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4초

소아청소년 정신과 영역에서의 새로운 약물치료 ;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NEW DRUG THERAPY I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ATYPICAL ANTIPSYCHOTICS)

  • 반건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4권1호
    • /
    • pp.26-35
    • /
    • 2003
  • 소아청소년 정신과에서는 정신분열증과 기타 정신증상에 기존 항정신병 약물을 사용하고 있다. 이들 약물은 졸리움, 기립성 저혈압, 추체외로 증상 등의 부작용이 문제가 된다. 성인에서는 최근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사용이 기존 약물을 대체해가고 있다. 소아정신과에서도 기존 항정신병 약물과 비슷한 효과를 보이면서도 부작용이 훨씬 적은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의 사용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소아환자에 대한 장기 사용 자료는 물론 단기 사용 자료도 매우 빈약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소아청소년 환자에서의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 사용에 대한 자료를 검토하였다. 그렇게 하므로 써 소아청소년 정신과에서의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 사용에 대한 적절한 접근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불응성 정신분열증환자의 Clozapine 치료효과 (Clinical Efficacy of Clozapine in Refractory Schizophrenia)

  • 이민수;정인과;곽동일
    • 생물정신의학
    • /
    • 제2권1호
    • /
    • pp.131-139
    • /
    • 1995
  • Clozapine은 정형적 항정신병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불응성 정신분열증 환자에게 효과적이며, 추체외로부작용이 적은 비정형적 향정신병약물로 보고되고있다. 따라서 저자들은 불응성 정신분열증환자를 대상으로 clozapine의 항정신병효과 및 부좌용에 대해 대표적 전형적 항정신병약물인 haloperidol과 비교연구하였다. 대상환자를 clozapine투여군(17명) 과 haloperidol 투여군 (16명)으로 나누어 12주 동안 각각의 약물을 투여하는 전향적 개방대조연구를 하였다. 두가지 약물의 치료효과와 부작용은 BPRS, PANSS, Simpson-Angus Rating Scale 및 Adverse Events-Somatic Symptoms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약물투여 12주후 clozapine투여군이 76.5% 에서 치료반응을 보인데 비해 haloperidol투여군은 31.2%의 치료반응을 보임으로써 두약물 투여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BPRS와 PANSS 척도상 clozapine투여군이 haloperidol투여군에 비하여 BPRS, PANSS 양성증상 및 일반증상 척도는 약물투여 8주후부터, PANSS 음성척도는 약물투여 4주후부터 12주까지 일관성있게 지속적으로 의미있는 호전을 보였다. Clozapine투여군에서는 타액분비(70.6%), 졸리움(52.9%), 변비(29.4%) 및 저혈압(23.4%)이, haloperidol투여군은 진전(37.5%), 정좌불능(25.0%), 강직(18.8%) 및 무운동(18.8%)이 흔히 보고되었다. 하지만 두약물 투여군 모두에서 대부분 경미하고 환자가 견딜 정도였다. Clozapine투여군에서 약물투여 전에 비해서 약물투여 12주후 백혈구와 호중구의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clozapine은 정형적 항정신병약물에 치료효과가 없거나 추체외로부작용 때문에 약물투여가 어려운 경우의 한국인 불응성 정신분열증환자에게 효과적인 비정형적 항정신병약물이다.

  • PDF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항정신병약물 치료가 혈청 VEGF, sVEGFR-1 및 sVEGFR-2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 - 예 비 연 구 - (The Effect of Antipsychotic Drug Treatment on Serum VEGF, sVEGFR-1, and sVEGFR-2 Level in Schizophrenia - A Preliminary Study -)

