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즈니스윤리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31초

패션 기업의 윤리경영을 위한 혁신시스템 Module 개발: 소비자와 업체인의 윤리의식을 중심으로 (Innovation System Module for Ethics Management of Fashion Industry: Focused on Ethics Values between Consumers and Entrepreneurs)

  • 이승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14권1호
    • /
    • pp.1-10
    • /
    • 201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effects of individual's ethics on corporation ethics and corporation ethics management and perception for corporation ethics management innovation system, and to compare consumers' and entrepreneurs' perceptions toward innovation system for ethics management in fashion industry. The subject used for this study were 260 subjects (117 consumer and 143 entrepreneur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s, Cronbach's alpha, regression, and t-test were used. As the results, first, ethic values on idealism and machiavellism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business ethics. Business ethics also affected on business ethics management. In addition, business ethics management influenced on perception for ethics management innovation system.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sumers and entrepeneurs on perceptions toward innovation system for ethics management. Based on these results, prevention marketing strategies of counterfeit goods would be provided.

BSGS: 생명윤리 지식분류를 통한 컨텐츠 지원용 가이드라인 시스템 - 안드로이드 스마트 플랫폼 (BSGS: Bioethics of Smart Guideline System applied knowledge categories for Android smart platform)

  • 이지희;최성자;이강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454-1457
    • /
    • 2010
  • IT 융합의 시대를 맞아, 오늘날 모든 분야에서 컨버전스가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과 혁신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생명과학분야에서도 IT를 접목한 새로운 비지니스가 창출되고 있다. 그러나, 생명의료 윤리를 실질적으로 접하는 의료인 조차 지식수준에 비해 낮은 윤리의식을 갖추었으며 지식수준을 윤리의식으로 착각하고 있다는 평가아래 의료윤리연구회와 같은 기관을 설립하여 생명의료윤리의식을 갖추자는 자성의 목소리가 의료인들의 근래의 반응이다. 본고는 생명윤리 관련 내용을 코드체계화하고 지식관리시스템으로 구축하여, 모바일 스마트를 활용한 플랫폼 설계 및 어플을 제공한다. 생명윤리와 그 관련 법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생명윤리 의식을 고취하고 적절한 문제해결 방법을 안내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패션기업을 위한 비즈니스 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Business Ethics Education Program for Fashion Companies)

  • 김수경;여은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837-855
    • /
    • 2020
  • This study develops a business ethics education program and verifies its effect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a program for fashion companies. Questionnaires obtained from 161 fashion companies were submitted for an analysis of the education needs of business ethics components using the Borich's Needs Assessments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business ethics component in the highest rank of the education need was 'promoting social contribution (PSC)'. An education program of PSC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and was implemented for 180 minutes on the CEOs or managerial board members of eleven fashion companies. Education participants showed an improvement in the perceptions of the business ethics component after the education seminar. The self-efficacy and the education effect perceived by participants were maintained 70 days after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to gain an empirical evidence of the positive effect of business ethics education implemented on the practitioners of fashion companies. The results will provide a knowledge base and a guideline for business ethics education in the fashion industry.

패션 전공 대학생들의 비즈니스 윤리 요소별 교육요구도 (Education needs for business ethics components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 여은아
    • 복식문화연구
    • /
    • 제28권6호
    • /
    • pp.801-814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ortance level, the present level, and the educational need for 21 business ethics components among 2-year and 4-yea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Survey data of 364 students (128 students of 2-year colleges and 238 students of 4-year colleges)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Borich's needs assessment for education, The Locus for Focus model,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test. The results showed five business ethics components ranked highly as educational needs among college students: 'reducing waste', 'using vegan materials', 'using human-friendly materials', 'strengthening sustainable technologies', and 'promoting workers' rights'. Those components should be integrated into curricula of fashion majors in colleges. Students in 4-year colleges considered most of 21 business ethics components as more important than did students at 2-year colleges. More needs for education were observed by 4-year college students in eight business ethics components than by 2-year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a positive attitude toward business ethics education and the suitability of business ethics education were higher among 4-year college students than 2-year college students. Results provide a guideline for business ethics education by indicating a list of business ethics components that urgently needed to be adapted to fashion curricula according to each college type.

KOVA News

  • 벤처기업협회
    • 벤처다이제스트
    • /
    • 통권93호
    • /
    • pp.60-61
    • /
    • 2006
  • 인도 IT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개최/ 기업은행과 '혁신형 중소기업 발굴·지원'업무협약 체결/ <한국벤처산업발전사 I ·II>발간/ 2006년도 제1차 벤처윤리위원회 개최/ 조현정 회장, 윤경포럼에서 <우리의 다짐> 선언

  • PDF

중소 패션기업의 업무영역별 비즈니스 윤리 요소 도출 (Identifying business ethics components according to business area for small and medium-sized fashion companies)

  • 김수경;여은아
    • 복식문화연구
    • /
    • 제27권5호
    • /
    • pp.415-432
    • /
    • 2019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generate a list of business ethics components according to business area for small and medium-sized fashion compani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21 components of business ethics components were identified within five business areas. Ten CEOs(Chief Executive Officers) each participated in an in-depth interview, sharing ethical and unethical cases from their own businesses.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was used to generate important business ethics components from those cases. In results, important business ethics components for each business area are: 1) using human-friendly materials, strengthening sustainable technologies, using vegan materials, concerning safe process, and reducing waste in the material production and sourcing area, 2) enhancing an efficiency in design, developing recycle/reuse designs, avoiding to copy designs, and using messages for public interest in the product design area, 3) concerning fair-trade, reducing harmful substance, saving energy, and using ethical supply channels in the distribution and logistics area, 4) acquiring certifications, promoting consumer protection, avoiding exaggerative/false advertisements, and promoting social contributions in the management and marketing area, and 5) promoting workers' rights, complying with the law, and investing on employee educations in the labor management area. All of the ethical and unethical cases of the ten companies have involved aspects of the 21 components, thereby enhancing understandings on how each issue is being seriously considered and/or handled in the small and medium-sized fashion companies. Study findings may provide a basis for development of a research model for quantitative studies and/or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business ethics in the fashion industry.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집합적 학습 -조력 집단에 대한 성찰- (Community Business and Collective Learning)

