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트겐슈타인

Search Result 3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비트겐슈타인과 모순

  • Park, Jeong-Il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1 no.1
    • /
    • pp.33-65
    • /
    • 2008
  • 최근에 양은석은 "비트겐슈타인과 초일관성: 비트겐슈타인의 반실재론"에서 모순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견해에 대해 매우 주목할 만한 주장을 하였다. 그에 따르면, 비트겐슈타인은 약한 의미의 초일관주의자로 간주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양은석의 주장이 설득력 없는 것임을 보이고자 한다. 또한 비트겐슈타인이 논리학과 수학, 그리고 모순을 어떻게 바라보았는지를 가능한 한 공정하게 조명하고자 한다. 여러 학자들은 모순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생각이 대단히 특이한 것이라고 간주하였고, 더 나아가 마치 어떤 중대한 오류를 포함하는 것처럼 평가하였다. 그러나 이제 이러한 평가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모순과 관련된 비트겐슈타인의 생각은 더 이상 특이하지 않다. 왜냐하면 그의 생각은 옳기 때문이다.

  • PDF

Wittgenstein on Hilbert's Program (비트겐슈타인과 힐베르트 프로그램)

  • Park, Jeong-Il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5 no.1
    • /
    • pp.155-190
    • /
    • 2012
  • As far as Hilbert's Program is concerned, there seems to be important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of Wittgenstein's thoughts. Wittgenstein's main claims on this theme in his middle period writings, such as Wittgenstein and the Vienna Circle, Philosophical Remarks and Philosophical Grammar seem to be different from the later writings such as Wittgenstein's Lectures on the Foundations of Mathematics (Cambridge 1939) and Remarks on the Foundations of Mathematics. To show that differences, I will first briefly survey Hilbert's program and his philosophy of mathematics, that is to say, formalism. Next, I will illuminate in what respects Wittgenstein was influenced by and criticized Hilbert's formalism. Surprisingly enough, Wittgenstein claims in his middle period that there is neither metamathematics nor proof of consistency. But later, he withdraws his such radical claims. Furthermore, we cannot find out any evidences, I think, that he maintained his formerly claims. I will illuminate why Wittgenstein does not raise such claims any more.

  • PDF

비트겐슈타인과 유아론

  • Park, Jeong-Il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9 no.2
    • /
    • pp.59-98
    • /
    • 2006
  • 유아론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투쟁을 조명하는 것은 그의 전체 철학의 핵심을 조명하는 것에 상당한다. 요컨대 유아론의 문제는 언어놀이, 놀이와 언어의 유사성, 가족 유사성, 규칙 따르기, 규칙 따르기의 역설, 사적 언어 논변, 뜻함, 봄과 -로서 봄, 모순, 논리적 필연성, 함 또는 실천과 같은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핵심 개념이나 주제와 얽혀 있다. 이를 보이기 위해서 이 글에서는 유아론의 개념, 유아론에 대한 청년 비트겐슈타인의 생각,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진단을 논의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우리는 비트겐슈타인이 유아론(넓게는 데카르트주의, 영국경험론, 현상학)에서 실천으로 나아가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논의가 진행되면 우리는 유아론에 대한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비판과 '사적 언어'가 어떻게 연결되는지 자연스럽게 문제 삼게 된다. 많은 학자들이 주장하는 바에 따르면, 비트겐슈타인은 사적 언어가 불가능하다고 간주했다. 그러나 나는 이러한 주장은 비트겐슈타인이 처한 패러다임의 전환 상황을 간과하는 처사로서 설득력 없는 것임을 보이고자 한다.

