID 태그 수신부는 프리앰블을 이용한다. 국제 표준에 의해 RFID PJM(phase jitter modulation) 모드는 MFM(modified frequency modulation) 플래그를 프리앰블로 사용한다. 최근, PJM 모드 태그가 여러 개의 코릴레이터를 이용하여 비트 동기를 수행하는 기법이 발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coarse synchronization 이후 violation 비트를 이용해서 fine synchronization을 수행하는 새로운 비트 동기화 기법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시된 기법이 하드웨어의 복잡도는 낮추면서 기존에 제시된 시스템과 거의 유사한 동기 및 복조 성능을 가짐을 보인다.

불안정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에서 공유 데이터 의미 동기화 기법 (Semantic Synchronization of Shared Data for Unstable Mobile Environment)

  • 홍동권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551-557
    • /
    • 2015
  • 공유 데이터의 동기화 방법은 데이터와 응용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비트랜잭션 데이터(nontransactional data)에 대한 비연결 모드 동기화 기법으로 의미 동기화 기법(semantic Approach 줄여서 semanticAppr)을 제안하고, 의미 동기화 기법이 다중 사용자간의 상호 협업 과정에서 비트랜잭션 데이터의 데이터 무결성을 위한 직렬화를 완화하여 각 사용자의 작업 손실이 줄어들게 함을 보인다. 또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문서 전체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문서에 대한 연산을 로그 생성하여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양을 급격히 줄인다.

음악 속도에 따른 캐릭터의 춤동작 생성 및 제어 (Motion Generation and Control of a Character Dancing with Music)

  • 김건우;왕연;서혜원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616-62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음악 신호로부터 추출한 비트 정보를 사용하여 가상 캐릭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논한다. 특히 주기를 가지는 반복적인 동작, 그 중에서도 춤동작에 대한 음악 신호와의 동기화 방법을 제안한다. 서버로 구현된 음악 비트 인식기는 입력 음악 신호에 대한 분석 정보를 규칙적으로 출력한다. 동작 클라이언트는 동작 캡쳐를 통해 얻은 동작 데이터를 여러 개의 기본 동작들로 나누고, 사용자가 선택한 새로운 순서대로 기본 동작들을 연결하여 부드럽게 재생한다. 또한 서버에 접속하여 전송 받은 음악의 템포에 맞게 동작데이터를 와핑(warping)하고 음악의 주요 비트 시각에 맞추어 기본 동작들의 재생시작 시간을 동기화한다. 음원에 의한, 즉 박자, 강약, 비트와 같은 기본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분위기, 박자 변화와 같은 고급 정보에도 동적으로 반응하여 춤을 추는 가상 캐릭터를 개발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 PDF

멀티미디어 신호에서 오디오/비디오 신호의 동기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nchronization of Audio and Video Signals)

  • 김시호;이승원;배건성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제14회 신호처리 합동 학술대회 논문집
    • /
    • pp.627-63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MPEG 시스템의 동기화 방식에 대해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특정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적용 할 오디오/비디오 동기화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먼저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각각 MPEG-1 시스템의 비디오 압축 방식과 G.722 팡대역 음성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두 미디어간의 동기화를 위해 시간 정보를 삽입하여 최종적으로 하나의 비트스트림으로 다중화 하고, 다중화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각각 분리하여 재생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프레임릴레이 프로토콜에서 주소비트를 이용한 키스트림 동기 보상 알고리즘 (A Key Stream Synchronization Compensation Algorithm using Address Bits on Frame Relay Protocol)

  • 홍진근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67-80
    • /
    • 1998
  • 논문에서는 프레임릴레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암호 통신 시스템에 적합한 키 스트림 동기 방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주소영역의 확장 비트를 이용한 키 스트림 동기 방식은 단위 측정 시간 동안 측정된 프레임릴레이 프로토콜의 주소영역의 확장 비트 정보와 플래그 패턴의 수신률을 이용하여 문턱값보다 적은 경우에 동기 신호와 세션 키를 전송하므로써 종래의 주기적인 동기 방식에서 전송 효율성 저하와 주기적인 상이한 세션 키 발생, 다음 주김까지 동기 이탈 상태로 인한 오류 확산 등의 단점을 해결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데이터 링크 계층의 처리기능을 최소화하여 패킷 망의 고속화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프레임릴레이 프로토콜에서 서비스되는 동기식 스트림 암호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여 slip rate $10^{-7}$의 환경에서 주기가 Isec인 주기적인 동기 방식에서 요구되는 9.6*10/ sup 6/비트에 비해 6.4*$10^{5}$비트가 소요됨으로써 전송율 측면에서의 성능 향상과 오복호율과 오복호율과 오복호 데이터 비트 측면에서 성능 향상을 얻었다.다.

미디어 스트리밍을 위한 적응적 동기 지연시간을 이용한 그룹 동기화 기법 (Group Synchronization Method Using Adaptive Synchronization Delay Time for Media Streaming)

  • 권동우;옥기수;김현우;주홍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3호
    • /
    • pp.506-51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스마트 기기들 간에 스트리밍 중인 미디어의 재생 위치를 동기화하기 위해서 재생 중인 미디어의 비트전송률에 따른 적응적인 지연시간을 적용하는 동기화 재생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미디어의 재생정보와 비트전송률에 따라 계산된 동기 지연시간을 클라이언트 기기들에게 전달하는 서버 측 동기화 알고리즘과 서버 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정밀한 재생 동기를 유지하는 클라이언트 측 동기화 알고리즘으로 구성된다. 동기화 재생 알고리즘은 네트워크 연결시간, 동기화 제어패킷 전송시간, 스트리밍 데이터 전송시간, 동기화 처리시간의 네 가지 지연시간을 반영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동기화 재생 알고리즘을 적용한 Android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고, 동기화 처리시간과 기기별 동기화 성능 및 그룹 동기화 성능을 평가한다. 성능 실험결과로 서버 기기와 클라이언트 기기들 간의 그룹 동기 재생위치 차이는 평균 39ms 미만으로 높은 정밀도의 성능을 보인다.