  • 김정섭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3호
    • /
    • pp.603-642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개념 정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현장에서 지역사회 주민과 조력자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 근거해야 할 실천 윤리,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동의 과정적 요소에 관한 사례 분석, 관련 정책 사업의 문제점 등을 논의하였다.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지역사회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주민들 스스로 실천하는 비즈니스 형식의 활동으로, 주민의 자발성에 기초한 '문제 제기-집합적 학습-조직화'의 과정적 요소로 이뤄진다. 현재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관련 중간지원조직은 유연한 조력 활동이 아니라 정책 사업 관리의 역할을 부여받고 있다. 정부의 관련 정책 사업은 주민들 스스로의 문제 제기와 학습이라는 선행 과정을 건너뛰어 충분한 준비 없는 커뮤니티 비즈니스 실천을 조장하는 측면도 있다. 관련된 정부 보조금 정책 사업의 틀이나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은 지역사회 주민들이 주도하는 과정에 유연하게 조력할 수 있도록 재편되어야 한다.

기업의 안전가치 창조를 위한 강화 프로그램 (Reinforcing Program for Safety Values in Company)

  • 윤석준;이근원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00-207
    • /
    • 1999
  • 기업활동으로 인해 수반되는 산업재해를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다하더라도 사고의 발생빈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즉, 해당 기업이 안전관리에 얼마만큼 투자를 하느냐에 따라 산업재해예방에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어낼 수 있다. 안전경영의 성과는 단지 기업윤리차원의 문제뿐만 아니라 비즈니스의 성공을 보장하는 것으로 기업의 가치창조에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생산성과 높은 안전경영 성과간의 상관관계는 매우 포지티브(positive)한 것임은 여러 사례에서 이미 증명되어졌다. 따라서 안전경영은 품질확보, 이윤창출과 비용절감, 비즈니스기회의 선점에 필수적임을 인식해야 한다.

  • PDF

사이버 시대의 윤리 교육 : 청소년을 중심으로

  • 류나정;고석하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7-424
    • /
    • 2002
  • 컴퓨터는 인간의 모든 꿈과 희망을 실현시켜 줄 수 있는 마법상자는 아니다. 정보화 시대라고 일컫는 현재, 정보의 가치를 더해주는 컴퓨터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는 반면 인간의 존엄성은 경시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은 요즘 사회가 커다란 도덕적 위기에 빠졌다고 걱정하지만 컴퓨터 사용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에 대해서는 심각하게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새로운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존의 전통적인 교육방식에서 사이버 윤리 교육은 교과서 중심의 단편적인 교육이었기 때문에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였으며, 교육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 부족하여 사이버 윤리 교육의 효과가 미흡하였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새로운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존의 전통적인 교육방식에서 사이버 윤리 교육은 교과서 중심의 단편적인 교육이었기 때문에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였으며, 교육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 부족하여 사이버 윤리 교육의 효과가 미흡하였다. 이런 관점에서 본 논문은 정보통신 시대가 수반하고 있는 사회적 영향력과 윤리적 이슈들에 대하여 좀더 교육적인 측면으로 접근해 윤리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체계적인 확산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공간에서 윤리 교육을 받는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그들에게 새로운 윤리교육의 한 형태인 사이버공간에서 관련된 문제들을 교육적인 측면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우리가 명심해야 할 것은 인간의 존엄성은 그 어떤 이유를 막론하고 존중되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검증되지 않은 스토리 보드에 의한 저작 단계로 바로 돌입하고 있는 것이 한국의 실정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 프로젝트에 의해 개발 된 교수 설계 도구는 교육/학습 컨텐츠의 품질 보증을 위한 방법론인 교육 공학의 체제적 교수 설계 이론 Model (Instructional System Design Model), 특히 그 중에서도 이 분야의 사실상의 표준 이론(de facto standard)인 Dick & Carey 교수와 Gagne 교수의 인지주의 ISD Model을 기반으로 정교한 교수 설계와 코스 맵 설계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학습 컨텐츠의 품질 보증 활동을 지원 할 수 있는 도구로 개발하였다. 특히 Linux 기반에서 PHP로 개발 함으로써 Platform에 구애받지 않은 사용 환경을 구현 하였으며 향후 많은 e-Learning Platform에 교수 설계 모듈로 장착 함으로써 기존의 e-Learning Platform들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실징후를 파악하는데 그치지 않고 부실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응 전략을 수립하며 그 결과를 측정하는데 활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부도예측 정보 중 현금흐름정보를 통하여 '인터넷기업의 미래 현금흐름측정, 부도예측신호효과, 부실원인파악, 비즈니스 모델의 성격규정 등을 할 수 있는가'를 검증하려고 한다. 협력체계 확립, ${\circled}3$ 전문인력 확보 및 인력구성 조정, 그리고 ${\circled}4$ 방문보건사업의 강화 등이다., 대사(代謝)와 관계(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