  • 김태현;김도훈;이상규;손봉기;정전섭
    • 생물정신의학
    • /
    • 제14권4호
    • /
    • pp.232-240
    • /
    • 2007
  • 목 적: Cytokine 중의 하나인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와 VEGF 수용체들은 다양한 생체내 조절 및 질병 상태와 연관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항정신병약물 치료에 따른 혈청내 자유(free) VEGF와 가용성 VEGFR-1, 가용성 VEGFR-2의 변화를 보기 위한 것이었다. 방 법: 각 환자들은 DSM-IV 진단기준에 의해 정신분열병으로 진단을 받았고, 약물투여 시작일을 기준으로 4주째 및 8주째에 추적 관찰하였다. 모두 13명이 환자군에 포함되었으며 항정신병약물 투여전과 투여후 4주째, 8주째에 각각 PANSS에 의한 상태 평가와 함께 자유 VEGF, sVEGFR-1, sVEGFR-2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13명의 정상 대조군을 환자군의 나이와 성별에 맞춰 선정하였다. 결 과: 정신분열병 환자군의 혈청 자유 VEGF($295.2{\pm}43.7$pg/ml)와 sVEGFR-2($8259{\pm}336.7$)의 농도는 정상 대조군($199.0{\pm}28.8$$8481{\pm}371.9$)과 비교하였을 때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sVEGFR-1의 농도($86.2{\pm}10.3$, p<0.05)는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 대조군($59.0{\pm}6.4$)에 비해 의미있게 상승하였다.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 항정신병약물 투여 후 자유 VEGF 농도는 4주째($338.9{\pm}56.5$)와 8주째($309.5{\pm}58.7$) 모두 투여 전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sVEGFR-1 농도는 약물 치료후 8주째($57.3{\pm}6.3$, p<0.05)에 측정한 결과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sVEGFR-2의 농도도 치료전과 비교하였을때 약물 치료후 4주째($7761{\pm}403.0$, p<0.05)와 8주째($7435{\pm}333.5$, p<0.05)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 론: sVEGFR-1과 sVEGFR-2 농도의 감소는 항정신병약물이 작용하는 도파민 신경계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 PDF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복용 중인 과체중 환자에서 체중 감량을 위한 행동수정요법의 개발 - 예비연구 - (The Development of Behavioral Modification Program on Weight Reduction in Overweight Patients taking Atypical Antipsychotics - Preliminary Study -)

  • 신홍범;박종호;차보석;김병수;이숙경;김학령;김용식;안용민;강웅구
    • 생물정신의학
    • /
    • 제10권2호
    • /
    • pp.186-196
    • /
    • 2003
  • Objects:The authors devebped a behavioral modification program for oveweight out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will had teen treated with atypical antipsychotics, and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this program to outpatients Methods:Two men and nine women who had been treated with atypical antipsychotics and will had gained at least 5 percent of their pre-treatment body weight for 10 weeks, attended a behavioral modification program. The patients' weight, body mass index and the diet-activity scale were assessed and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 matched comparison group will dd not attend the behavioral modification program Results:The body weight of patients who attended the behavioral modification program reduc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trea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diet-related items but not in activity-related items of the diet-activity scale Conclusions:This study suggested the applicability of a eehavioral mcdification program on weight reduction to overweight patients taking atypical antipsychotics for the frrst time in Korea Additional large scale studies are needed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 PDF

새로운 항정신병약물의 약물상호작용 (Drug Interaction in New Antipsychotics)

  • 김용식;강웅구;노명선
    • 생물정신의학
    • /
    • 제7권1호
    • /
    • pp.14-20
    • /
    • 2000
  • Recently atypical antipsychotics have been used as first line agent in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a, and also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treatment of many kinds of psychiatric disorders. The pharmacokinetic and pharmacodynamic properties of these newer antipsychotics are well known through preclinical and early clinical trials.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e limitations of the results due to its relatively short experience. Clozapine is eliminated principally by the hepatic P450 1A2 and 3A4 cytochrome enzymes. 1A2 inducers such as carbamazepine and smoking can reduce its half-life, while 1A2 inhibitors such as SSRIs, especially fluvoxamine can increase its duration of action. Carbamazepine should be avoided in a patient on clozapine because of carbamazepine's potential effects on bone marrow. Benzodiazepines tend to increase the chances of sedation, delirium and respiratory depression. Risperidone is metabolized to 9-hydroxyriperidone by the hepatic P450 2D6 cytochrome enzymes. Fluoxetine and paroxetine, 2D6 inhibitors interfere with metabolism, but 9-hydroxyrisperidone has similar biological activity as parental drug, so it has little affect on the outcome. Olanzapine shows minimal capacity to inhibit cytochrome P450 isoenzymes and shows minimal chance of drug interaction. It is eliminated principally by the hepatic P450 1A2 and 2D6 cytochrome enzymes.