Gauss-Markov 추정 기법을 이용한 디지탈 비트 동기화기 실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lization of a Digital Bit Synchronizer using the Gauss-Markov Estimation Technique)

  • 배현덕;유흥균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61-69
    • /
    • 1990
  • 디지틀 통신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인 비트 동기화(bit synchronization)를 기저대역(baseband)의 PAM 신호에 대하여 weighted least square 추정 기법과 등가인 Gauss-Markov 추정 기법을 연구하였다. 백색 가우시안 확류분포를 갖는 잡음하에서, 천이 위상(Transition phase)과 데이터 레벨의 추정을 2차원적으로 동시에 수행하여 수신단에서 완전한 신호를 복원하는, 검파기 포함형의 비트 동기화기(synchronizer) 실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컴퓨터 시물레이션으로 실현성을 확인하였으며, 기존의 대표적 비트 동기화 방식인 maximum likelihood 추정 이론에 근거한 DTTL(digital data transition tracking loop)와 그리고 minimum likelihood 추정 기법에 근거한 방식과의 추정 오차성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 PDF

고품질 Advanced T-DMB(AT-DMB) AV 스트림의 계층적 전송을 위한 미디어 다중화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Media Multiplexing System for Hierarchical Transmission of High Quality AT-DMB AV Stream)

  • 김민성;전도영;양소정;유홍연;홍성훈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83-85
    • /
    • 2008
  • 현행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에서는 최대 CIF급 해상도의 동영상을 384 Kbps 정도의 비트율로 압축하여 비디오 CD급의 화질을 제공한다. 따라서 큰 화면을 통해 DMB 방송을 시청할 경우 해상도 부족 등으로 인한 화질 열화를 느낄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계층적으로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을 서로 다른 채널로 전송하는 고품질 AT-DMB 시스템이 연구되고 있다. 더불어, 계층변조 기술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전송대역폭을 확보하고, 계층적 비디오 부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고품질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을 제공하는 고품질 T-DMB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AT-DMB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안정된 고품질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계층적 비디오 부호화를 고려한 효율적인 AV다중화 및 동기화 구조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으로 요구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고품질 AT-DMB 시스템을 위해서 각 계층 ES(Elementary stream)을 MPEG-4 over MPEG-2 시스템과 Eureka-147 DAB 시스템을 통해 서로 다른 채널로 전송한다. 계층별 전송으로 인한 시간 지연에 대처하여 수신입력부에서는 각각의 계층으로 전송된 ES들이 동기화 되어 복호화 되도록 SVC의 계층적 비트스트림 구조와 적응적으로 동작되는 다중화 시스템구조를 제작하였다.

  • PDF

NG-SDH시스템에서의 GFP 신호동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nchronization of GFP Signal in NG-SDH System)

  • 이창기;고제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1호
    • /
    • pp.53-62
    • /
    • 2005
  • NG-SDH 시스템에서는 시스템으로 들어오는 이더넷신호를 GFP 프레임으로의 신호동기가 필요하다. 지금까지 외국에서는 칩셋 개발이 완료되어 관련 기술을 확보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GFP를 통한 이더넷 신호의 동기화 방법을 제시하였다. GFP-F를 통한 이더넷 신호의 동기화 방법은 Ingress 및 Egress 버퍼와 GFP idle를 통해서 신호동기를 얻을 수 있음을 알았다. 또한 GFP-T를 통한 이더넷 신호의 동기화 방법은 GFP Idle과 $65B{\_}PAD$를 적용해야 하고, 최대 3비트까지 이더넷 Idle의 추가 및 삭제되어야 함을 알았다. 또한 신호특성 시뮬레이션을 통해서는 신호동기의 실현과 함께 Egress 출력에서의 MTIE와 TDEV 특성과 첨두치 지터를 얻었다.

802.11 무선랜에서 1 비트를 이용한 패킷 인증 방안 (Per Packet Authentication Scheme Using One-bit in 802.11 Wireless LAN)

  • 이성렬;강지명;문호건;이명수;김종권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4호
    • /
    • pp.465-472
    • /
    • 2005
  • IEEE 802.11 Wireless LAN은 무선 인터넷, 차세대 유무선 통합망, 홈네트워크망을 위한 필수적인 무선 액세스 기술이다. 그러나, IEEE 802.11 무선랜을 더 넓은 영역으로 확장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제공하여야 한다. 현재 WEP이나 802.11i등의 보안 메커니즘이 MAC 계층에서 제안되어 있지만 이러한 보안 메커니즘이 VPN과 같이 사용될 경우. 보안 메커니즘의 중복적용이라는 결과가 나오게 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1 비트를 인증비트로 사용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1 비트를 인증 비트로 사용하는 방안에서 생길 수 있는 비트 동기화 실패와 그에 따른 패킷 낭비 문제를 제시하고, 동일 패킷의 수신 개수에 대한 카운터를 이용해 동기화를 한번에 맞춤으로써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성능 평가를 통해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패킷인증 성공률을 $98\%$까지 증가시킬 수 있으며 패킷 인증 비트 스트림의 효율성에서도 $97\%$까지의 개선된 성능을 나타냄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