  • PDF

'규칙따르기 역설'에 대한 크립키 논증의 비판적 분석

  • Park, Man-Yeop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9 no.1
    • /
    • pp.97-136
    • /
    • 2006
  • 비트겐슈타인의 규칙따르기 개념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그의 후기 철학의 궤적을 살피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비트겐슈타인의 규칙따르기 문제에 대해 회의적 해석으로 유명한 크립키는 "탐구"의 201절을 문제 삼으며 '역설'의 문제를 새로운 형식의 철학적 회의주의로 간주했다. 본 논문은 규칙의 역설에 대한 크립키의 논증이 비트겐슈타인의 관점과 무엇 때문에 충돌하는지를 밝히면서 그와 함께 비트겐슈타인이 '규칙의 역설'을 제시한 궁극적 이유를 규명하는데 있다. 규칙의 역설에 대한 크립키 논증의 의의와 한계를 비판적으로 다룸으로서 필자는 다음과 같은 점을 주장할 것이다. 비트겐슈타인에게 있어서 규칙은 우리들의 행동을 이끄는 지침의 역할을 하며, 규칙의 문제를 추론과 연관시켜 수학이 엄격한 규칙을 따르는 인간의 지적 활동이며, 규칙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관점은 귀납적 회의주의와 무관하다. 이런 맥락에서 비트겐슈타인을 회의주의자 혹은 상대주의자로 평가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그런 점에서 비트겐슈타인은 오히려 어떤 이론이나 선입견에 사로잡히지 않은 봄의 방식을 강조한 철학자로 평가하는 것이 옳다.

  • PDF

Kripke vs. Wittgenstein on the Notion of Rule-Following and Semantic Contextualism (규칙 따르기에 관한 크립키와 비트겐슈타인의 상반된 견해와 맥락주의적 의미론)

  • Oh, Onyoung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9 no.1
    • /
    • pp.49-82
    • /
    • 2016
  • In this paper, I argue that it is Kripke's Tractarian notion of rule-following that prevents him from giving a non-skeptical (straight) solution to Wittgenstein's paradox. I characterize the Tractarian notion of rule-following as the 'determinate/infinistic' notion of rule-following. The later Wittgenstein, however, advocates an opposite notion of rule-following: the 'indeterminate/finistic' notion. Considering the later Wittgenstein's context-sensitive, pragmatics-oriented approach to meaning and rule-following, the later Wittgenstein could not have endorsed the determinate/infinistic notion of rule-following. To the contrary, a motive behind Wittgenstein's skeptical paradox was to blame the Tractarian notion of rule-following as the major culprit giving rise to the paradox. At the end, I argue that Kripke's adherence to the Tractarian-correspondence theory of truth also contributes to his failure to offer a non-skeptical solution to the paradox. If Kripke had noticed that the later Wittgenstein was a deflationist about truth, he could have avoided his skeptical conclusion.

  • PDF

튜링의 다리와 비트겐슈타인의 수학철학

  • Park, Jeong-Il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5 no.2
    • /
    • pp.67-91
    • /
    • 2002
  • 모순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견해는 매우 특이할 뿐만 아니라 여러 논란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예컨대 그에 따르면 모순이 수학체계에 존재한다 해도 해로울 것이 전혀 없다. 튜링은 이러한 비트겐슈타인의 견해에 대해서, 만일 수학체계에 모순이 있다면, "그 적용의 경우에 다리가 붕괴될 수도 있다"고 공격한다. 반면에 비트겐슈타인은 "모순 때문에 다리가 붕괴될 수도 있다고 말하는 것은 아주 옳은 소리로 들리지 않는다"라고 응수한다. 과연 유모순적인 계산체계로 건설된 다리는 무너질 것인가? 이 물음을 "튜링의 물음"이라고 부르고, 유모순적인 계산체계로 건설된 다리를 간단히 "튜링의 다리"라고 부르기로 하자. 이 글에서는 바로 이 튜링의 물음에 직접 대답하기 위해서 4개의 입론이 제시되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입론을 토대로 해서 튜링의 물음에 대해 대답할 수 있고, 비트겐슈타인과 튜링의 논쟁을 조명할 수 있으며, 비트겐슈타인의 수학철학의 핵심적인 측면을 살펴볼 수 있다.