  • PDF

항정신병약물 클로자핀이 흰쥐 뇌실로 주입한 인슐린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lozapine on Central Insulin Response in Rats)

  • 김세현;유현숙;박소영;김민경;박홍근;김용식
    • 생물정신의학
    • /
    • 제19권4호
    • /
    • pp.187-192
    • /
    • 2012
  • Objectives Although antipsychotic drug clozapine has superior efficacy, this is hampered by metabolic side effects such as weight gain and diabetes. Recent studies demonstrate that clozapine induces insulin resistance. However, the identity and location of insulin resistance induced by clozapine has not been clarified. In this study, the effect of clozapine on central insulin response was investigated in rats. Methods Male Sprague-Dawley rats received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clozapine or vehicle, which was followed by intracerebroventricular injection of insulin or its vehicle. The effects of clozapine on insulin-induced changes in blood glucose level and Akt phosphorylation in hypothalamus were investigated. Results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clozapine (20 mg/kg) increased blood glucose in rats. Intracerebroventricular injection of insulin reduced blood glucose in rats, which was blunted by pretreatment of clozapine. Accompanied with the antagonistic effect of clozapine to central insulin action in terms of blood glucose, clozapine inhibited the insulin-induced phosphorylation of Akt at Ser473 in rat hypothalamus. Conclusion Administration of clozapine inhibited the central insulin-induced changes in blood glucose and Akt phosphorylation in rat hypothalamu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ypothalamus could be the site of action for the clozapine-induced insulin resistance.

급성기 양극성우울증 약물치료 전략 (Pharmacological Treatment Strategies for Acute Bipolar Depression)

  • 김세주
    • 신경정신의학
    • /
    • 제57권4호
    • /
    • pp.287-300
    • /
    • 2018
  • Of the different phases of bipolar disorder, bipolar depression is more prevailing and is more difficult to treat. However, there is a deficit in systemic research on the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acute bipolar depression. Therefore, consensuses on the pharmacological treatment strategies of acute bipolar depression has yet to be made. Currently, there are only three drugs approved by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r acute bipolar depression : quetiapine, olanzapine-fluoxetine complex, and lurasidone. In clinical practice, other drugs such as mood stabilizers (lamotrigine, lithium, valproate) and/or the other atypical antipsychotics (aripiprazole, risperidone, ziprasidone) are frequently prescribed. There remains controversy on the use of antidepressants in bipolar depression. Here, we summarized the evidence of current pharmacological treatment options and reviewed treatment guidelines of acute bipolar depression from recently published studies.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Olanzapine 사용 전후의 $[^{123}I]-{\beta}-CIT$ SPECT를 이용한 Dopamine Transporter 변화: 준비조사 (Evaluation of Striatal Dopamine Transporter Density using $[^{123}I]-{\beta}-CIT$ SPECT in Schizophrenic Patients Treated with Olanzapine: Pilot study)