  • PDF

The Early Wittgenstein on the Theory of Types (전기 비트겐슈타인과 유형 이론)

  • Park, Jeong-il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21 no.1
    • /
    • pp.1-37
    • /
    • 2018
  • As is well known, Wittgenstein criticizes Russell's theory of types explicitly in the Tractatus. What, then, is the point of Wittgenstein's criticism of Russell's theory of types?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I will consider the theory of types on its philosophical aspect and its logical aspect. Roughly speaking, in the Tractatus Wittgenstein's logical syntax is the alternative of Russell's theory of types. Logical syntax is the sign rules, in particular, formation rules of notation of the Tractatus. Wittgenstein's distinction of saying-showing is the most fundamental ground of logical syntax. Wittgenstein makes a step forward with his criticism of Russell's theory of types to the view that logical grammar is arbitrary and a priori. His criticism of Russell's theory of types is after all the challenge against Frege-Russell's conception of logic. Logic is not concerned with general truth or features of the world. Tautologies which consist of logic say nothing.

비트겐슈타인은 왜 "논고"를 포기했는가?

  • Park, Jeong-Il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7 no.2
    • /
    • pp.71-104
    • /
    • 2004
  • 비트겐슈타인이 왜 "논고"를 포기했느냐 하는 주제는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을 조명하는 데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이 글의 일차적인 관심은 비트겐슈타인이라는 한 개인의 실제 철학적 사유 과정보다는, 오히려 "논고"가 포기될 수 있는 모든 가능성들과 경로를 생각하고 추적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우리는 "논고"의 여러 근본 전제들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한 부류는 직접적 논박 가능성이 희박한 것으로서, 여기에는 "논고"에서 정의에 해당되는 것, 모호한 개념인 "완전한 분석"과 관련된 것, 그리고 유아론과 관련된 것 등이 있다. 다른한 부류는 전자에 비해 어떤 직접적인 논박 가능성의 여지가 있는 근본 전제로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요소 명제들의 상호 독립성을 들 수 있다. "논고"는 소위 "색깔배제 문제"부터 후자에 속하는 근본전제가 직접적인 타격을 입으면서 와해되기 시작했으며, "논고"와는 완전히 다른 패러다임에 서게 됨으로써 비로소 포기되었다.

  • PDF

On the Concept of Identity in the Tractatus (『논리-철학 논고』의 동일성 개념에 관하여)

  • Park, Jeong-il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9 no.2
    • /
    • pp.253-293
    • /
    • 2016
  • In Wittgenstein's Tractatus, the concept of 'identity' gives rise to several puzzles as follows. What is an equation(Gleichung) in the Tractatus? Is an equation identical with so called an identity statement? Frege asserts that identity is not a relation between signs but one between objects or of a thing to itself. Then how does Wittgenstein criticize this Frege's conception? Furthermore Wittgenstein explicitly criticizes about Russell's definition of identity. Then What is the point of such Wittgenstein's critique? In a nutshell, what is early Wittgenstein's idea on the nature of identity? In this paper, I will endeavor to answer these questions.

  • PDF

Wittgenstein on the Axiom of Reducibility (비트겐슈타인과 환원 가능성 공리)

  • Park, Jeong-il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20 no.1
    • /
    • pp.69-96
    • /
    • 2017
  • Wittgenstein criticizes explicitly Russell's theory of types and, in particular, his axiom of reducibility in the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What, then, is the point of Wittgenstein's criticisms of Russell's theory of types? As a preliminary study to answer this question, I will examine how Wittgenstein criticized Russell's axiom of reducibility. Wittgenstein declares that Russell's axiom of reducibility is not a logical proposition, that if it is true it will be so mere by a happy chance and that "we can imagine a world in which the axiom of reducibility is not valid." What, then, is the ground for that? I will endeavor to show that by explicating the ideas of Wittgenstein's 1913 letter to Russell, those ideas decisively influenced on Ramsey's and Waismann's model which intended to show that the axiom of reducibility is not vali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