  • 김철응;문혜원;최원식;김창호;지대윤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24-231
    • /
    • 2002
  • 목적: 정신분열병의 병태생리와 이미 임상적인 효과와 안전성이 확인된 비정형항정신병약물의 하나인 올란자핀의 작용기전 중 도파민전달체에 대한 효과를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고안했다. 대상 및 방법: 최소 4주 이상 항정신병약물을 사용하지 않았고 DSM-IV진단기준을 만족시키는 정신분열병 환자 6명(남 3, 여 3)에게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한 후 동의를 얻고 올란자핀 사용 전, 사용 4주 후 2회 $[^{123}I]-{\beta}-CIT$ SPECT영상을 얻었다. 얻은 영상에서 선조체/후두엽 비율을 측정했고 미상/피각으로 나누어 약물 사용 전 후를 비교분석 했다. 결과: 선조체 및 미상/피각 전부위의 $[^{123}I]-{\beta}-CIT$ 결합율은 올란자핀 사용 4주후 사용 전에 비해 의미있는 증가를 보였다(p<0.05). 결론: 본 연구결과는 올란자핀이 도파민전달계 중 도파민 운반체에 변화를 보임을 시사하고 있으나 확증을 위해서는 더 많은 환자와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양극성 장애 환자에서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치료 후에 나타나는 지연성 운동장애와 지연성 근긴장이상의 유병률 및 위험요인 (Tardive Dyskinesia and Tardive Dystonia with Second-Generation Antipsychotics in Bipolar Disorder Patients Unexposed to First-Generation Antipsychotics)

  • 이아람;김주현;백지현;김지선;최미지;윤세창;하규섭;홍경수
    • 생물정신의학
    • /
    • 제22권4호
    • /
    • pp.155-162
    • /
    • 2015
  • Objectives Second-generation antipsychotics (SGAs) are frequently used in the treatment of bipolar disorder. However, there is still no consensus on their risk of tardive movement syndromes especially for first-generation antipsychotics (FGAs)-naïve patien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SGAs-related tardive dyskinesia and tardive dystonia in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in a naturalistic out-patient clinical setting. Methods The authors assessed 78 non-elderly patients with bipolar (n = 71) or schizoaffective disorder (n = 7) who received SGAs with a combined use of mood stabilizers for more than three months without previous exposure to FGAs. Multiple direct assessments were performed and hospital records longer than one recent year describing any observed tardive movement symptoms were also reviewed. Results The prevalence rates of tardive dyskinesia and tardive dystonia were 7.7% and 6.4%, respectively. These patients were being treated with ziprasidone, risperidone, olanzapine, quetiapine, or paliperidone at the time of the onset of the movement symptoms. Tardive dyskinesia was mostly observed in the orolingual area, and tardive dystonia was most frequently detected in oromandibular area. A past history of acute dystonia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resence of both tardive movement syndromes.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SGAs-related tardive movement syndromes occur in a substantial portion of bipolar disorder patients. Acute dystonia, a reported risk factor of tardive movement syndromes in the era of FGAs is confirmed as a risk factor of both tardive dyskinesia and tardive dystonia that were induced-by SGAs.

일 대학병원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입원환자의 약물 치료 경향 (A Trend in Pharmacotherapy for Inpatients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t a Single University Hospital)

  • 민정아;정영은;서호준;박원명;전태연;채정호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2-48
    • /
    • 2008
  • 현재 PTSD와 관련한 여러 병태생리 기전들이 밝혀지고 있으며 이에 초점을 둔 다양한 약물치료가 행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 대학병원에서 PTSD로 진단된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약물치료의 경향에 대해 알아보았다.1998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DSM-IV에 의해 PTSD로 진단된 입원 환자 75명이 대상군이 되었으며, 이들의 인구학적 요인들, 입원기간, 외상의 종류, 외상 후 경과시간 및 정신과적 공존병리 및 처방 받은 약물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75명 중 남자는 33명, 여자는 42명이었다. 정신과적 공존병리는 총 50명(66.7%)에서 존재하였으며, 우울장애, 인지장애, 정신장애 및 불안장애 순이었다.73명(97%)의 대상군은 항우울제를 처방 받았으며, 그 중 paroxetine이 54.7%로 가장 많았고 두 가지 이상의 항우울제를 처방 받은 경우도 24%였다. 또 거의 대부분의 환자에서 비정형 항정신병약물(33.3%), 기분안정제(17.3%),항불안제(94.7%)가 항우울제와 병용 처방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러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얻어진 약물 처방 경향은 향후 국내 실정에 맞는 치료 지침을 수립하는 데에 하나의 근거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